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0 Download: 0

영유아용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의 척도개발 및 단기종단연구

Title
영유아용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의 척도개발 및 단기종단연구
Other Titles
Scale Development and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n Problematic Smart Media Use in Toddlers: Focusing on Latent Growth Modeling and Latent Profile Analysis
Authors
배유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영유아, 스마트미디어, 교류 관계, 척도개발, 잠재성장모형, 잠재프로파일 분석, 단기종단 연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스마트기기 보급의 빠른 확산은 실시간의 원거리 소통과 신속하고 간편한 정보 접근이라는 많은 편의를 선사하였다. 그러나 스마트미디어의 지나친 사용에 대해서는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이에 영유아도 예외는 아니다. 더욱이 영유아기는 인지 및 정서발달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환경이 주는 자극에 민감한 시기이므로 스마트미디어의 과도한 노출에 대하여 여타의 연령대보다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스마트미디어 과의존 위험군의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여 부정적 결과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영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대한 심리학적 관점의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유아에 대한 발달심리학적 관점의 심도 있는 탐색을 기반으로, 어린 자녀의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기여 하는 요인을 확인하고 적절한 안내와 효과적인 개입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1에서는 18개월 ~ 만 5세에 해당하는 영유아의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 척도를 개발 및 타당화 하였다. 개발 과정은 초기문항을 작성하기 위한 어머니들과의 심층 면담에서 시작하였다. 초기문항을 바탕으로 내용 타당도 검증 및 파일럿 테스트를 거쳐 예비문항을 만들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최종문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평균 비교와 법칙적망조직을 활용하여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Cronbach’s α를 통하여 적절한 내적 합치도 또한 확인하였으므로, 영유아의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 척도는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 타당한 척도임을 검증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개발된 척도를 사용하여 만 3 ~ 5세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문제적 사용 및 관련된 변인과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90일 간격의 세 시점에서 수집한 자료를 잠재성장모형의 무조건모형과 조건모형, 그리고 병렬과정 잠재성장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문제적인 스마트미디어 사용과 자기조절이라는 유아의 종단적 변화 궤적과 상호 관련성을 확인하고 어머니의 양육 행동 간의 교류 양상을 입증하였다. 연구 3에서는 유아 자기조절의 하위요인인 행동, 충동 및 주의조절과 더불어 어머니의 긍정, 비일관 및 처벌적 양육 행동으로 구성된 지표변수로 잠재프로파일 집단을 분석하였다. 이로써 자녀의 내적 특성과 양육환경에 따른 다양한 잠재집단 분류를 통하여 유아의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취약한 혹은 보호적인 요인의 조합을 탐색하였다. 연구 1과 연구 2, 그리고 연구 3을 종합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의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 척도는 스마트미디어에 대한 자녀의 갈망과 의존 수준, 그리고 부모의 합리적인 허용 정도에 대한 부모보고를 통하여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될 수 있음을 밝혔다. 둘째, 유아의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선형궤적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예측요인 중에서는 유아의 성별이나 연령, 어머니의 맞벌이 여부와 같은 인구통계 특성보다는 스마트미디어 사용을 처음 시작한 시기가 더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유아의 자기조절 역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선형적 변화를 나타내었고 연령이 높거나 남아인 경우, 그리고 만 2세 이후에 스마트미디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경우에 자기 조절력이 더 높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 행동, 유아의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 그리고 자기조절은 서로 종단적 교류 관계에 있음이 검증되었다. 구체적으로, 1차 시점의 어머니 양육 행동은 2차 시점에서의 유아의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 및 자기조절의 중기값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이는 다시 3차 시점의 어머니 양육 행동을 예측하는 데에도 영향을 주었다. 또한, 유아의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과 자기조절의 중기값과 변화율은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상호 관련성이 입증되었다. 넷째, 조건모형의 표준화 계수 비교를 통하여, 자녀의 긍정적 특성인 자기조절 발달에는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 효과가 주요한 역할을 발휘하는 반면, 자녀의 문제행동에는 부정적 양육의 예측력이 높아진다는 것이 구별되었다. 즉,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 행동이 자녀의 자기조절을 예측하는 크기, 그리고 부정적 양육 행동이 자녀의 스마트미디어의 문제적 사용을 예측하는 정도가 가장 컸다. 다섯째, 유아의 자기조절과 어머니의 양육 행동은 각각의 특성에 따라 평균집단, 양육보호집단, 상호보호집단, 그리고 양육취약집단과 이중취약집단의 잠재프로파일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양육취약집단과 이중취약집단은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의 갈망과 의존, 부모허용에 가장 취약한 집단이었고, 가장 안전한 집단은 상호보호집단 및 양육보호집단이었다. 여섯째, 잠재프로파일 분석결과, 어머니의 양육 행동은 유아의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의 모든 측면에서 위험요인이자 동시에 보호 요인이었으며, 자녀의 자기조절력 또한 스마트미디어의 갈망과 의존, 부모허용에 대한 모든 면에서 어머니의 영향력과 상호작용을 이루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영유아의 발달적 특성과 가정에서의 스마트미디어 사용 양상을 고려한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 척도를 개발 및 타당화 하고,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 행동 및 유아의 자기조절 특성과의 관계를 다각도로 살펴보았다. 