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8 Download: 0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건전가정’ 만들기와 북한 가정 담론

Title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건전가정’ 만들기와 북한 가정 담론
Other Titles
The Making of the “Wholesome Family” through the “North Korean Family” Discourse during the Park Chung-hee regime in the 1970s
Authors
김소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Keywords
북한 가정 담론, 건전가정, 조국근대화, 가족 규범, 1970년대 근대 가족, north korean family discourse, wholesome family,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 family norm, 1970s modern famil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지영
Abstract
이 연구는 1970년대 남한 사회에서 생산된 북한 가정에 대한 담론을 분석해 ‘건전가정’이 어떻게 구성되고 있었는지 살펴본다. 1970년대 남한 사회에서 형성된 북한에 대한 비판적 논의는 반공주의에 기반한 국가의 프로파간다 기획이었다. 냉전 시기의 남한에서 반공주의는 단순히 북한을 적대시하는 것이 아니었다. 반공주의는 남한 사회 내부를 향하는 것이었다. 북한 가정에 대한 논의는 건전한 남한의 가정을 설정하는 데 활용됐다. 북한 가정과 대비되며 만들어진 건전가정의 의미를 읽어내 박정희 정권기 이상적인 가족이 어떻게 구축되고 있었는지 들여다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1970년대 남한의 북한 가정 담론 속에서 북한 가정은 애정이 결여돼 있다는 점에서 남한 가정과 다른 것으로 묘사됐다. 사랑이 그 존재만으로도 공산주의를 위태롭게 하는 감정이기에 북한 체제가 사랑을 억압한다는 것이다. 북한 사회는 사랑하는 사람과 자유롭게 결혼할 수 없고, 가족에 대한 사랑보다 당과 김일성에 대한 헌신을 더 중요시해야 하는 곳으로 그려졌다. 이때 북한 체제가 억누르고자 했던 ‘사랑’은 공산주의의 대척점에 있는 자유주의적인 감정으로 설정되며, 더 나아가 가정과 사회를 건전하게 하는 것으로 만들어졌다. 북한 가정은 파괴될 위험에 처한 것으로 이야기되기도 했다. 북한 가정 담론에 따르면 북한 체제는 여성을 가정에서 해방시키겠다는 구실로 여성이 전통적인 의무를 수행하지 못하게 하고 봉건주의의 잔재라는 이유로 민족적 전통을 없애려 했다. 이는 가정의 해체를 위한 조치로 설명됐다. 이러한 논의 속에서 전통은 가정을 지키는 보루로 만들어졌다. 이는 박정희 정권의 전통 동원과 연결돼 있었다. 전통을 배격하고 파괴하는 북한의 이미지를 통해 전통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이와 같은 담론적 지형 안에서 남한의 여성운동에 대한 비판이 제기됐다. 남한의 남성 지식인들은 여성운동이 북한 체제와 같이 가정을 지키는 전통에 반발하는 움직임이라고 보며, 여성운동으로 인해 공산주의가 남한 사회에 침투될 수 있는 여지가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사랑과 전통에 기반해 건전가정의 의미가 만들어지는 한편 1970년대 남한 사회에서는 건전가정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양식이 제시됐다. 예컨대 가정을 건전하게 하는 것으로써 부부애는 가족계획과 가계저축을 통해 표현될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탁아소 제도를 시행하는 북한 사회와 대비를 통해 여성의 어머니 역할과 모성애가 아이를 올바르게 길러 건전한 가정을 건설하는 데 필요한 것으로 부각됐다. 이와 같이 건전가정을 만드는 데 필요한 것으로 설정된 행동양식들은 당시 박정희 정권의 경제 개발 계획이 처해 있던 상황과 관련돼 있다. 박정희 정권은 급격한 경제 규모의 증가로 인해 위기가 발생하자 가정의 소비를 억제하여 그 부담을 가정에 전가하고자 했다. 이때 박정희 정권은 절약의 목표로 가계의 자립을 강조했는데, 이는 건전가정의 육성을 위한 것으로 제시된 행동 규범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었다.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이 ‘건전가정’을 육성하고자 했던 시도는 이처럼 건전가정의 모호한 의미를 구체화하는 것이었다. 무엇을 건전한 것으로 보는지에 따라서 건전가정의 의미는 언제든 변할 수 있었다. 그렇기에 국가는 북한이라는 존재를 담론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그 내용을 명확히 설정하고자 했다. 북한 가정에 대한 비판을 통해 특정한 모습의 이상적인 가정을 만들고자 했던 것이다. 북한 가정 담론을 통해 건전가정이 만들어지던 1970년대는 박정희 정권이 전통을 접목한 ‘한국적 근대화’를 주창하던 시기였다. 건전가정은 낭만적 사랑과 같은 근대 자유주의의 요소를 포함하면서도 당시 박정희 정권의 전통론과 연결돼 있었다. 건전가정이라는 개념에는 한국적 근대화의 측면이 담겨 있었다. 이 연구는 조국근대화의 시기 한국 사회에서 근대적 구조가 형성될 때 ‘건전가정’이라는 특정한 가족의 개념이 만들어지는 과정, 그 내용이 북한에 대한 대비를 통해 채워진 양상을 읽어낸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1970년대 이상적인 가족이 역사적 국면 속에서 정치적으로 구성되고 있었음을 드러내려 한다.;This study examines the North Korean family discourse produced in South Korea during the 1970s to analyze how the “wholesome family” was constructed. The critical discussions of the North Korea in 1970s South Korea were the national propaganda project based on anti-communism. In Cold War-era South Korea, anti-commuism was not merely directed against North Korea; rather, it was directed inward, towards South Korean society. The discourse about North Korean family were utilized in establishing the image of the wholesome South Korean fam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wholesome family in