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6 Download: 0

Beyond Baby Schema

Title
Beyond Baby Schema
Authors
김혜원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호
Abstract
There seems to be a tendency to perceive animals cuter than human babies, and this tendency has been proven through several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reason why animals are perceived as cuter, it has been suggested that dogs and cats have evolved and improved in a way that maximizes baby schema, but other factors influencing this also seem to exist. This study assum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features that exist only in animals influence enhancing the facial cuteness, and that ears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head, which are a representative attribute of animals and are not included in the baby schema, affect the perceived cuteness of faces. In Experiment 1, to exclude the influence of internal features of the face such as eyes, nose, and mouth, stimuli consisting of facial outline and ears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n inverted U-shaped trend of ear position for cuteness of faces. Overall, rated cuteness increased as the position of ears increases, but decreased when position of ears was too close to the top of the head. In Experiment 2, faces similar to those of simple cartoon characters were presented to confirm whether the effect of the ear position, shown in Experiment 1, appeared when faces was perceived as human-like faces as well as animal-like faces. The faces presented in Experiment 2 were classified as 'animal-like faces', 'human-like faces', and 'in-between faces' that did not classify to the two categor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human-likeness that the participants rat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n the 'animal-like faces', the same effect of the ear position as in Experiment 1 was shown, but in the 'human-like faces', neither the inverted U-shaped tendency nor the linear effect of the ear position was shown. However, since these results were likely due to a compounding effect of high humanness and low cuteness, Experiment 3 was conducted using facial photographs of baby as stimuli without faces of other categor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teness of various ear positions, inverted U-shaped effect of ear position similar to Experiment 1 was significant, even though only the faces of a real babies that were perceived sufficiently cute was used as stimuli. To sum up, this study revealed a novel feature that affect the cuteness of face and that had not been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on cuteness perception. It is also interesting result that ear located on upper side of the head, which increased the perceived cuteness of faces in present study, are not included in baby’s characteristics (baby schema). This suggests that attributes unrelated to the baby can affect the perceived cuteness, as well as baby’s attributes that disappear with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of presenting a perspective to explore new factors that affect the perceived cuteness beyond baby schema.;현대 사회에는 사람의 아기들보다 동물들을 더 귀여워하는 경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이며, 다수의 선행연구들을 통해 이러한 경향성이 증명되어 왔다. 동물이 더 귀엽게 지각되는 이유와 관련하여, 개와 고양이들이 아기도식이 극대화되는 방식으로 진화 및 개량되어 왔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제시되어 왔지만,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 역시 존재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동물에게만 존재하는 특질이 얼굴의 귀여움을 높이는 데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예상하였으며, 동물의 대표적인 속성이자 아기도식에 포함되지 않는 속성인 상단부에 위치하는 귀가 얼굴의 지각된 귀여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눈, 코, 입 등과 같은 얼굴의 내부 특질들의 영향을 배제하고자 얼굴 윤곽선만 존재하는 이미지에 다양한 위치의 귀가 부착된 자극이 사용되었으며, 참가자들은 해당 자극에 대해 느껴지는 귀여움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전반적으로 귀의 위치가 올라갈수록 평정된 귀여움이 증가하다가, 특정한 각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귀여움이 감소하는 뒤집어진 U자 모양(inverted-U shape)의 경향성이 나타났다. 실험 2의 경우, 얼굴이 사람과 비슷한 얼굴이라고 느껴질 때에도 실험 1에서 나타난 귀 위치의 효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캐릭터형의 얼굴들이 제시되었다. 실험 2에 제시된 얼굴들은 참가자들이 평정한 인간스러움의 정도에 따라 ‘동물과 비슷한 얼굴’, ‘인간과 비슷한 얼굴’, 그리고 앞의 두 범주에 속하지 않는 ‘중간 정도의 얼굴’로 분류되었다. 실험 결과, ‘동물과 비슷한 얼굴’에서는 실험 1과 동일한 귀 위치의 효과가 나타났지만, ‘인간과 비슷한 얼굴’에서는 귀 위치의 뒤집어진 U자형의 경향성도, 선형적인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높은 인간스러움의 정도와 낮은 귀여움의 혼합적인 효과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다른 얼굴 범주 없이 실제 아기의 얼굴만을 자극으로 하여 실험 3을 진행하였다. 다양한 귀 위치에 대한 귀여움을 분석한 결과, 충분히 귀엽다고 느껴지는 실제 아기의 얼굴만을 자극으로 사용하였음에도 실험 1과 유사한 귀 위치의 뒤집어진 U자형의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 귀여움 지각 연구에서 제안되지 않았던 새로운 요인을 밝혔다는 점, 특히 귀여움 지각 연구에서 거의 유일한 요인으로 여겨져 왔던 아기도식에 포함되지 않는 요인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발달에 따라 사라지는 아기의 속성들이 아닌 아기와 무관한 속성도 지각된 귀여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아기도식을 넘어 지각된 귀여움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요인을 탐구할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