이로써 영아까지로 대상을 확장한 문제적 스마트미디어 사용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고, 정확한 평가에 근거한 적절한 조기 개입을 지원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in-depth the problematic use of smart media (PSMU) among young children, which is rapidly increasing. Adopting a psychological perspective, we identify factors contributing to PSMU in young children and suggest appropriate guidance and effective interventions. In Study 1, we developed and validated a scale to measure PSMU for young children 18 months to 5 years old. The scale items were finalized through small group interviews with mothers for initial item development, content validation, pilot testing,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ean comparisons, and nomological network analysis to verify the scale’s valid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SMU scale for toddlers is reliable and valid, as evidenced by its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In Study 2, we measured the longitudinal problematic use of smart media among 3- to 5-year-old children and examined its relationships with predictor variables using PSMU developed in Study 1. We analyzed latent growth models of child variables using data collected at three-time points with a 90-day interval, validating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PSMU in toddlers,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 self-regulation. In Study 3, we classified latent profile groups into indicator variables comprising the child self-regulation sub-factors (behavioral, impulsive, and attentional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positive, inconsistent, and punitive). By classifying various latent groups based on child characteristics and parenting environment, we explored combinations of vulnerability and protective factors related to PSMU in young children using the DE3STEP approach.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SMU scale among infants and toddlers reliably and validly measures children's craving for smart media, as well as their levels of dependence and parental permission, as reported by parents. Second, PSMU in toddlers follows a linear trajectory over time. The timing of smart media initiation had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problematic use tha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child gender, age, or maternal work status. Child self-regulation also exhibited linear changes over time, with higher levels of self-regulation observed in older children, boys, and those who started using smart media after the age of two. Third, a reciprocal relationship was validated among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PSMU in toddlers, and child self-regulati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t the first time poin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mid-point values of PSMU and child self-regulation, which, in turn, predicte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t the third time point. Furthermore,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mid-point values and growth rates of PSMU and child self-regulation, confirming their interrelatedness. Fourth, in the conditional model, maternal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redicting positive aspects of child behavior and self-regulation, while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had greater predictive power for problematic behaviors and PSMU, as indicated by the standardized coefficients. Fifth, child self-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were classified into latent profile groups based on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average group, protective parenting group, mutual protective group, and parenting vulnerability and dual vulnerability groups. Both the parenting vulnerability and dual vulnerability groups exhibited the highest levels of craving, dependence, and permission regarding PSMU, while the mutual protective and protective parenting groups were the safest. Sixth, latent profile analysis revealed that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served as both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all aspects of PSMU in toddlers, while child self-regulation interacted with and was influenced by maternal influences in all dimensions of craving, dependence, and permission. This study developed and validated a scale for PSMU that considers the developmental stages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he patterns of smart media use at home. It also shed lights on the multifaceted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 self-regulation in the context of PSMU. The findings provide a foundation for further research on PSMU among toddlers and supports accurate assessment and appropriate early interven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