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 Download: 0

초기성인기 미혼 남녀의 이별 고통감과 이별 후 성장의 관계

Title
초기성인기 미혼 남녀의 이별 고통감과 이별 후 성장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kup Distress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mong Unmarried Early Adults: Moderating Effects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Stress-Is-Enhancing Mindset
Authors
이소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이별 고통감, 이별 후 성장, 의도적 반추,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본 연구는 연인과의 이별을 경험한 초기성인기 미혼 남녀의 이별 고통감과 이별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조절된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인과의 이별 경험이 있는 19-35세의 미혼 남녀 35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변인들에 대한 인구통계적 특성에서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PROCESS Macro 모델 3번을 이용하여 이별 고통감과 이별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조절된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 검증 결과, 성별, 연령대, 새로운 연인 유무에 따라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을 제외한 이별 고통감, 이별 후 성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이들 변수를 통제한 후 모형 검증 분석을 진행하였다. 둘째, 이별 고통감, 이별 후 성장, 의도적 반추,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별 고통감, 이별 후 성장, 의도적 반추 간에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은 이별 고통감을 제외한 이별 후 성장, 의도적 반추에 대해서만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이별 고통감과 이별 후 성장의 관계에 대한 의도적 반추와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 각각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이별 고통감과 이별 후 성장의 관계에 미치는 의도적 반추의 조절효과를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조절하는 조절된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도적 반추의 조절효과는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수준에 따라 달라졌는데, 조건부 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의도적 반추가 평균보다 1 표준편차 낮은 경우,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평균보다 1 표준편차 높을 때 이별 고통감이 이별 후 성장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연인과의 이별 후 고통감을 겪는 성인 초기 개인들이 의도적인 반추의 양식을 잘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 높은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을 가질 때에만 이별 고통에 따라 이별 후 성장이 증가하였다. 즉, 스트레스에 대한 성장적 관점의 스트레스 마인드셋은 개인이 이별 사건에서 의미를 찾는 반추의 양식을 잘 사용하지 못하더라도, 이별 상황에 관해 자신의 성장에 기여하는 방향으로의 통찰을 제공하여, 이별 고통의 정도에 따라 이별 후 성장에 이르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관계망이 확장되는 초기성인기 개인의 이별 경험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이별의 고통감을 극복하고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개입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s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stress-is-enhancing mindse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kup distress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mong early adults who have experienced the dissolution of a romantic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56 unmarried individuals aged 19-35 who had experienced a breakup. Utilizing the SPSS 25.0 program,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e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dditionally, to examine demographic differences in main variables,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employed. Employing PROCESS Macro Model 3,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s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stress-is enhancing mindse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kup distress and post-breakup growth was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mographic differences were verified, reveal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breakup distress,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nd deliberate rumination based on gender, age group, and the presence of a new romantic partner. Subsequent model verific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after controlling for these differences. Second,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breakup distress,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nd deliberate rumination, while stress-is-enhancing mindset exhibited positive correlations only with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nd deliberate rumination.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s observed for the deliberate rumination and stress-is-enhancing mindset respective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kup distress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individually. However, the moderated moderation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kup distress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when moderated by a stress-is-enhancing mindset. The moderating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var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stress-is-enhancing mindset. Confirming the significance of conditional effects, when deliberate rumination was lower than the average, breakup distress significantly predicted post-breakup growth, only when the stress-is-enhancing mindset was higher than the average. To sum up, it was observed that individuals experiencing distress after a breakup exhibited increased post-breakup growth only when facing difficulties in utilizing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sessing high levels of stress-is-enhancing mindset. In other words, stress-is-enhancing mindset, which focuses on the positive aspects of stress, was found to provide insights contributing to one’s personal growth in the context of breakup, even when individuals struggled to employ reflective processes in finding meaning from the event. These results have significance in suggesting intervention strategies to cope with the breakup experiences of early adults during a period of expanding social networks, facilitating the overcoming of breakup distress, and promoting positive changes and growth. This study concludes by highlighting its limitations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