View : 3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혜-
dc.contributor.author오혜민-
dc.creator오혜민-
dc.date.accessioned2024-02-14T02:50:47Z-
dc.date.available2024-02-14T02:50:47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otherOAK-000000212545-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1254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722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페미니스트와 반페미니스트의 차이를 만드는 계기와 실천의 특징을 질문하며, 페미니즘 리부트부터 반페미니즘 백래시까지의 시대에 주목한다. 한국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들의 실천과 대응 방식에서 발견되는 특징과 모순, 한계를 짚으며, 이를 만든 시대적, 사회적 맥락을 파악한다. 개인화된 노력과 구조적 차별 사이의 긴장은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와 반페미니스트의 논리와 작동이 공유하는 지점과 상충하는 지점을 드러낸다. 각 사건이 발휘한 효과, 행위자들의 정동과 전략의 분석을 통해, 페미니스트와 반페미니스트의 차이를 만드는 계기와 인식론적 실천의 특징 역시 포착된다. 본 연구는 주로 온라인을 통해 활성화된 반페미니즘 백래시의 발현이, 특히 페미니즘과 가장 긴밀한 연관성을 표출하는 여성 청년층의 실제 삶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발견에서 출발했다. 페미니즘과 청년 세대의 관계, 세대 맥락과 명명의 방식, 시대적 특징과 실천의 특징 등에 관한 다층적 탐구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으로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갔다. 첫째, ‘페미니즘 리부트’를 주도한 여성 청년층의 특성과 이 집단의 페미니스트 실천에서 발견되는 주요 특징, 그리고 이러한 특성을 만들어낸 사회적 맥락은 무엇인가. 둘째, 반페미니즘 백래시는 어떻게 사회에서 힘을 얻었으며, 이 반발의 방식이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의 인식론적 실천에 미친 실질적 영향은 무엇인가. 셋째, 페미니즘과 반페미니즘의 대중화 과정에서 페미니스트 인식론을 체화한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들의 실천 전략이 만드는 효과와 모순, 후속 과제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위의 연구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반페미니즘 백래시가 활성화된 2021년 여름부터 2023년까지 봄까지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 50명과의 심층 면접을 수행했다. 또한, 반페미니즘 백래시의 구체적 작동 방식을 포착하기 위해 페미니즘 리부트의 최초 시점으로 언급되는 2015년부터 2022년까지 주요 언론사의 기사를 중심으로 미디어 분석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들의 ‘페미니즘 리부트’에서 발견되는 가장 큰 특징은 개별적 노력과 자유로운 선택을 통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공고한 믿음의 붕괴, 즉, 인식론적 무적성의 붕괴에 있었다. 여성운동의 성취이기도 한 여성의 고등 교육 기회와 노동 시장 참여 확대, 함께 퍼진 ‘알파걸’ 담론은 페미니즘을 구시대의 유물이자 이미 완료된 프로젝트를 반복하여 설파하는 시대착오적 사상으로 간주하는 흐름을 만들었다. 페미니즘 리부트를 추동한 주체로 지목되는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들은 이러한 포스트 페미니즘의 영향을 받으며 성장한 세대였다. 하지만 2016년 일상적 공간에서 생존을 위협하는 젠더 기반 폭력이 발생했다는 사실과 이 사건을 ‘묻지마 폭력’으로 언급하는 후속 조치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이미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다는 신화의 허구성을 환기했다. 불확실성 속에서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 집단은 가장 익숙한 도구인 지적 실천을 이어갔다. 독서와 글쓰기는 개별적 실천과 공동체적 실천으로 이어지며 인식론적 공동체를 구성했다. 몇 년 후, 여성 청년 집단은 자신을 페미니스트로 정체화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집단이 되었고, 선거에서도 유의미한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었다. 문제는 축적된 지식과 언어가 광범위한 사회적 인정으로 이어지지 못했다는 점이었다. 여성들이 획득한 역량은 제반 조건과 기회의 확대, 평가 기준의 변화로 연결되지 않았다. 구조적 성차별의 문제를 공론화하고 ‘공정’의 개념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역차별 담론’이 부상했고, 페미니스트들의 주장은 ‘무능력자들의 투정’으로 간주되었다. 리부트 후 몇 년 동안 여성-청년-페미니스트 세대 단위가 자신의 지식을 계속해서 수정하며 새롭게 구성하는 동안, ‘시대착오적 페미니즘’이라는 동일한 감정 공동체에 속해있었던 반-페미니스트 청년 세대 단위가 지식의 수정과 재구성을 멈추며 발생한 일이었다. 공동체의 지식이 외부의 사회와 충돌하며 발생한 무력감을 탈피하는 방안으로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는 새로운 지식의 도구, ‘백래시’의 개념을 동원하고 선언했다. 둘째,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 세대를 형성한 배경이자 페미니즘 실천의 가장 강력한 도구인 지식과 지식인의 지위를 취약하게 만들며 일상에 긴밀한 영향을 미친 체계적 인식론적 폭력이 포착되었다. 리부트의 최초 시점으로 언급되는 2015년부터 한국 미디어 속 페미니스트의 묘사 방식, 지적 권위의 부여, 사건 해석, 리부트 세대의 언어 활용에서 관찰된 훼손과 오독, 전유의 결과였다. 우선, 시대적 흐름으로 간주되었던 페미니즘의 가치는 페미니스트 선언과 함께 인물로 형상화되며, 페미니스트를 검증의 대상으로 삼는 형태로 전환되었다. 