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0 Download: 0

초등학교 고학년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초등학교 고학년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Enhancing Self-Efficacy in Elementary School Upper-Grade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uthors
이유정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Y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3세, 초등학교 6학년 여자아동이다. 사례는 2023년 3월 7일부터 2023년 4월 19일까지 주 2회, 총 12회의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매 회기 과정에 대한 관찰 및 임상 일지, 녹음 및 축어록, 작품 사진, 보호자와 기관 담당자와의 면담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에는 질적 연구에서의 자료 분석을 사용하여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의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설렘과 부담으로 시작한 미술치료>, <긴장되었던 마음이 미술작업을 통해 안정감을 느끼게 됨>, <미술치료 안에서 힘들었던 내면의 감정과 마주하게 됨>, <미술 활동 안에서 긍정적 감정을 경험하고 자신감이 생김>, <앞으로의 나를 위해 응원하고자 함>이라는 5개의 상위주제와 10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 활동을 통해 학교생활에서 겪었던 부정적 감정과 또래관계 욕구를 표출함으로써 안전하게 해소하였고 이를 통해 자기 탐색과 자기 이해를 경험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의 지지와 격려,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성취감과 자신감을 증진시켜 나갈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장점과 자원을 강화할 수 있었고 실제 생활 속에서 또래 관계를 형성하는 긍정적인 경험과 자신의 미래를 고취할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초등학교 고학년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는 인지적 제한으로 인해 심리, 정서적으로 위축되어있는 참여자에게 힘들었던 학교생활의 경험과 관계적 욕구에 대한 부정적 상황을 미술로 안전하게 표출하여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객관적으로 자신과 마주하면서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그 과정에서 긍정적인 사고를 경험할 수 있었고 성취감과 만족감을 드러내며 자원과 강점을 강화할 수 있었다. 또한 참여자는 자신의 의지와 용기로 학교생활의 또래 관계를 직접 형성해가는 관계적 맺기의 성공 경험을 경험할 수 있었고 더 나아가 미래에 대한 소망과 목표를 설계하여 스스로를 응원하는 힘이 생기게 되었다. 이로써 참여자는 문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자신감과 자신에 대한 용기가 생겼으며, 지금의 긍정 정서를 유지하면서 건강하게 성장할 것을 기대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the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upper elementary students would experience through the art therapy improving their self-efficacy and what implications their experience would hav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applied the qualitative case study.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ampled 13-year-old elementary 6th grade girl students at‘Y’Elementary School. The subject students received the art therapy 12 times in total, twice per week for the period from Mar. 7 to Apr. 19, 2023.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s, clinical diary, recording and minutes of the meetings, photographing, meeting with guardians and personnels in charge, etc. The data collected thus were processed qualitatively to examine subjects’experiences and implications thereof.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5 upper themes and 10 sub-themes could be derived. The 5 upper themes were , , , , a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art therapy on improvement of those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upper elementary students’ self-efficac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expressed their negative emotion suffered by them at school and their desire for peer group relationships only to relieve the negative emotion and fulfill their desire. Moreover, they could experience self-exploration and self-understanding. Secondly, subjects could improve their sense of achievement and confidence because they could be supported and encouraged by the researcher and could have an opportunity for a positive feedback. Thirdly, subjects could reinforce their strengths and resources through their art activities, while intensifying a positive experience and hope for their future in their everyday life. Summing up, the art therapy designed to help the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upper elementary students enhance their self-efficacy was found to help them who had been depressed due to their underprivileged intellectual functioning by encouraging them by means of art therapy to express their emotion for the challenging school life and their desire for better relationships with other students through art activities. Thus, they could face themselves objectively only to better understand and accept themselves. In this process, they could experience a positive thinking and reveal their sense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nly to reinforce their resources and strengths. In addition, the subjects could personally form a peer group relationship successfully with their will and courage, and further, could design their future hope and goal, cheering up themselves. After all, the subjects could well be confident and courageous to face their problematic situations, while being expected to grow healthily, maintaining their positive emo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