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석향-
dc.contributor.author안종숙-
dc.creator안종숙-
dc.date.accessioned2023-08-23T16:31:31Z-
dc.date.available2023-08-23T16:31:31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otherOAK-000000205567-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0556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5743-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의 목적은 북한 당국이 모범적 감정으로 제시하는 사상감정으로 인해 북한 주민들이 생애 가운데 어떤 경험을 하는지 파악하고 그것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사상감정 경험이란 사상감정을 어떤 경로로 수용하였고 그 결과는 어떠했으며 이에 영향을 미친 가정, 사회경제적 조건과 개인의 생애 사건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생애사연구방법으로 하였다. 문헌과 예비연구를 통해 북한 주민의 사상감정 경험이 전 생애에 걸친 연속적이고 과정적인 경험으로 인식하고 탐구할 필요가 있었고 개인 생애는 개인 경험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고 전제하는 생애사연구방법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연구참여자로 출생 시기, 출신 지역, 출신 성분이 다른 세 명의 북한이탈주민을 선정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생애사 텍스트 분석방법의 하나인 총체적 내용 접근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 개인의 사상감정 경험을 사상감정 수용 및 형성 배경, 사상감정 수용 및 형성 도구, 탈북 이전 북한에서의 사상감정 적응, 탈북이라는 생애 사건과 사상감정 적응이라는 네 가지 범주로 구조화할 수 있었고 이 분석 틀을 활용, 연구참여자 개인의 생애사를 통해 본 사상감정 경험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사상감정 경험을 통합 비교할 때 연구참여자들의 사상감정 경험은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다. 첫 번째 시기는 연구참여자들이 사상감정을 수용하고 형성한 유년 시절과 학창 시절이다. 이 시기, 연구참여자들의 사상감정 특별히 충성심의 수용과 형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크게 두 가지였다. 하나는 개인의 출신 성분과 그로 인한 환경, 다음은 이들이 태어나고 자란 사회경제적 환경이었다. 이와 함께 탁아소 시절부터 외부와 차단된 환경에서 일방적으로 주어진 사상교양이 이들의 사상감정을 형성한 주요 도구였다. 두 번째 시기는 탈북 전, 연구참여자들이 겪은 생애 사건과 사회변화를 배경으로 이들이 유년 시절과 학창 시절 형성한 사상감정이 변화하고 재구성, 지속되는 양상으로 나타난 시기다. 이처럼 사상감정 경험이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음에도 사상감정이 이들의 감정과 생각과 행동을 규제하고 규율하는 규범적 감정으로 동일하게 작동한 시기이기도 하다. 이들에게 사상감정이 규범적 감정으로 작동한 동인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었다. 처벌과 제재라는 외적 억압으로 인해 이들 안에 내재된 두려움과 공포, 사상감정을 통한 공적 감정의 집단적 강화로 다른 생각이나 감정이 가능하지 않았던 점, 끝으로 충성심을 비롯한 사상감정이 이들에게 중요한 가치로 작동한 점이었다. 세 번째 시기는 연구참여자 모두 탈북이라는 생애 사건을 겪고 사상감정에 대하여 질적인 변화를 경험한 시기이다. 탈북 전, 이들에게 충성심을 중심으로 하는 사상감정은 자신의 삶에 준거 역할을 하는 동의 기제이며 동시에 자신의 모든 행동과 감정을 규제하는 통제 기제로 작동했었다. 그러나 그 의미를 부정하고 더 이상 규범으로 작동하지 않는 질적인 변화는 연구참여자들 모두 탈북이라는 생애 사건을 통해 다른 사회를 경험한 이후에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의 사상감정 경험에 나타난 의미는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의 사상감정 경험은 수령을 중심으로 하는 유일 지배 체제 지속을 위한 억압적이고 통제적인 북한 사회를 반영하는 개인적 진술로서 의미가 있다. 이로써 이들의 생애가 사상감정으로 인하여 어떻게 규제받고 통제받았는지 그리고 사상감정으로 스스로 규율하고 규제받은 개인의 생애가 어떻게 북한 사회에 순응하게 되는 결과로 이어지는지 볼 수 있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사상감정 경험은 단절되고 독립적인 경험이 아니라 과정적이고 연속적인 경험이라는 것이다. 이들에게 사상감정의 질적 변화를 가져온 탈북이라는 생애 사건은 단번에 갑작스럽게 일어난 사건이 아니다. 사상감정이 여전히 규범적 감정으로 작동하는 가운데 이들에게 일어난 생애 사건과 북한 사회변화로 인해 이들 안에 생겨난 균열과 변화가 점진적으로 축적되어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의 사상감정 경험은 이들에게 탈북이라는 생애 사건이 갖는 의미를 보여준다. 이들에게 탈북이라는 생애 사건은‘북한이라는 특정한 사회문화적 공간에서 만들어진 감정과 감정규범’을 부정하고 성찰하고 재확인하는 과정임을 보여주는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North Koreans have experienced in their lives due to the ideological emotions educat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s ideal emotions and to explore what their experiences mean. The concept of the ideological emotion experiences encompasses how North Koreans accepted the ideological emotions, what were the results and how the family backgrounds,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life events affected the acceptance and the results of the ideological emotions. In this study, a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was used since the experiences of the ideological emotions are continuous and progressive throughout the North Koreans’ live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view and preliminary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ree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different periods and regions, and from different classes of origi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holistic content approach analysis method, which is one of the life history text analysis methods. After the data analysis, the ideological emotion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were