선언 전후의 행보에 대한 대중적 검증의 방식은 특히 아직 일정한 지위를 갖추지 못한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의 활동을 축소하는 대상화로 이어졌다. 또한, 이전까지 사용되지 않았던 새로운 용어 ‘페미 논란’ 등은 페미니스트 의제와 함께 유발되는 정동을 바꿔냈다. 문제적 존재로서 페미니즘과 페미니스트가 제시되며, 페미니스트를 향한 혐오 발언이 정당화되었다. 이는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들의 일상적 관계망, 독립을 위한 자원, 사회적 신뢰의 손상으로도 나타났다. 페미니즘 리부트 세대가 자주 사용하는 언어 도구의 전유도 포착되었다. 성차별의 폭발적 공론화를 끌어낸 대표적 표현 ‘여성 혐오’는 ‘혐오’의 의미가 전유 되며 힘을 잃었고, 역으로 페미니스트와 페미니즘을 공격하는 도구로 활용되었다. 셋째, 지위와 언어의 훼손으로 취약한 지식인의 위치에 놓인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들은 두 가지 즉각적인 저항의 전략을 시작했다. 우선, 강남역 10번 출구에서 이미 경험한 적 있던 인식론적 무적성의 두 번째 붕괴를 경험한 뒤, 새로운 지식과 지식을 발굴할 언론, 출판, 소셜미디어 등의 플랫폼을 지속하여 만들었다. 이어, 증언적 질식과 해석적 질식으로 해석되는 인식론적 질식이 등장했다. 대화 거부와 침묵 등의 표출은 더 이상의 설득과 설명을 포기한다는 선언, 더 이상의 지적 돌봄을 행하지 않겠다는 이 파업 선언이었다. 사회적 소수자에게 끊임없이 요구되는 설명과 설득의 책임을 더 이상 감당하지 않겠다는 선언이자, 차별 행위를 지속해 온 이들과의 거리를 선포함으로써 의존도를 낮추고 독립적인 세계를 구축하겠다는 의지의 표출이기도 했다. 인식론적 돌봄 파업의 선언 이후 거듭 이어진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들의 인식론적 취약성의 배양은 구조적 성차별의 해법을 찾는 페미니스트 실천으로 이어졌다. 먼저 정서적, 신체적 차원에 주의를 기울이며 자신의 감각을 바꾸는 실천이 ‘밈’ 화 된 혐오 발언 대상이었던 페미니스트들의 ‘자기 복구’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실재하는 ‘몸’의 감각을 소환하거나 타인과의 관계망 안에서 자신의 위치와 정동을 재확인하는 방안도 동원되었다. 성장 과정의 주요한 가치관이었던 성공과 자기 계발, 임파워먼트에 대한 재고찰과 우울의 의미를 전복하는 움직임도 포착되었다. 생애 궤적에 따른 관계망과 사회 제도의 변화를 제안하는 등 보다 구체적인 사회적 조건이 검토되었다. ‘정상 가족’과 나이에 따른 기존 규범에의 도전은 원가족과의 관계, 아래 세대와의 관계를 변화시키는 실천으로도 발현되었다. 자신의 정동을 사회적으로 의미화해 온 세대는 동원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활용하여 자신을 지키는 법을 찾았고, 무력감과 우울은 페미니즘의 의제를 생존의 영역이자 엄밀한 정치의 영역으로 강조했다. 양가적 면모도 눈에 띄었다. 자율적이지 않은 존재, 주체적이지 않은 존재로서의 자신을 받아들이는 데에서 발현된 두려움은 자신의 우울과 괴로움을 승인하고 공개적으로 말하는 데에서의 여전한 어려움을 보여주었다. 개인적 극복을 촉구하는 포스트 페미니즘 방식으로의 귀결은 집단적 언어화로부터 사회가 아무런 것도 배우지 못했다는 방증이자, 우울의 취약성에 대한 사회적 승인이 이뤄지지 않은 현실을 드러냈다. 사회 변화를 추동할 동력을 상실하게 하는 인식론적 살해의 결과기도 했다. 두 번째 갈래의 인식론적 취약성의 배양은 반페미니즘을 만나며 더욱 활성화된 지적 실천의 방식이었다. 알지 못한다는 것, 틀렸다는 것, 자기 생각과 신념을 모험하는 데 열려있으며 자신을 투영하고 모르는 것을 배워야 한다는 지침은 억압과 폭력의 환경 안에서 다시 발휘되었다. 자기 인식과 특권의 발견은 지식의 확장으로 이어졌고, 지식의 취약성에 대한 인지는 지적 범위와 실천의 방식을 확장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자신과 입장이 다른 갈래를 향한 공격을 목도하며 오히려 이해의 도구를 획득했고, 익숙한 도구인 지식 체계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계보’의 감각과 특권적 지위를 발견했다. ‘선배 페미니스트’에 대한 열망은 지식의 지위와 권위를 확보하며 인식론적 부정의를 극복할 자원, 새로운 역량 평가 기준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선배 페미니스트’와의 불일치는 자신을 둘러싼 현실을 인식하고 의제를 발굴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지적 확장의 과정에서 지식을 쌓는 방식 자체에 대한 문제 제기와 함께 온라인 중심의 지식 습득 방식이 가진 한계점도 지적되었다. 익숙한 지식 습득의 방식을 낯설게 보는 무적성의 붕괴는 반페미니즘의 도식에서 발견되는 서사와 의사소통의 방식을 이탈할 방법을 제안하거나, 대립 항과의 대결 구도 안에서 제안되지 않는 의제를 재조망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활성화된 인식론적 취약성의 반복된 배양은 공통된 시대와 사회적 맥락을 살아가는 방식의 차이를 만들었고, 이후 발견될 점진적 변화를 예측하게 했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우선 메갈리아와 강남역 10번 출구 사건, 이른바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자신을 페미니스트로 정체화한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들의 실천과 이후의 양상에 따른 대응을 다각도에서 포착한 기록물이다. 사회적 맥락과 행위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해석함으로써 ‘젠더 갈등’이라는 단순한 진단, ‘청년’이라는 구별의 질서로만은 설명될 수 없었던 관점을 제시했다. 이는 분절된 단위로서 세대 혹은 집단을 상정하던 전제에서는 이해되지 않았던 행위의 맥락을 파악하게 한다. 이는 또한, 어떤 입장을 가진 독자들, 다른 세대에 속하는 독자들에게도 역시 영향을 미치는 공통의 사회적 맥락을 읽어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관점의 전환이 여성 청년을 중심에 놓는 정책과 교육의 새로운 기반이 되리라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는 지식 공동체의 형성과 인식론적 부정의와의 충돌 과정에서 드러나는 역동을 포착하며, ‘인식론적 취약성’의 개념으로 취약성의 의미를 전복하고자 했다. 촉발된 사건, 공동체의 형성과 지식의 확장 등 다각도의 요소에서 새로운 지식의 구성 과정을 살펴보며 지식의 사회적 영향력과 한계를 탐색했다. 