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 Download: 0

성소수자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Title
성소수자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Other Titles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mong Sexual Minority College Students in Korean : Self Encouragement and Sexual Minority Positive Identity as a Mediator
Authors
신혜선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성소수자(Lesbian, gay and bisexual; LGB) 대학생이 지각하는 성적 지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인지진로이론을 기반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소수자는 비성소수자와는 구별되는 발달 과정을 경험하기 때문에 성소수자 대학생의 진로 발달을 이해하고 돕기 위해서는 성소수자의 소수자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성소수자 집단이 경험하는 낙인과 사회적 소외의 맥락을 반영하여 성적 지향이라는 개인적 배경과 성소수자 사회적 지지라는 환경적 배경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라는 인지적 요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내적 성장 과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성소수자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예측하는 과정에서 자기격려와 성소수자 긍정적 정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4년제 대학을 재학 중이며, 시스젠더 여성 혹은 남성이고, 자신을 동성애자 혹은 양성애자로 정체화한 만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Mplus 8.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소수자 대학생의 성소수자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간접적으로 유의하게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성소수자 대학생의 성소수자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자기격려와 성소수자 긍정적 정체성이 각각 정적으로 매개하였다. 셋째, 성소수자 대학생의 성소수자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자기격려와 성소수자 긍정적 정체성이 순차적으로 매개하였고,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성소수자 대학생의 성소수자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지는 않지만 자기격려와 성소수자 긍정적 정체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 지향에 대한 주변인의 지지를 통해 성소수자는 스스로 긍정적 기대를 부여하고 용기를 얻게 되며, 성소수자로서의 정체성을 인식, 수용 및 통합함으로써 진로 결정에 대한 자기 확신을 얻게 된다. 본 연구는 성소수자 대학생의 진로 발달 과정을 고려할 때 사회인지진로이론의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적절함을 밝혔고, 성소수자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내적 기제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성소수자 대학생의 진로 발달 과정을 이해할 때 소수자성을 고려한 판단이 필요함을 경험적으로 밝혀내어, 성소수자 진로 교육 및 상담에 반영할 수 있는 실질적인 기초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for sexual orientation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mong college students identifying as sexual minorities(Lesbian, Gay, Bisexual; LGB) in Korea. Recognizing the unique developmental experiences of sexual minority students compared to their heterosexual peers, the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ir minority status for effective career support. The research explored the interplay between individual factors such as sexual orientatio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factors such a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onsidering the stigma and social exclusion faced by sexual minority group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s of self-encouragement and positive sexual minority identity in the connection between social support for sexual orienta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cisgender individuals identifying as women or men, aged 18 and above, enrolled in 4-year universities in Korea, and identifying as homosexual or bisexual.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analysi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with SPSS 21.0,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ediation effects with Mplus 8.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for sexual minority of LGB college students significantly predicte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directly. Second, the self-encouragement and positive sexual minority ident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for sexual minor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rd, self-encouragement and positive sexual minority identity were serial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for sexual minor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support for sexual minority does not directly predic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but does so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ng factors of self-encouragement and positive sexual minority identity. When individuals receive positive expectations and support from significant others regarding their sexual orientation, it empowers sexual minority individuals, enabling them to muster courage, recognize, accept, and integrate their identity. This, in turn, results in heightened self-confidence when making career decisions. The study affirms the relevance of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in comprehending the career development of sexual minority college students and delves into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impacting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accounting for minority status in comprehending the career development of sexual minority college students, offering practical insights for integrating such considerations into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sexual minority college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