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2 Download: 0

Positive Risk-Taking and Negative Risk-Taking in Adolescence

Title
Positive Risk-Taking and Negative Risk-Taking in Adolescence
Authors
김도예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positive risk-taking, negative risk-taking, exploration, adolescence, ACE, time perspective, family, peer,위험 감수 행동, 청소년기 탐색, 청소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Redirecting the spotlight from the prevention of negative risky behavior in adolescence to examination of risk-taking as a means of exploring adolescent environment,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ositive and negative risk-taking among the identified subgroups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conducted exploratory research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probing subgroups with different level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ACE), future time perspective (FTP), present hedonistic time perspective (PHTP), and social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as indicator variables. Data on a sample of 398 adolescents were analyzed using Mplus 8.1 for latent profile analysis. Findings from the Latent Profile Analysis yielded three profiles (subgroups) within the sample. The first subgroup, the High adversity-Low support group, displayed high scores of ACE, low levels of PHTP and FTP, in addition to the low levels of social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The second subgroup, the Moderate adversity-Moderate support group, displayed average scores of ACE, average levels of PHTP and FTP, and average levels of social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The third subgroup, the Low adversity-High support group, displayed low scores of ACE, high levels of PHTP and FTP, and high levels of social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Comparisons of the levels of positive and negative risk-taking among the three group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The Low adversity-High support group exhibited the highest positive risk-taking scores, likely due to being less affected by childhood adversity. Their high future-oriented approach, present hedonistic perspective combined with strong social support, facilitates their exploration through socially desirable risk-taking. The levels of positive risk-tak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he moderate and High adversity-Low support groups. Contrary to initial hypotheses, the High adversity-Low support group, despite facing more challenges and having fewer resources, showed similar levels of positive risk-taking as the Moderate adversity-Moderate support group. In contrast, the High adversity-Low support group engaged more in negative risk-taking than the Low adversity-High support group. Despite the suppose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HTP and negative risk-taking, the High adversity-Low support group showed more negative risk-taking, even with low levels of PHTP. Moreover,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negative risk-taking between the Moderate adversity-Moderate support group and High adversity-Low support group was not significant.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identified the different subgroups in adolescent sample using variables that contribute to positive and negative risk-taking. Furthermore, comparing different subgroups characterized by ACE, FTP, PHTP, and social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 deepens our insight into socially desirable exploratory behaviors and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risky behavior of adolescents.;본 연구는 청소년의 위험 감수 행동 (risk-taking)과 관련된 다수의 선행 연구가 이를 부정적인 행위로 보고 예방에 집중했던 것과 달리, 청소년기의 탐색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 위험 감수 행동과 부정적 위험 감수 행동에 기여하는 변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서로 다른 아동기 역경경험, 현재 쾌락적 시간관, 미래 지향 시간관 그리고 가족과 친구로부터의 사회적 지지의 조합에 따른 하위 집단 간 긍정적, 부정적 위험 감수 행동 수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Mplus 8.1을 이용하여 한국 중학생과 고등학생 398명의 자료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세 가지 프로파일, 즉 세 개의 하위 집단이 도출되었다. 첫 번째 하위집단인 "고수준 역경- 저수준 지지” 집단은 높은 아동기 역경 경험, 낮은 현재 쾌락적 시간관과 미래 지향적 시간관, 그리고 낮은 가족과 친구로부터의 사회적 지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하위집단인 "중간수준 역경-중간수준 지지" 집단은 보통 수준의 아동기 역경 경험, 보통 수준의 현재 쾌락적 시간관과 미래지향적 시간관, 그리고 보통 수준의 가족과 친구로부터의 사회적 지지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하위 집단인 "저수준 역경- 고수준 지지" 집단은 낮은 수준의 아동기 역경 경험, 낮은 수준의 현재 쾌락적 시간관과 미래지향적 시간관, 그리고 낮은 수준의 가족과 친구로부터의 사회적 지지를 보였다. 이어서 세 하위 집단 간 긍정적 위험 감수 행동과 부정적 위험 감수 행동 수준을 비교하였다. 먼저, 긍정적 위험 감수 행동은 "저수준 역경- 고수준 지지" 집단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저수준 역경- 고수준 지지" 집단은 아동기의 역경 경험 수준이 낮고 더 많은 탐색을 하는 것과 관련된 현재 쾌락적 시간관과 미래지향적 시간관이 높으며 사회적 지지 역시 높은 집단으로, 해당 변인들의 수준이 높은 긍정적 위험 감수 행동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고수준 역경- 저수준 지지" 집단의 경우 "중간수준 역경-중간수준 지지" 집단과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고수준 역경- 저수준 지지" 집단이 "중간수준 역경-중간수준 지지" 집단보다 낮은 수준의 긍정적 위험 감수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에서 수집된 표본의 특성인 높은 사회 경제적 지위의 영향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범위 내의 위험 감수 행동의 수준이 비슷하게 나타났다는 점으로 설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부정적 위험 감수 행동은 "고수준 역경- 저수준 지지" 집단에서 "중간수준 역경-중간수준 지지 " 집단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고수준 역경- 저수준 지지" 집단은 아동기의 역경 경험 수준이 높고 더 많은 탐색을 하는 것과 관련된 현재 쾌락적 시간관과 미래지향적 시간관이 낮으며, 가족과 친구로부터의 사회적 지지 역시 낮은 집단으로 해당 변인들의 수준이 높은 부정적 위험 감수 행동에 기여할 수 있다. 다만 "중간수준 역경-중간수준 지지" 집단과 "고수준 역경- 저수준 지지" 집단의 부정적 위험 행동 수준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수집된 표본의 부정적 위험 감수 행동의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았던 점이 반영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아동기 역경 경험, 현재 쾌락적 시간관, 미래 지향적 시간관, 가족과 친구로부터의 사회적 지지라는 변인을 통해 청소년 집단의 하위 집단을 구분하고 긍정적 위험 감수 행동과 부정적 위험 감수 행동의 차이를 분석하여 청소년기의 위험 감수 행동에 대한 탐색적 접근을 시도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