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1 Download: 0

일제하(日帝下) 전시체제기(1937-1945) 아동 이미지 연구

Title
일제하(日帝下) 전시체제기(1937-1945) 아동 이미지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Portrayal of Children in Wartime Korea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1937-1945)
Authors
구다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아동, 어린이, 아동 이미지, 전시체제기, 시각문화, 일제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소연
Abstract
이 논문은 일제하(日帝下) 전시체제기(1937-1945)에 생산된 아동 이미지의 양상과 성격, 의미에 대해 미술사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제 말 전시 동원체제의 전개와 군국주의적 분위기의 고조로 당대 순수미술과 인쇄 미술 등 시각 매체에서는 시국색(時局色)을 띠는 경향을 보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중 아동 이미지에 주목하여 전시기 아동상의 유형을 나누어 분석하고, 그것이 가진 성격과 함의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Ⅱ장에서는 당대 출간된 출판물을 바탕으로 전시체제기에 전개된 아동 담론을 살펴보았다. 전시체제 이전 조선의 아동 잡지에서는 민족주의적 아동관, 낭만주의적 아동관, 계급주의적 아동관 등의 아동 담론이 생산되었으며 식민지 교육제도의 장에서는 아동을 순종적인 신민으로 양성하려는 움직임이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아동 관념이 병존하고 있었다. 전시체제기에 들어서도 이전의 아동관은 연속성을 지니고 이어지지만, 전체주의적 이념이 모든 가치를 지배하면서 아동은 충량한 소국민(少國民), 제이세국민(第二世國民)으로 전쟁 수행을 위해 봉공할 것을 요구받았다. 그 가운데 아동문화 역시 군국주의적 성격으로 변모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Ⅲ, Ⅳ, Ⅴ장에서는 본격적으로 한국의 시각 매체에 등장한 아동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전시기 아동상의 유형을 크게 ‘놀이와 전쟁’, ‘심신의 단련’, ‘은혜와 순종’의 세 속성으로 분류하여, 우선 Ⅲ장에서는 전쟁 이미지를 낙서하거나 전쟁 장난감, 전쟁놀이를 즐기는 등 전쟁 유희와 관련된 아동과, 군복을 차려입고 진중한 모습을 보이는 소년 병사와 후방 지원에 임하는 의젓한 총후 신민의 아동이라는 상반된 이미지를 탐구하였다. 천진난만한 속성과 소국민의 속성은 제국주의 권력이 필요에 따라 취사선택해 사용할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되었다. 다음으로 Ⅳ장에서는 총동원 체제의 전개 속에서 강조된 무도 정신의 함과 신체 단련에 임하는 아동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아동은 일본 정신과 전시의식의 고취를 위한 검도 수련이나 황국신민체조, 총검술 교련 등에 임하는 이미지로 등장하였으며, 전체주의적 체위관과 야외 활동이 반영된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미지에는 군국주의 권력이 가진 상무적, 호전적 성격이 고스란히 투영되었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제국의 은혜에 감사하며 순종하는 아동 이미지로써, 근로보국(勤勞報國)에 임하는 아동과 황군에게 감사를 표하는 한국과 점령지 아동의 모습을 분석하였다. 제국 일본으로부터 받은 은혜를 표방하는 이미지들은 현실과의 괴리감을 자아내며 제국주의 권력이 내포한 부조리한 성질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본고는 일제하 조선의 전시체제기에 생산된 아동 이미지를 고찰하고 그것이 군국주의 전쟁의 은폐와 지속, 강화에 사용된 시각적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시기에 생산된 시각 매체 속 아동 이미지의 양상과 성격, 기능과 의미 등을 종합적으로 탐구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magery of children published in wartime Korea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1937-1945) and consider the modality, nature, and meaning of such imagery from the perspective of art history.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full-fledged forced mobilization and the rise of militarism led to visual media, such as works of fine art and graphic art, tinged with political undertones. Among such publications, this study focuses on the portrayal of children, classifies, and examines the type of imagery of children during the wartime period, as well as studies its nature and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Chapter Ⅱ studies child discourses during the wartime period based on publications issued at the time. Child magazines published in Joseon before wartime produced child discourses centered around nationalism, romanticism, or classism. At the same time, the colonial education system was trying to breed children as obedient and loyal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 As such, various concepts surrounding children co-existed during the period. Such views on children remained consistent when the country entered wartime, but above all, totalitarianism dominated all the other values. Children were demanded to serve the empire for victory, as loyal young subjects from the second generation of the colony. In such a society, children’s culture started to contain strong militaristic implications. Based on the examination, Chapters Ⅲ, Ⅳ, and Ⅴ study with more depth the imagery of children from Korean visual media. This paper divide types of the wartime child image largely into “Play and War,” “Training Body and Mind,” and “Gratitude and Obedience.” Firstly, Chapter Ⅲ delves into the two contrary portrayals of children: images of children enjoying war as entertainment, such as doodling images of war and playing war games; images of uniformed and solemn child soldiers and mature child subjects of the empire who take part in rear supports. The two characteristics of child image, innocence and loyalty, served as useful tools that the imperialist authority can choose from as the need arises. Chapter Ⅳ looks into images of children who work hard to foster the martial spirit and healthy body, values that were emphasized in the forced mobilization system. Children were portrayed as practicing “kendo” to nurture the Japanese spirit and wartime consciousness, practicing “Hwangguksinmin-Gymnastics” or bayonet drills. Such portrayal mainly featured outdoor activities and the totalitarian concept of physical fitness, clearly showing the martial and warlike nature of a militarist authority. Lastly, Chapter Ⅴ examines images of obedient children who appreciate the generosity of the empire: children who are working hard to serve the country; children in Korea and other colonized regions expressing gratitude to the imperial troops. These images were produced to demand gratitude for the Japanese empire, creating discrepancy with reality and revealing the irrational nature of an imperialist authority. In conclusion, this paper studies images of children published in wartime Joseon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and looks into how the images were used to cover, maintain, and enhance the militarist war.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in its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child images produced in the wartime period, and its research on the modality, nature, function, and implication of such imag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