인식론적 부정의의 작동과 행위자의 대응에 관한 분석은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방법과 실천, 혐오표현에 대한 대응과 차별금지 조항의 제반 조건 마련, 매체별 활용 방안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새로운 지식 플랫폼의 개발 제안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연구의 진행을 위해 본 연구에서 고의로 제외한 집단들에 영향을 미치는 특유의 사회적 맥락을 포착하는 후속 연구도 진행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물결이 치고 빠진다는 은유로 서술되던 선형적 진보와 후퇴의 서사만으로는 드러내기 어려웠던 페미니즘 리부트-페미니즘 백래시의 사회적 의미를 추적하며 반페미니즘의 방식을 돌파해 갈 다양한 갈래의 해법을 제안하고자 했다. 이 과정은 섣부른 진보와 퇴보의 진단으로 포착되기 어려웠던 복잡한 사회적 구조를 읽어내는 힘이자, 다중적 관점에서 사회적 사건의 복합적 의미를 추론하는 교차적 관점의 시도로도 이해된다. 이는 또한, 특정한 세대 집단의 기회이자 전보다 나아진 ‘진보 상태’로 진단됨으로써 비가시화되어 온 독특한 구조적 차별의 양상을 포착하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넷째, ‘여성-청년-페미니스트’라는 세대 단위를 기준으로 사회적 맥락을 바라보는 이 시도는, 성장 과정에서 이미 익숙한 것으로 체화되었던 삶의 방식과 세대 배경이 된 사건의 대응 방식을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개인화된 노력과 사회 구조적 차별의 긴장 관계를 드러냈다. 이러한 시도는 관습적으로 큰 고민 없이 사용되었던 ‘세대’ 개념의 여성학적 활용을 제안하는 예시이자 세대와 관련된 활발한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연구로서의 의미가 있다. 여전히 한계를 갖고 있는 세대 규정의 방식이 앞으로 더 확장되어 가기를, 세대의 의미를 지속하여 재구성하는 방식으로도 확장되기를 고대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practice that differentiate feminists from anti-feminists. From feminist reboot to anti-feminist backlash, The social and periodic context that produced the characteristics,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observed in the practices and responses of young Korean feminists, ranging from a reboot to anti-feminist backlash, was identified. By grasping the periodic and generational context in the shared logic of young feminists and anti-feminists, which seem to conflict, we tried to capture the tension of personalised efforts, structural discrimination, and agency as a feminist, leading to the effects and strategies of agents. The study aimed to address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recognising that while the online manifestation of anti-feminism backlash significantly affects the lives of young feminists, there has been limited exploration of feminism within the generational context, naming meth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 and practice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feminists who are considered to be at the forefront of the ‘feminist reboot’, the main features of this group’s feminist practice, and the social context that created those attributes? Second, what factors contributed to the rise of the anti-feminist backlash within the society, and what is the tangible effect of this oppositional strategy on the epistemic practice of contemporary feminists? Third, what are the effects, contradictions, and follow-up tasks of the practical strategies of young feminists who embody feminist epistemology? To address these questions, fifty young Korean feminists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between the summer of 2021 and the spring of 2023. In addition, to capture the mechanics of anti-feminist backlash, a media analysis was performed. This analysis focused on articles from major media from 2015 to 2022, which is the first time point of the feminist reboot. This study’s major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llapse of the solid belief that anything can be done through individual efforts and free choices —the collapse of epistemic invulnerability —was the most significant characteristic found in the ‘feminist reboot’ of young feminists. Women’s opportunities for higher education, which is also the achievement of the women’s movement, increased participation in the