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2 Download: 0

임상심리전문가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행복의 관계

Title
임상심리전문가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행복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happiness among clinical psychologists: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alling and job stress
Authors
황지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행복은 삶의 궁극적인 목표로 모든 사람은 행복을 위해 노력하며 살아간다. 즉, 행복은 인간 삶의 중요한 측면으로 개인의 인격적, 직업적 성장과 더불어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건강 분야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갖추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임상심리전문가의 행복에 주목하였다. 임상심리전문가는 발달장애 및 정신질환에 대한 심리평가와 심리교육, 그 가족에 대한 심리상담과 치료 등 심리적 회복을 위한 서비스를 총체적으로 제공하는 전문인력이다(원성두 외, 2018). 이렇듯 타인의 정신건강을 책임지는 임상심리전문가의 행복은 심리적 자본을 늘려 내담자에게 더 나은 진단과 치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주며, 내담자와 상호작용을 통해 긍정적인 변화를 끌어낼 수 있게 한다(Coster & Schwebel, 1997).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심리전문가를 대상으로 이들의 행복과 자기개념 명확성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관계에서 긍정적 및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직업소명과 직무 스트레스의 기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임상심리전문가(한국심리학회) 및 정신건강 임상심리사 1, 2급(보건복지부) 자격증을 소유하고 있는 116명의 임상심리전문가를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5.0과 PROCESS Macro v4.2를 사용하여 기초통계분석 및 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 특성에 따른 차이 검증 결과, 성별, 종교 유무, 경력에 따라 주요 변인인 자기개념 명확성과 행복, 직업소명과 직무 스트레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이를 통제 후 모형 검증 분석을 진행하였다. 둘째,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모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 변인 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행복과 자기개념 명확성, 직업소명은 모두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직무 스트레스와는 모두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경로분석과 매개 분석 결과,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으며, 자기개념 명확성과 행복의 관계에서 직업소명과 직무 스트레스의 단순 매개효과가 각각 유의하였다. 또한, 자기개념 명확성에서 직업소명과 직무 스트레스를 순차적으로 거쳐 행복으로 가는 이중 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정신건강 전문인력인 임상심리전문가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행복에 주목하고,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긍정적, 부정적 기제로 직업소명과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적 차원에서는 내담자와의 관계 및 다양한 업무 환경에서 수많은 어려움과 심리적 스트레스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임상심리전문가의 행복을 증진하고, 전문가로서 보다 적극적인 역할 수행을 도울 수 있다. 나아가 사회적 차원에서도 행복은 장기간의 교육과 훈련을 요하는 임상심리전문가 인력의 이직이나 이탈 및 그 숫자의 감소를 예방하고, 다각적으로 정신건강을 위협받고 있는 사회구성원들에게 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Happiness is the ultimate goal for everyone, and people strive and live for happiness. Happiness is an important aspect of human life, which influences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as well as society as a whole.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s on the happiness of clinical psychologists who possess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s in the field of mental health and provide mental health services. Clinical psychologists are professionals who provide services for psychological recovery, such as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education for developmental disorders or mental illnesses, as well as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therapy for their families (Won et al., 2018). Preserving the happiness of clinical psychologists is crucial because it enables them to provide better diagnosis and treatment to their clients and bring about positive changes through positive interactions (Coster & Schwebel, 1997).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ppiness of clinical psychologists and their self-concept clarity. Additionally, it seeks to explore the mechanisms of career calling and job stress, which can have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within this relationship. To achieve this, an online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with 116 clinical psychologists who hold certifications such as the Clinical Psychologist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nd Mental Health Clinical Psychologis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Bootstrapping metho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v4.2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conducting difference test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religion, and care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ajor variables. These differences were controlled for in the subsequent model verification analysis. Second,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major variables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indicating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Happiness, self-concept clarity, and vocational identity all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hile job stress exhibit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other variables. Third, the path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showed that all paths were significant. Significant direct mediating effects were found for career calling and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happiness. Furthermore, there was a significant dual mediating effect, indicat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happiness was found to be mediated by both vocational identity and job stress. This study focuses on the self-concept clarity and happiness of clinical psychologists, who ar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t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mechanisms such as career calling and job stress that can influence their happiness. These results have implications on both personal and societal levels. On a personal level, they can contribute to enhancing the happiness of clinical psychologists who are consistently exposed to numerous challenges and psychological stres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clients and various work environments. It can also assist them in actively fulfilling their roles as professionals. Furthermore, on a societal level, promoting happiness can help prevent the turnover or attrition of clinical psychologists, a workforce that requires long-term education and training. It can also contribute to providing more stable and continuous mental health services to individuals in society who are facing multiple mental health threa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