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9 Download: 0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사회ㆍ 정서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사회ㆍ 정서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group art therapy to enhance social and emotional self-concept of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uthors
김은효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Keywords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 사회적 자아개념, 정서적 자아개념,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사회·정서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자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 소재의 A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로 5학년 2명, 6학년 4명이며 여학생 4명, 남학생 2명이다. 사례는 2022년 7월 25일부터 2022년 8월 5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주 5회 100분간 총 10회기의 단기집중형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사회·정서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목표는 정서 표현을 통한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하고 참여자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관계 속에서 긍정적인 자기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수집은 학교 교육 담당자와의 사전면담, 연구자와 보조연구원의 관찰일지, 미술작품 사진, 회기를 진행한 축어록 등으로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사회·정서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의 경험과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수집된 자료를 반복해서 검토하였으며 연구참여자의 의미있는 언어적 표현과 미술작업에서 나타난 비언어적 표현을 정리하여 이를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된 결과는 총 5개의 상위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집단미술치료 사례 경험에서 상위주제는 <함께 하는 미술치료가 불편하고 어색함> , <미술 활동을 통해 나와 친구들에 대해 알아감> ,<친구들과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배우게 됨> , <나에 대한 긍정적 인 자아상을 갖게 됨> , <미술을 통해 나와 친구들이 함께 성장함>이다.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사회·정서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 참여자가 경험하는 것과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는 미술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이해하게 되었으며 자신에 대한 지각과 함께 타인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하는 정서를 경험하였다. 또한, 미술 활동 중 어려움에 부딪혀도 포기하거나 좌절하지 않고 도덕적으로 지혜롭게 해결할 수 있는 경험을 하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는 집단 안에서 미술 활동을 통한 상호작용을 통해 주요타인인 또래와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가지는 경험을 하였다. 셋째, 연구참여자는 수용적이고 지지적인 미술치료 환경 안에서 자신감이 향상되었고, 긍정적인 정서와 자아상을 갖게 되어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자기감을 갖는 경험을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은 사회·정서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고 인식함으로써 자기 이해를 높이고 타인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는 정서를 경험하였다. 또한, 또래 관계에서 서로 격려하고 지지하는 경험을 통해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긍정적인 관계 형성은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와 자기상을 갖게 되어 아동의 발달과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This study aimed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subject to group art therapy and analyze the implications of such experiences. To this end, the author of this stud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uthor”) employed a qualitative case study as an analytical tool. The research subjects included two fifth and four sixth graders, who were attending“A”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In terms of gender categorization, four female and two 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group art therapy. The author conducted the research from July 25 to August 5, 2022, during which 10 intensive group art therapy sessions were held five times a week, with each session lasting 100 min. The goal of these sessions was to improve these students’ social self and emotional self-awareness. An enhancement in these traits would then help these students leverage their emotional expressions to perceive and understand both themselves and others while developing a positive sense of social self through constructive interactions among the participants. The research data encompassed preliminary interviews with school officials, observation diaries of the author and assistant researcher, photographs of artworks, and verbatim reports of the sessions. For data analysis,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was used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were receiving group art therapy and ascertain the implications of such experiences. In the process, the author repeatedly reviewed the collected data and analyzed the participants’meaningful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that were identified during artistic activities through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verification of categories. Based on the analytical findings, five parent and 11 child topics were derived. The parent topics on the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were “Feeling uncomfortable and awkward in group art therapy,” “Getting to know myself and my friends through artistic activities,” “Learning to engage in positive interactions with friends,” “Developing a positive self-image,” and “Growing up with my friends through art.” Upon delving into these students’aforementioned experiences and ascertaining their implication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enabled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perceive and understand their emotions by allowing them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This elevated self-perception, in turn, helped them empathize and facilitated emotion recognition to understand others better. Additionally, the participants were given the invaluable opportunity to cultivate a strong growth mindset and not shy away from any difficulties arising from artistic activities but successfully overcome them using morality and wisdom. Second, collaborative art activities enabled the participants to establish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peers. Third, the accepting and supportive environment of group art therapy boosted the participants’confidence and promoted their positive emotions and self-image, thus empowering them to experience a strong sense of self.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ascertained that the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ok full advantage of group art therapy to express and recognize their emotions, leading them to improve their self-awareness and understand others better. Moreover, by encouraging and supporting one another, these students fostered positive relationships, which could assist them in developing positive emotions and a heightened self-image, thereby contributing to their overall development and growt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