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6 Download: 0

초등학생의 또래애착 증진을 위한 학교 현장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초등학생의 또래애착 증진을 위한 학교 현장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Group Art Therapy in School Settings for Enhanc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er Attachment
Authors
김남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Keywords
초등학생, 또래애착,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학교 현장에서의 미술치료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애착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 초등학생이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참여자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입체적으로 살펴보고 심층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서울시 A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 4학년 아동으로, 여학생 4명과 남학생 2명이다. 집단미술치료 사례는 A 초등학교 활동실에서 2022년 7월 25일부터 2022년 8월 5일까지 2주 동안, 주 5회 100분간 총 10회기 실시하였다. 다양한 사회적 경험의 부재로 ‘또래관계 형성’이라는 숙제의 한계점을 맞이하고 있는 초등학교 아동들의 상황을 고려하여, 또래애착 증진을 기반으로 개입에 효과적이라고 기대되는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고 회기를 구성하였다. 구성된 회기의 목표는 참여자들이 미술치료 활동 속에서 정서적 교감과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신뢰감을 형성하고 또래와의 관계를 질적으로 맺어 애착을 증진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자는 실천적 전략을 위해 학교 현장에서 단기집중적인 집단미술치료 개입을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미술작품, 연구자와 보조치료사의 관찰 및 임상 일지, 녹음파일, 화상비디오 녹화본과 축어록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수집한 질적 자료의 패턴을 도출해 내기 위해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참여자의 유의미한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과 미술 표현을 정리하였고, 맥락을 풍부하게 드러낼 수 있도록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본 집단미술치료 사례 경험의 상위주제는 <친구들과의 미술치료 동행이 시작됨>, <적절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내가 답답함>, <미술 활동 속에서 안전한 관계를 맺어감>, <한층 더 단단해진 우리들의 관계로 신뢰감을 구축해나감>, <함께하는 재미와 일상의 행복감을 경험함>, <친구들과 하나되는 우리로 성장함>으로 총 6개의 상위주제와 14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이 또래애착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하게 된 것과 그 의미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집단 속에서 함께하는 미술작업을 통해 또래와의 자연스러운 사회적 관계와 안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며 자신을 적절하게 표현하고 또래와의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구조화된 집단미술치료 활동 안에서 경험하는 일관성 있는 태도와 서로가 정한 규칙, 획득할 수 있는 자율성 및 내적 통제감을 바탕으로 여러 도전적 상황에서도 어려움을 다룰 수 있는 내면의 힘이 강화되었다. 셋째, 참여자들은 공동체의 감정을 높이는 협동과정을 통해 함께 창조와 탐색에 몰두하고 서로의 지지자원으로서 신뢰로운 관계를 형성하며 단단한 동료애를 구축해나갔다. 이를 종합하면, 초등학교 아동인 연구참여자들은 학교 현장에서 진행한 또래애착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집단의 다양한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을 시작으로 개인의 내면 인식과 친구들과의 상호소통 방법을 학습할 수 있었다. 학습한 방법을 적용해보고 실행해 봄으로써 부적응적인 모습들이 줄어들고 점차 수용적이고 협력적인 태도를 만들어가는 변화를 보였다. 또한, 또래들의 지지와 격려, 위로와 같은 긍정적인 정서적 교감으로 질 높은 관계를 맺고, 그 과정에서 적절한 중재와 습관을 쌓아가며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참여자들은 타인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어울리는 방식을 자연스럽게 배우며 소속감을 경험하는 등 또래애착의 구성요소인 의사소통, 신뢰, 소외(소속감)에 다방면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게 되었음을 발견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ceive and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pursuing group art therapy (designed to improve peer attachment) and ascertain the implications of such experiences. To this end, the author of this stud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uthor”) employed a qualitative case study to analyze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from multiple perspectives and offer insights based on these viewpoint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third and fourth graders attending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Four female and two 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group art therapy. The author conducted the research from July 25 to August 5, 2022, in the school’s activity room. A total of 10 group art therapy sessions were held five times a week, with each session lasting 100 min. Considering that th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been struggling to build peer relationships due to their lack of diverse social experiences, the author analyzed previous studies deemed to best su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erms of cultivating peer attachment. The sessions were organized to allow the participants to benefit from the art therapy activities, foster positive emotional connections and interactions to build trust, and drive high-quality peer attachments. That is, an intensive short-term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at the school to deliver practical and effective strategies. With the participants’ consen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such as artworks, observations, clinical diaries of the author and assistant therapist, recorded files, video recordings, and verbatim reports of the sessions. The author thoroughly reviewed the collected data and analyzed the participants’ meaningful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ve communications, including their artistic expressions, to identify qualitative data patterns while employing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verification of categories to reveal context-rich art therapy experiences. Based on the analytical findings, six parent and 14 child topics were derived. The parent topics on the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were “Going on an art therapy journey with friends,” “Feeling frustrated due to the inability to express myself properly,” “Establishing safe and stable relationships in art activities,” “Building trust based on enhanced solidarity and cooperation,” “Experiencing shared fun and daily happiness,” and “Growing as one with friends.” Upon delving into the students’ experiences of group artistic activities and ascertaining the implications of such experience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naturally led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experience social relationships and have stable interactions with their peers, thus enabling them to express themselves properly and communicate with their friends effectively. Second, artistic activities helped the participants cultivate their inner strength to successfully navigate various challenges, based on the consistent attitudes that they had developed while engaging in structured art therapy activities, rules set by themselves, and acquired autonomy and internal control. Third, through a series of collaborations aimed to strengthen communal solidarity and interactions, the participants were given the invaluable opportunity to work together to immerse themselves in creation and exploration, build trusting relationships as mutual supporters, and foster solid camaraderie. In shor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group art therapy could learn how to discover their inner selves and communicate effectively with their friends, based on a wide range of interactions between the group’s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By practicing what they had learned through artistic activities, the participants exhibited positive changes: They developed more accepting and cooperative attitudes while significantly reducing their maladjusted behaviors. Moreover, by deriving inspiration from positive emotional connections with their peers, such as support, encouragement, and consolation, the participants established high-quality relationships, improved their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and elevated their confid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following positiv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research participants: It brought about an improved understanding among the participants, helped them cultivate interpersonal skills, and fostered a sense of belonging in them, thus laying the foundation for ushering in essential attributes that constitute peer attachment, such as communication, trust, and connected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