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 Download: 0

중·고령자의 삶의 의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Title
중·고령자의 삶의 의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Mediating effects of preparation for old 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life and happiness of middle and old aged people: Focusing on age Group Difference
Authors
전샛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중고령자, 삶의 의미, 노후준비, 행복감, 연령집단 비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삶의 의미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삶의 의미와 행복감의 경로에서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연령집단 간 비교를 통해 65세 미만 집단과 65세 이상 집단의 차이를 살펴보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고령자의 행복감 증진에 대한 방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 진행된 ‘은퇴 후 중장년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사회참여 연구’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서울시에 거주하며 은퇴하였거나 은퇴를 준비하고 있는 만 55~74세의 중장년층 1,0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65세 미만은 653명, 65세 이상은 415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고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자의 삶의 의미는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고령자의 삶의 의미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증가하였다. 둘째, 삶의 의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노후준비가 중고령자의 삶의 의미와 행복감 간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모두 유의했으며, 삶의 의미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노후준비도 간접적으로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고령자 삶의 의미가 노후준비를 매개하여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65세 미만 집단과 65세 이상 집단 모두 노후준비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으며, 연령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자의 삶의 의미는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삶의 의미 이해 및 발견을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자신의 삶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긍정적으로 재해석할 수 있도록 의미 치료 등의 개입을 통해 삶의 의미를 증진하는 활동이 필요하다.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다양한 사회활동에 참여하여 중장년기 이후 노년기까지도 다양한 세대와 의사소통하며 의미 있는 삶을 보낼 수 있는 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중장년기는 생물학적 변화나 사회 변화로 인해 여러 가지 위기를 겪게 되므로 심리·정서적 어려움 해소를 위한 상담 프로그램과 더불어 사회 및 가족의 적극적인 관심이 격려되어야 한다. 둘째, 중고령자의 삶의 의미와 행복감의 관계에 있어 노후준비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 행복한 삶을 위한 노후준비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며, 은퇴 후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노인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개개인의 특성 및 욕구에 맞춘 노후설계 서비스 프로그램이 전문적으로 활성화되어야 하는 등 노년기가 되기 전부터 노후에 대해 준비할 수 있도록 노후준비 인식 증진과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중고령자의 삶의 의미가 노후준비를 매개로 하여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연령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65세 이상 집단보다 65세 미만 집단에서의 각 경로 간 차이가 미세하게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65세 노인이 되기 전부터 삶의 의미나 노후준비에 대한 개입을 통해 행복감을 증진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시간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횡단연구가 아닌 종단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전 지역을 대상으로 75세 이상의 노인까지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일반화의 토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령 이외의 요인들을 고려하여 노후준비에 대한 영역별 비교를 통해 중고령자의 삶의 의미, 노후준비, 행복감 간의 관계를 살펴본다면 더욱 흥미 있는 연구가 진행될 것이라 기대된다.;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e meaning of life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ffects happines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tirement prepa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meaning and happiness. Furthermore,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age group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under 65 and the group over 65 were examin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plan to improve the happiness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as proposed. In this study, data from the ‘Social Participation Study according to the Lifestyle of Middle-aged People After Retirement,’ conducted in 2021, were us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68 middle-aged people aged 55 to 74 who lived in Seoul and were either retired or preparing to retire. Among the study subjects, 653 were under the age of 65, and 415 were over the age of 6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and a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eaning of life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had a direct effect on happines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meaning of life for these individuals, the greater their sense of happines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life and happiness, it was found that retirement prepar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e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were all significant, indicating that not only does the meaning of life impact happiness but also that preparation for retirement indirectly affects happiness. Third, regarding the effect of life meaning on happiness by mediating retirement preparation,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in both the under the age of 65 group and the over the age of 65 group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ge group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discussion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life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s a factor that directly affects happiness. Programs for understanding and discovering life meaning should be provided. Activities to promote life meaning through interventions such as meaning therapy are necessary so that individuals can accept their lives as they are and reinterpret them positive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activity program that allows communication with various generations, from middle-aged to old age, by participating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that meet individual needs. Additionally, since middle-aged and older adults experience various crises due to biological or social changes, active interest from society and families should be encouraged, along with counseling programs to resolv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Second, it was found that retirement prepara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meaning and happiness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tervention in retirement preparation for a happy life in old age is necessary, and education for the elderly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so that they can live independently after retirement. In addition,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raise awareness of retirement preparation and to prepare for old age before reaching it, such as professionally activating retirement design service programs tailored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needs. Finally,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age groups in the effect of life meaning on happiness through retirement prepar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path in the group under the age of 65 were slightly higher than in the group over the age of 65. Specific intervention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enhance happiness through life meaning or intervention in retirement preparation before reaching the age of 65. In subsequent studies, longitudinal studies rather than cross-section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examine changes over time. It is necessary to lay the foundation for generalization by targeting even the elderly over 75 years of age across the entire region. In addition, more interesting research could be conducted if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meaning, retirement preparation, and happiness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s examined through a comparison of retirement preparation by area, considering factors other than 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