labour market. Moreover, the discourse of ‘alpha girls’ that spread together created a trend of viewing feminism as a relic of the old-fashioned and an anachronistic idea that repeatedly preaches projects that have already been completed. The young feminists, widely considered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feminist reboot, belong to a generation that grew under the influence of post-feminism. However, the occurrence of gender-based violence that threatened survival in everyday spaces in 2016 and the follow-up measures to label this incident as ‘do not ask why violence (Mudjima crime)’ evoked the myth’s fictitious structure that women’s social status has already attained a considerable level. Amid the uncertainty, the young feminist group continued to practice the most familiar tool, intellectual practice— which involves reading and writing at both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s, thereby establishing epistemic communities. A few years later, during the election, the young feminists demonstrated significant political influence. The problem was that the accumulated knowledge and language failed to achieve widespread social recognition. The competencies acquired by women did not result in the expansion of conditions and opportunities or changes in evaluation criteria. In the process of publicising the issue of structural gender discrimination and reconstructing the concept of fairness, ‘reverse discrimination’ discourse emerged. Consequently, feminists’ arguments were regarded as ‘the grunt of the incompetents’. Following the reboot, the young feminist’s generational unit consistently revised and reconstructed their knowledge, whereas the young anti-feminist generational unit, which belonged to the same emotional community called ‘anachronistic feminism’, stopped revising and reconstructing knowledge. To escape the sense of helplessness that occurred when the community’s knowledge collided with the outside society, the female youth feminist declared a new tool of knowledge called ‘backlash’. Second, an examination was conducted into the systematic epistemic violence that profoundly influenced everyday life. The status of knowledge and intellectuals, which provided the young feminists with their foundation and served as the most potent instrument in feminist practice, was consistently weakened. Damage, misreading, and appropriation of young feminists’ language have been observed in the Korean media since 2015, when the reboot was initiated. These issues pertain to the granting of intellectual authority, interpretation of events, and description of feminists. First, the value of feminism, regarded as the prevailing trend, was embodied as a person along with the feminist declaration and transformed into an objectification to verify. The process of publicly verifying actions before and after the declaration led to objectification, which reduced the activities of young feminists who lacked a certain status.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a new and unused term, such as the ‘femi-controversy’, changed the effects triggered along with the feminist agenda. Feminism and feminists were depicted as problematic, and hate speech against feminism was deemed acceptable. This phenomenon was detrimental to the support system of young feminists, their ability to access resources and to build social trust. The appropriation of language tools frequently used by the feminist reboot generation was also captured. The term ‘misogyny’, which drew out the explosive