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 Download: 0

Andersen 모형을 이용한 한국 성인의 우울 유형과 정신건강 상담 이용의 관계 탐색

Title
Andersen 모형을 이용한 한국 성인의 우울 유형과 정신건강 상담 이용의 관계 탐색
Other Title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Types and Mental Health Counseling Utilization among Korean Adults using the Andersen Model
Authors
김다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우울의 잠재집단을 구분하고, 각 잠재집단별 정신건강 상담 이용 차이를 살펴본 후, 앤더슨 모형을 이용하여 잠재집단별로 정신건강 상담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성인 우울의 이질적인 하위 유형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앤더슨 모형의 선행요인, 가능요인, 욕구요인을 바탕으로 우울의 유형과 정신건강 상담 이용에 있어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적인 대표성을 지니는 질병관리청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제8기 2차년도(2020)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은 우리나라 성인에 해당하는 만 19세 이상의 5,292명이다. 주요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 잠재계층분석을, 카이제곱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 결과 첫째, 네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대부분의 증상에서 높은 수준을 경험하는‘심한 우울형(7%)’, 신체화 증상이 특징인 ‘신체화형(25.7%)’, 무기력한 감정과 신체 증상이 동반된‘우울감 및 신체화 동반형(7.6%)’, 임상적 우울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비우울형(59.7%)으로 나타났다. 둘째, 잠재계층별 특성을 살펴본 결과, ’심한 우울형’의 경우, 여성 비율과 의료급여인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미혼이자 미취업인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스트레스 인지가 상대적으로 가장 좋지 않아 전반적 영역에서 가장 취약한 특성을 지녔다.‘신체화형’의 경우 여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평균 연령이 낮았으며,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경험이 있는 비율이 가장 낮았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스트레스 인지는 다른 유형에 비해 나쁘다고 느끼는 경우가 적은 것으로 보였다. ‘우울감 및 신체화 동반형’은 여성의 비율이 높고, 연령이 높았으며, 미취업의 비율이 타유형에 비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 영역에서 ‘심한 우울형’ 다음으로 전반적 영역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와 스트레스 인지 역시 타 유형에 비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우울형’은 남성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전반적인 영역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 잠재계층에 따른 정신건강 상담 이용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신건강 상담 이용 경험이 없는 경우 비우울형’은 98.6%, ‘신체화형’은 96.5%, ‘우울감 및 신체화 동반형’은 92%,‘심한 우울형’은 81.3%, 순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 상담 이용 경험이 있는 경우 ‘심한 우울형’은 18.7%, ‘우울감 및 신체화 동반형’은 8.0%, ‘신체화형’은 3.5%, ‘비우울형’은 1.4% 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앤더슨 모형을 바탕으로 네 가지 우울 유형별 정신건강 상담 이용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심한 우울형은 욕구요인에서 스트레스 인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행요인, 가능요인 모두 심한 우울형의 정신건강 상담 이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화형은 선행요인에서 성별, 가능요인에서는 결혼여부, 욕구요인에서는 스트레스 인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감 및 신체화 동반형은 선행요인에서 교육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가능요인, 욕구요인은 우울감 및 신체화 동반형의 정신건강 상담 이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우울형은 선행요인에서 성별, 교육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으며, 욕구요인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와 스트레스 인지가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가능요인은 비우울형의 정신건강 상담 이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울 척도 점수에 집중되어 우울 수준이 논의되던 기존의 연구들에서 더 나아가 우울 증상의 하위 요인을 분석하여 잠재계층을 유형화하고, 앤더슨 모형을 적용하여 정신건강 상담과의 관계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여 예방적 차원의 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성인의 우울증 예방과 정신건강 상담 이용을 증진할 수 있는 정책적 및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 제언을 논의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latent classes of adult depression, examine the mental health counseling utilization among these subgroups, and and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mental health counseling utilization for each latent subgroup using the Anderson Model. Through this, the study aimed to identify heterogeneous subtypes of adult depression and elucidate the relevance of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 factors based on the Anderson Model to types of depression and utilization of mental health counseling.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the 2nd year of the 8th cycle (2020)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by the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which has nationwide representativeness. The final analysis included 5,292 adults aged 19 and older in South Korea. To analyze the main research questions, latent class analysis, chi-squared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four types of depression were identified: 'Severe Depression Type (7%)' experiencing high levels in most symptoms, 'Somatization Type (25.7%)' characterized by physical symptoms, 'Depression with Somatization Type (7.6%)' featured depression with physical symptoms, and 'Non-Depressive Type (59.7%)' which does not reach the level of clinical depression.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otential class, the ‘Severe Depression Type’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women and those receiving medical benefits, and the proportion of unmarried and unemployed people was relatively high.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perceived stress were relatively poor, making them the most vulnerable in all areas. In the case of 'Somatization Type', the proportion of women was relatively high, the average age was low, and the proportion of people with experience receiving benefits from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System This was the lowest.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perceived stress seemed to be less bad than other types. The ‘Depression with Somatization Type’ had a higher proportion of women, was older, and had the highest rate of unemployment compared to other types. It showed a high level in the overall area next to the ‘severely depressed typ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tress perception were also found to be poor compared to other types. Lastly, the ‘Non-Depressive Type’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men and was found to be good in all areas. Thirdl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counseling use according to depression latent class are as follows. In cases with no experience of using mental health counseling, the ‘Non-depressive Type’ was 98.6%, the ‘Somatization Type’ was 96.5%, the ‘Depression with Somatization Type’ was 92%, and the ‘Severe Depression Type’ was 81.3%. Among those who had experience using mental health counseling, 18.7% were ‘Severely Depressed Type’, 8.0% were ‘Combined Depression and Somatization Type’, 3.5% were ‘Somatization Type’, and 1.4% were ‘Non-depressive Type’. Lastly, based on the Anderson Model, th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mental health counseling utilization by the four depression types revealed the following. Severe Depression Type showed that stress influenced counseling utilization in the need factor. But predisposing and enabling facto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mental health counseling utilization. Somatization Type indicated that gender in predisposing factors, marital status in enabling factors, and stress perception in need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s. Depression with Somatization Type revealed that education level in predisposing factors influenced counseling utilization. However, enabling and need facto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mental health counseling utilization for this type. Non-depressive Type was associated with gender and education level in predisposing factor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tress perception in need factors. However, enabling facto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mental health counseling utilization for Non-Depressive Depression Type. This study goes beyond pilot study that focused on depression scale scores by analyzing the subtypes of depression symptoms, categorizing latent classess, and applying the Anderson Model to multidimension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with mental health counseling. It is significant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preventive measures. Based on the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discussed to enhance depression prevention and promote the utilization of mental health counseling among adults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