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7 Download: 0

영유아기 첫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른 후속출산계획 예측요인 탐색

Title
영유아기 첫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른 후속출산계획 예측요인 탐색
Other Titles
Investigating Predictors of Willingness for Subsequent Pregnancy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of Mother with First Child in Infancy
Authors
이아영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운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른 후속출산계획 여부를 살펴보고, 후속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배우자와 함께 거주하고 있으며 만 0~5세 영유아기 첫째 자녀를 둔 전업모 291명, 취업모 28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첫째자녀 관련 특성, 양육지원 특성 중 양육시간과 정기적 돌봄 이용여부, 출산·양육관련 정책인지·수혜특성에 대한 문항들은 연구대상자가 온라인 질문지에 직접 기입하는 형태로 측정되었다. 그 외 양육스트레스는 Abidin(1995)이 개발한‘Parenting Stress Index: Short-Form(PSI-SF)’를 이경숙 등(2008)이 번안한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검사-축약형(K-PSI-SF)을 사용하여, 양육효능감은 Meunier와 Roskam(2009)이 개발한‘Echelle Globale du Sentiment de Competence Parentals(EGSCP)’를 성지현과 백지희(2011)가 타당화한 양육효능감 척도(K-EGSCP)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부모공동양육은 양예진(2021)이 개발·타당화한 유아기 자녀의 부모용 부모공동양육 척도를 사용하여, 사회적 지지는 이재림과 옥선화(2001)의 사회적 지원척도와 조병은, 서동인, 신화용 및 정현숙(1998)의 사회적 지원 척도를 기초로 한국아동패널 연구진이 제작한 사회적 지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22.0(IBM CO., ARMONK, NY)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교차분석 및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전업모와 취업모 집단에서 후속출산계획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라 후속출산계획 여부 비율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두 집단 모두 후속출산계획이 없는 비율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업모 집단에서는 어머니 연령, 어머니 교육수준, 첫째자녀 연령, 부모공동양육과 양육시간이 후속출산계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어머니 연령과 어머니 교육수준은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 연령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후속출산계획의 승산이 감소하였다. 또한, 첫째자녀 관련 특성 중 첫째자녀 연령은 후속출산계획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첫째자녀 연령이 낮을수록 후속출산계획을 할 승산이 더 높았다. 양육지원 특성 중 부모공동양육과 양육시간은 후속출산계획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공동양육의 수준이 높고, 양육시간이 길수록 후속출산을 계획할 승산이 높게 나타났다. 전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머니 교육수준, 어머니 연령, 부모공동양육, 양육시간, 첫째자녀 연령 순이었다 셋째, 취업모 집단에서는 어머니 연령만 후속출산계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업모 집단에서와 마찬가지로 어머니 연령이 증가할수록 후속출산계획을 할 승산이 낮았다. 종합하면,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관계없이 어머니 연령은 후속출산계획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쳤지만, 어머니 교육수준, 첫째자녀 연령, 부모공동양육 및 양육시간은 전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 후속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의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패널자료를 사용한 선행연구들에서 살펴보지 않은 다양한 변인들을 포함하여 전업모와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어머니의 취업 여부를 구분하여 후속출산계획을 살펴본 선행연구가 많지 않은 가운데 전업모, 취업모 집단을 구분하여 후속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즉, 앞으로의 정책 제안을 위해 어머니의 취업 여부를 고려한 세심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유아기 첫째자녀를 둔 어머니의 후속출산계획을 증진하기 위해서 다양한 개인적, 환경적 요인의 영향력에 주목해 볼 필요성을 제시한다. 특히 전업모와 취업모를 구분하여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력을 고찰하고 개입방안을 도출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향후 본 연구결과가 대한민국이 오랫동안 직면하고 있는 초저출산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which factors impact a mother’s willingness to have a subsequent pregnancy based on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Releva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dministered to 291 stay-at-home mothers and 285 working mothers. Respondents were living with their spouses and had a first child aged 0 to 5 years. They were requested to fill out the online questionnaire sheet regarding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irst child-related charateristics, parenting time and use of regular care in parenting support characteristics, and awareness and benefit characteristics of childbirth and parenting-related policies. In measuring parenting stress, this study utilized the Korean version of the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K-PSI-SF) adapted by Kyung Sook Lee et al. (2008) from the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SI-SF) developed by Abidin (1995). Parenting efficacy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Echelle Globale du Sentiment de Competence Parentale (K-EGSCP) validated by Seong Ji-hyun and Baek Ji-hee (2011) from the Echelle Globale du Sentiment de Competence Parentale (EGSCP) developed by Meunier and Roskam (2009). The Coparenting Scale for Parents with Preschoolers developed and validated by Ye-Jin Yang (2021) was applied to measure coparenting. Social support was measured utilizing the social support scale created by the research team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based on the social support scales of Jaerim Lee and Sun-Hwa Ok (2001) and Byeong-eun et al. (1998).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cross-tabulation,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SPSS 22.0 (IBM Co., Armonk, NY), an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variables affecting the willingness to have a subsequent pregnancy in stay-at-home and working mother group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willingness for subsequent pregnancy, with both gropus expressing low willingness for subsequent pregnancy. Second, in the stay-at-home mother group, age and education level of the mother, age of the first child, coparenting, and parenting time significantly affected willingness for subsequent pregnancy. Amo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age and education level of the mother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indicating that as the age and education level of the mother increases, willingness for subsequent pregnancy decreases. Moreover, the age of the first child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he willingness for subsequent pregnancy, indicating that as the age of the first child decreases, the willingness for subsequent pregnancy increases. Among the parenting support characteristics, coparenting and parenting tim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willingness for subsequent pregnancy. Thus, as parenting time and coparenting increase willingness for subsequent pregnancy increases. The variables with the strongest effect on stay-at-home mother’s willingness for subsequent pregnancy were, in order, the education level of the mother, the age of the mother, coparenting, parenting time, and the age of the first child. Third, in the working mother group, the age of the mother significantly affected willingness for subsequent pregnancy. As the age of working mothers increases, the willingness for subsequent pregnancy decreases. In summary, the age of the mother affects their willingness for subsequent pregnancy regardless of their employment stauts, whereas other factors affecting the willingness for subsequent pregnancy differed between the two groups, such as the education level of the mother, the age of the first child, coparenting, and parenting time, which significantly affected willingness for subsequent pregnancy in the stay-at-home mother group.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riables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on the willingness for subsequent pregnancy in stay-at-home and working mothers. Furthermore, because few studies examined the willingness for subsequent pregnancy according to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this study’s differentiation between stay-at-home and working mothers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This study’s findings indicate the need for selecting a carefully tailored approach that considers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mother in future policy proposals. Attention must be paid to the various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willingness for subsequent pregnancy among mothers with a first child of infant age. In particular,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willingness for subsequent pregnancy under the division of the stay-at-home and working mother groups must be investigated to derive necessary intervention meas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important basic data for further research seeking solutions to the record-low birth rate in South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