public debate of gender discrimination, lost its power as the meaning of ‘hate’ was appropriated. Conversely, it was used as a tool to attack feminists and feminism. Thirdly, young feminists, who were placed as vulnerable intellectuals due to damage to their status and language, initiated resistance to two strategies. First, after experiencing a second collapse of epistemic invulnerability following the Gangnam Station murder case, they persisted in creating platforms such as the media, publications, and social media to discover new knowledge. The concept of epistemic smothering, including testimonial and hermeneutical smothering, has emerged. The declaration of giving up any more persuasion and explanation and that of no more epistemic care were expressed as refusal and silence. Moreover, it declared that it would no longer be responsible for providing explanations and persuasion, which is constantly required of social minorities. It has expressed its will to lower dependence and build an independent world by distancing itself from those who have continued discriminatory acts. Cultivating epistemic vulnerability among young feminists after the declaration of an epistemic care strike has prompted feminist practice to seek solutions to structural gender discrimination. First, the practice of changing one’s senses by focusing on the emotional and physical dimensions was discovered in the self-care process of feminists as an object of ‘meme’ hate speech. Measures were also mobilised to summon the sense of the existing ‘body’ and reaffirm one’s position and affection within the network of others. Movements to subvert the meaning of depression and success, self-development, and empowerment, which are central to the values of the growth process, were also detected. More specific social conditions were reviewed, including the proposition of changes in the relationship network and social system according to life’s trajectory. The challenge to the existing norms according to the ‘normal family’ and age was also manifested as a practice of chan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family and the younger generation. Throughout generations, individuals who have established their affections in a social context have found ways to protect themselves by utilising all possible methods. Furthermore, feelings of helplessness and depression have emphasised the feminist agenda as an area of survival and a strict area of politics. The ambivalent aspect was also remarkable. The fear expressed in accepting oneself as a non-autonomous and non-subjective being demonstrates the difficulty in approving and speaking out about one’s depression and suffering. The consequence of a post-feminism method that urges personal overcoming is proof that society has not learned from collective verbalisation, and it reveals the reality that social approval of vulnerability in depression has not been made. It was also the result of ‘epistemicide’ that led to the loss of the driving force for social change. Cultivating epistemic vulnerability became a more active intellectual practice when confronted with anti-feminism. The guidelines for uncertainty fallibility, intellectual curiosity, projecting oneself, and learning what one did not know were re-emphasised in an environment of oppression and violence. The discovery of self-awareness and privilege has led to the expansion of knowledge and the scope of intellectual knowledge and practice methods, while also recognising the vulnerability of knowledge. Witnessing an attack on a