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 Download: 0

교사용 도덕적 손상 반응 척도 개발 연구

Title
교사용 도덕적 손상 반응 척도 개발 연구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he Moral Injury Response Scale for Korean teachers
Authors
김지영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교사, 도덕적 손상, 교권 침해, 윤리적 딜레마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교사를 위한 도덕적 손상 반응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도덕적 손상을 측정하는 데서 더 나아가 교권 침해가 공교육의 위기로 대두된 한국 사회에서 교사들이 표현하는 고유한 도덕적 손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문항을 구성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예비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국내외 도덕적 손상 척도 검토, 한국 교사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선행연구, 현직 교사 인터뷰 등을 기반으로 개념 참조 틀을 구성하고 이를 토대로 예비문항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178개의 문항은 내용타당도 및 안면타당도 검증을 통해 54개 문항으로 축소되었다. 이 54개 문항에 더하여 수치심, 죄책감 및 분노 척도에 초·중·고 현직 교사 212명이 응답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총 212개의 자료를 무작위로 두 개의 표본으로 분할하여 한 표본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다른 표본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척도는 2요인 3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요인은 20개 문항의 ‘타인 지향 도덕적 손상 반응’과 10개 문항의 ‘자기 지향 도덕적 손상 반응’으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 결과 개발된 교사용 도덕적 손상 반응 척도는 1) 내용타당도 및 안면타당도 검증, 2) 내적합치도 산출을 통한 신뢰도 검증, 3)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인타당도 검증, 4) 상관분석을 통한 준거 관련 타당도 검증을 통해 타당성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준거 관련 타당도 검증 결과, 개발된 척도의 하위 구인은 한국판 도덕 손상 사건 척도 및 도덕 손상 경험 척도를 비롯하여 수치심, 죄책감 및 분노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도덕적 손상 반응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측정 도구를 개발한 첫 연구로서 학문적 함의를 가지며, 교원의 전문적 권위와 도덕적 권위에 대한 침해에 대한 현장 반응을 경험적으로 반영했다는 측면에서 높은 실무적 활용도가 기대된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교사들이 경험하는 배신감과 분노 등의 심리적 어려움의 기저에는 사회구조적인 배신 및 위반 행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리고 죄책감, 자기 비난, 사회적 철회의 기저에는 교직의 윤리적 딜레마에 기반한 자신의 위반 행위 자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교사들의 심리적 어려움을 단순히 개인 병리적인 증상이나 소진으로 바라보는 관점에서 탈피하여, 사회구조적 불공정성과 윤리적 딜레마에 기인한 도덕적 손상으로 바라보도록 제안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개발된 척도는 기존에 연구되지 않았던 교사들의 심리 내적인 도덕적 손상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도덕적이고 영적인 차원의 외상을 치유하기 위하여 적극적인 심리지원과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한 사회적인 공감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ral Injury Response Scale for Korean teachers. The focus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measure general moral injury, but also to construct items that can help us understand the unique moral injury expressed by teachers in South Korea, where teachers’ rights Infringement has emerged as a crisis in public education. As moral injury scale has not been developed for teachers in Korea, we constructed a conceptual frame of referenc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domestic and international Moral Injury scales, and interviews with teachers in the field. The initial 178 items were reduced to 54 items during the content validation & face validity verification. In addition to these 54 items, we analyzed the responses of 212 in-service teacher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o the shame, guilt, and anger scales. The total data was randomly divided into two samples, one to conduc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other to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Each factor was assessed according to ‘other-oriented moral injury response’ with 20 items and ‘self-oriented moral injury response’ with 10 items. The Moral Injury Response Scale for Korean teachers(MIRS) developed as a result of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of validity through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face validity verification, reliability verification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calculation, construct validity verification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verification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The two factors of MI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hame, guilt, and anger, as well as the Korean version of Moral Injury Events scale and Moral Injury Experiences scale. This study has academic implications as it is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moral injury reactions in Korean teacher population and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them. It is also highly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reflects on-the-ground reactions to infringements on teachers' professional and moral author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firm the existence of societal betrayals and violations underlying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Korean teachers, such as feelings of betrayal and anger, and the perception of their own violations based on the ethical dilemmas of the teaching profession underlying their feelings of guilt, self-blame, and social withdrawal. It provides a basis for suggesting that teachers' psychological difficulties should be viewed as moral injury with a moral and spiritual trauma stemming from societal injustices and ethical dilemmas, rather than simply as individual pathological symptoms or burnout. The developed scale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access the previously unexplored experience of moral injury in the minds of teachers, and it is hoped that it will create a social consensus on the need for active psychological support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to heal moral and spiritual traum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