contrast to North Korean family, delving into how an idealized family was being constructed during the Park Chung-hee regime. In contrast to the portrayal of South Korean family life, North Korean family life was seen as lacking affection. According to North Korean family discourse, love is constructed as an emotion that inherently threatened communism, leading to its suppression within the North Korean system. North Korean society was depicted as a place where individuals could not freely marry those they loved, emphasizing dedication to the state and Kim Il-Sung over familial love. Love was defined as a liberal sentiment in opposition to communism and a contribution to build the wholesome family and society. The discourse also depicted the North Korean family as constantly under threat of destruction by the state. It is argued that North Korean authorities aimed to dismantl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s by prohibiting women from engaging in customary duties and denouncing national traditions as vestiges of feudalism, all under the guise of liberating women from domestic confines. Tradition, consequently, became a bulwark for the family, aligning with the Park Chung-hee regime’s mobilization of the tradition.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 was emphasized by portraying North Korea as rejecting and eradicating it. Within this context, criticisms of the South Korean feminist movement emerged. Male intellectuals in South Korea viewed the feminist movement as a movement opposing traditional family values, akin to the North Korea. The fear was raised that the feminist movement could allow communist ideologies to invade South Korean society. The specific behavioral norms were presented as necessary for fostering the wholesome family in 1970s South Korea. For instance, it is said that the conjugal love could be expressed through family planning and household savings. Also, emphasis was placed on women's motherhood and maternal love as indispensable elements for nurturing the wholesome family and raising children appropriately, distinguishing from North Korean society where the utilization of daycare system is commonplace. The behavioral norms established as prerequisites for constructing the wholesome family are linked to the modernization plans of the Park Chung-hee regime. During an economic crisis precipitated by rapid expansion, the regime sought to shift financial burdens onto families by imposing household savings. The family’s financial independence could be realized through the presented behavioral norms aimed at fostering the wholesome family. The attempts by the Park Chung-hee regime to cultivate the wholesome family aimed to concretize the ambiguous meaning of it. Depending on what was considered wholesome, the meaning of the wholesome family could change. Therefore, the state sought to clarify its content by discursively utilizing the existence of North Korea. The 1970s was also a period when the Park Chung-hee regime advocated for “Korean modernization” by incorporating tradition. The concept of the wholesome family included elements of modern liberalism, such as romantic lov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tradition. The notion of the wholesome family contained aspects of Korean moderniz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the specific concept of the wholesome family made in Korean society during the era of the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 It aims to reveal that an idealized family was politically constituted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