branch that differed from one’s position provided a tool for understanding and discovering the sense and privileged status of ‘genealogy’ in reorganising the knowledge system, a well-known tool. The aspiration for ‘senior feminists’ presented resources and criteria for evaluating competence to secure knowledge’s status and authority and overcome epistemological negativity and inconsistency. Engaging with ‘senior feminists’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cognise the existing reality and discover their agenda. During intellectual expansion, the issue of accumulating knowledge itself was rais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online-centred knowledge acquisition method were also highlighted. The collapse of invulnerability, which unfamiliarised the familiar way of acquiring knowledge, has led to suggestions for breaking away from the narrative and communication found in the scheme of anti-feminism or reconsidering agendas that are not proposed within the structure of confrontation with the opposition. The repeated cultivation of epistemic vulnerability, which was activated after the feminist reboot, has significantly impacted our common times and social contexts, and is expected to bring about progressive changes in the futu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an archive that captures the practices of young feminists who have identified themselves as feminists after the Megalia and Gangnam Station murder case, as well as the so-called ‘feminism reboot’ from various angles. This particular understanding of the interplay between social context and agents cannot be adequately accounted for through the narrow categorisation of “gender conflict” or the distinction of “young generation”. Furthermore, reading common social contexts also affects readers across generations and positions. The shifting perspective will serve as a new foundation for policies and education for young women. Second, this study attempted to redefine vulnerability through the concept of ‘epistemic vulnerability’ to capture the dynamics of the conflict between forming a knowledge community and experiencing epistemic injustice. Knowledge’s social influence and limitations were explored by examin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new knowledge from factors such as triggered events, community formation, and knowledge expansion. Analysing the operation and response to epistemological injustice and the actor can be used as a feminist pedagogy method and practice. It can also serve as a response to hate expressions, preparation of various conditions for anti-discrimination provisions, utilisation plans for each medium,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new knowledge platform development proposals. In this process, a follow-up study can be conducted to capture the social context that affects groups deliberately excluded from this study to proceed with the research. Third,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various solutions to counter the anti-feminism method by tracing the social significance of the feminist reboot-feminism backlash. This was challenging to reveal using only the narrative of linear progress and retreat, which was described as a metaphor for wave hitting and falling. This process is understood as the power to read complex social structures that were previously difficult to capture through the diagnosis of premature progress and regression and as an attempt at a cross-view to infer the complex meaning of social events from