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2 Download: 0
20~30대 여성의 자궁·난소 질환 경험을 통해 본 ‘가임’ 중심 생애 규범과 질환의 의미 재/구성
- Title
- 20~30대 여성의 자궁·난소 질환 경험을 통해 본 ‘가임’ 중심 생애 규범과 질환의 의미 재/구성
- Other Titles
- Life Norms Centered on ‘Fertility’ and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Illness Through the Experiences of Uterine and Ovarian Diseases in Women Aged 20s to 30s
- Authors
- 권효은
- Issue Date
- 2024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여성학과
- Keywords
- 자궁·난소 질환, 2030 여성, 가임, 질병 서사, 생애 규범, 생애 기획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이은아
- Abstract
- 본 연구는 자궁·난소 질환을 앓고 있는 20~30대 여성의 경험에 주목하였다. 그동안 자궁·난소 질환은 여성의 임신을 어렵게 하는 것, 임신과 출산을 위해 치료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사회적 문제가 되어왔다. 그러나 임신과 출산에 대한 사회적 규범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아이를 가지는 것은 더는 여성들에게 필수적으로 이행해야 할 삶의 목표가 아니다. 이에 본 연구는 질환이 지금의 20~30대 여성들에게 어떤 식으로 의미화되고 있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대 저출산 위기 담론 속에서 자궁·난소 질환이 출산율 저하의 주범이라는 주장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질환은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인구학적 문제로서 사회적 주목을 받게 되었다. 현재 부인과 방문의 대중화와 건강보험 확대로 환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이러한 증가 폭은 만혼과 저출산이라는 ‘사회적 위험’으로 해석되고 있다.
둘째, 20~30대 여성들의 자궁·난소 질환 경험은 임신 및 출산이라는 여성에 대한 생애 규범과 경합하고 있었다. 질환의 증상 중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월경통의 증상은 여성에게는 ‘당연한 것’으로 간주되어 간과되었으며, 질환은 성적인 것과 연관되어 터부시되고 있었다. 이에 여성들은 치료를 받기 제때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었으며, 병원에 방문하더라도 자신의 생애 계획과는 상관없이 가임기 중심의 치료를 받게 된다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었다. 치료는 임신과 출산을 위해 단기적·임의적으로 이루어졌고, 이 과정에서 여성들의 혼인 상태나 나이가 치료의 방식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 치료의 과정을 통해 여성들은 임신과 출산에 대한 사회적 압박을 느끼거나, 몸의 고통과 통증이 나아질 수 없다는 불안 속에서 사회적 관계의 단절을 경험하였다.
셋째, 여성들은 질환 경험을 통해 자신의 재생산 실천에 대한 계획을 적극적으로 설정해나가고 있었다. 여성들은 자신의 결혼과 임신에 대한 계획을 수정하기도 하고, 비출산을 다짐하기도 하였으며, 결혼과 임신을 이성애중심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선택’은 ‘결혼-임신·출산-육아’라는 여성의 생애 규범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었다. 여성들에게 비출산은 여성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으로 간주된 반면, 난임은 ‘어쩔 수 없는’ 것으로 이해되었기 때문이다. 여성들에게 비출산을 ‘선택’하기 위해 아이를 낳을 수 있는 몸이 필요하다는 역설은, 결과적으로 임신을 정상으로 난임을 비정상으로 보게 하는 사회적 규범을 강화하고 재생산하는 효과를 낳았다.
넷째, 여성들은 질환의 의미를 변화하고 확장하고자 하였다. 여성들은 질환을 노화의 과정이자 자신의 몸을 돌보는 과정으로 이해하면서, 질환을 긴 생애주기 동안 함께 해야 할 삶의 과업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더 나아가 여성들은 질환 경험을 적극적으로 발화하고, 자신의 몸에 관한 관심을 사회적 관심으로 확장해 나갔다. 이를 통해 여성들은 질환 경험을 자기 삶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데 활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자궁·난소 질환이 여성의 ‘생식능력’을 중심으로만 논의되었던 기존의 논의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고자 하였다. 이에 현재의 20~30대 여성들이 질환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그 현장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그동안 주목받지 않았던 여성들의 자궁·난소 질환 경험에 주목함으로써, 20~30대 여성들이 질환을 어떻게 의미화하고 이를 자신의 생애 기획에 활용해나가는지를 조명하였다는 데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자궁·난소 질환이 여성들에게 임신 및 출산과 관련된 동시에, 생애 기획안에서 질병과 함께 자기 삶의 방식을 조율해나가는 복합적인 요소로 작동한다고 주장하고자 하였다.;This study focuses on the experiences of women in their 20s to 30s suffering from uterine and ovarian diseases. Historically, these conditions have been perceived as social issues, since they were considered as challenges to women’s fertility or illness that should be treated for pregnancy and childbirth. However, social norms regarding pregnancy and childbirth are rapidly changing, and having children is no longer an obligatory life goal for wome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diseases are being conceptualized by women in their 20s to 30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the discourse of the low birthrate crisis in the 2000s, uterine and ovarian diseases emerged as main blame for declining fertility rates. During this process, diseases shifted from being perceived as individual problems to social concerns within the demographic context. Despite the ongoing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women’s health check-ups and expanded health insurance coverage, this rise is still interpreted as a ‘social risk’ associated with delayed marriage and low birthrates.
Second, the experiences of uterine and ovarian diseases among women in their 20s to 30s conflicted with social norms and expectations regarding women’s life events, particularly pregnancy and childbirth. Symptoms of the diseases, such as menstrual pain, which is the most common symptom, were often disregarded as a ‘natural’ part of being a woman, and diseases were stigmatized as issues related to sexual matters. Consequently, women faced difficulties in receiving proper treatment on time, and even when seeking medical care, they encountered issues related to receiving fertility-centric treatments regardless of their life plans. Treatment often prioritized short-term and arbitrary solutions for pregnancy and childbirth, influenced by the women’s marital status and age. Through the treatment process, women experienced social pressure related to pregnancy and childbirth or faced social disconnection due to the anxiety that their physical pain and suffering might persist.
Third, women were actively setting up the plans for their reproductive practices through their experiences with diseases. They modified their plans for marriage and pregnancy, sometimes choosing not to reproduce or interpreting marriage and pregnancy in non-heteronormative way. However, their ‘choices’ were not entirely free from the social norms of the traditional female life cycle of ‘marriage-pregnancy/childbirth-parenting.’ Choosing not to procreate was considered as a ‘free’ personal choice for women, while infertility was seen as an ‘inevitable’ circumstance. This paradox reinforced social norms that categorized pregnancy as normal and infertility as abnormal.
Fourth, women sought to change and expand the meaning of diseases. They understood diseases as part of the aging process and as a mechanism of self-care. Women perceived diseases as life tasks to be managed throughout their extended life cycle. Moreover, they actively shared their experiences with diseases, expanding their personal interest in their bodies into social interest. Through this process, women utilized their experiences with diseases to reshape the direction of their lives.
This study challenges the conventional discourse that has predominantly discussed uterine and ovarian diseases solely within the context of women’s ‘reproductive capabilities’. By capturing the experiences of women in their 20s to 30s nowadays,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the previously overlooked experiences of women with uterine and ovarian diseases. It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understanding how these women make meaning to their diseases and incorporate them into their life plans. Ultimately, this research argues that uterine and ovarian diseases operate as complex factors influencing women’s lives, regulating not only aspects related to pregnancy and childbirth but also shaping their lifestyle choices within the framework of life planning.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