intersectional perspectives. Additionally, it presents the opportunity to examine a particular generational group and the possibility of capturing unique structural discrimination that has been invisible by being diagnosed as an improved ‘progressive state’ than before. Fourth, examining the social context through the lens of the generational unit of ‘women-youth-feminist’ revealed a tens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sed efforts and social structural discrimination. This tension was embodied in the familiar growth process and the generational background that shaped responses to events. This attempt is meaningful as an example of proposing the feminist use of the concept of ‘generation’ that was conventionally used without much consideration. It also serves as a study that suggests the direction of active follow-up research related to generation. The further expansion of the method of generational research, which currently has limitations, is anticipated in a way that continuously reconstructs the meaning of gener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배경과 문제 제기 1 B. 연구 질문 및 논문의 구성 8 C.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자원 10 1. 인식론적 부정의의 발견과 인식론적 취약성의 배양 12 2. 여성-청년-페미니스트 19 가. 세대 개념과 ‘여성-청년-페미니스트’ 세대 단위의 양가성 19 나. 신자유주의 계급론과 ‘청년’의 개념화 22 다. ‘여성 청년’에 관한 여성학 연구의 계보 29 D. 연구 방법론 33 1. 연구 노트: 청년 범주와 연구자의 위치 33 2. 연구 방법 38 가. 심층 면접 38 (1) 연구 참여자의 특성 38 (2) 연구 참여자 모집, 동의 획득 과정 및 위험 관리 설계 46 (3) 심층 면접 진행 과정 48 나. 미디어 분석 49 (1) 자료 특성 및 선정 과정 49 (2) 분석 도구 51 다. 문헌 연구 52 II.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의 페미니즘 리부트와 인식론적 실천 54 A. ‘알파걸’ 담론의 확산과 포스트 페미니즘 54 1. 여성의 교육과 노동시장 참여 확대 54 2.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믿음과 포스트 페미니즘 58 B. ‘강남역 10번 출구’ 사건과 페미니즘 리부트 63 1. ‘묻지마 폭행’이 환기한 인식론적 불확실성 63 2. 인식론적 무적성의 붕괴와 구조적 성차별의 일상성 68 C.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 인식론적 공동체의 탄생 71 1. 페미니스트 대항 지식과 지식 공동체의 확산 71 2. 공동체의 정치적 조직화 74 D. 공인되지 못한 공동체의 언어 77 1. 구조적 성차별의 공론화와 불공정 담론의 확산 77 2.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 세대의 백래시 선언 86 E. 소결 95 III. 반페미니즘의 대중화와 인식론적 부정의의 일상화 98 A. 페미니스트의 위상 변화 98 1. 페미니스트 선언과 대상화 100 2.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 대표와 외모로의 축소 104 B. ‘논란’의 주체, 페미니스트 혐오의 정당화 107 1. 결합어 ‘페미 논란’과 ‘젠더 갈등’의 탄생 107 2.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와 페미니스트 프로파일링 112 가. 친밀한 관계와 독립 자원의 손상 114 나. 사회적 인정과 신뢰의 손상 120 C. 페미니즘 리부트 세대의 언어와 언어 전유 129 1. ‘혐오’의 의미 변화 129 2. 언어 전유와 취약한 지식 135 D. 소결 142 IV.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들의 취약성과 양가적 포스트-페미니즘 실천 144 A. 지적 저항과 인식론적 질식 144 1. 무적성의 두 번째 붕괴와 지식 재생산 플랫폼의 형성 144 2. 인식론적 돌봄 파업과 인식론적 질식 147 B. 탈진실 시대, ‘밈’의 세계와 인식론적 취약성의 정서적 배양 153 1. 가상의 ‘밈’과 싸우는 ‘밈’의 실체적 ‘자기’ 복구 154 2. 개인화된 자원 동원과 일상의 정동 정치 160 3. 성공과 자기 계발의 재해석 174 4. 생애 궤적과 관계의 재구성 180 C. 반페미니즘 백래시와 인식론적 취약성의 지적 배양 188 1. 자기 인식과 인식론적 공동체의 확장 188 2. 계보의 상상과 재건되는 페미니스트 역량 196 D. 소결 202 V. 결론 205 참고문헌 211 부록 1. 페미니즘 백래시 타임라인 (2021 ~ 2023) 243 부록 2. IRB 심의 결과 통보서 2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187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여성 청년, 포스트 페미니즘, 페미니즘 리부트, 반페미니즘, 백래시, 인식론적 부정의, 인식론적 취약성, 취약성, 세대단위, 포스트 페미니즘 리부트-
dc.subject.ddc300-
dc.title포스트 페미니즘 리부트 시대, 여성 청년 페미니스트의 부상과 인식론적 취약성-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Epistemic Vulnerability of Korean Budding Feminists in the Era of Post Feminism Reboot-
dc.creator.othernameOh, Hye Min-
dc.format.pagexiii, 257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2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