structured into four categories: their background for accepting and forming the ideological emotions, the tools used to accept and form the ideological emotions, their adjustment to the ideological emotions in North Korea before defecting, and their adjustment to the ideological emotions after defecting from North Korea. Based on these four categories, the experiences of the ideological emotions through the life histories of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organized. After comprehensive comparison of the ideological emotion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those experience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is the childhood and school days when the research participants accepted and formed the ideological emotions. During this period, there were two major factors that influenced the acceptance and formation of the ideological emotions, especially in relation to loyalty. The first factor was the family background based on their classes of origin and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in which they were born and raised. The second one was the political ideology education started from daycare in a blocked society from the outside world, which was a major tool for shaping their ideological emotions. The second period is when the research participants changed, reconstituted, or continued their ideological emotions had formed during childhood and school days after some life events and social changes before defecting from North Korea. During this period, the ideological emotions worked equally as normative emotions that regulated their emotions, thoughts, and behaviors. According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three motives guided which the ideological emotions would act as normative emotions in this period. First, due to external suppression through punishments and sanctions, fear was instilled in them. Second, the collective reinforcement of public emotions through ideological dictates over emotions rendered it impossible to think or feel differently. Third, they valued the ideological emotions, including loyalty, as critical values. The third period is when all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a complete change in their ideological emotions after the life event of defecting from North Korea. Before defecting from North Korea, the ideological emotions with emphasis on loyalty worked as a consent mechanism, the standard for their lives and a control mechanism regulating all their actions and emotions at the same time. After the life event of defecting from North Korea, the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a complete change in their ideological emotion experiences. The ideological emotions were not worthy of being valued and lost its function as norms of their lives.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of the ideological emotions can be interpreted in three ways. First, the ideological emotion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reflect the oppressive and controlling nature of North Korean society. This was part of the monolithic ruling system centered on the leader and made it possible to see how their lives were governed and controlled by the ideological emotions. Furthermore, the lives of individuals who self-regulated and yet were regulated by the ideological emotions led to the conformity with North Korean society.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of the ideological emotions are progressive and continuous rather than disconnected and independent. The life event of defection from North Korea, which brought a complete change in their experiences of the ideological emotions, was not an event that happened all of sudden. It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the gradual accumulation of cracks and changes in them after life events and social changes in North Korea while their ideological emotions still operated as normative emotion. Lastly, the ideological emotion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show the meaning of the life event of North Korea defection. It is meaningful to show that the life event of defecting from North Korea is a process of denying, reflecting on, and reaffirming “the emotions and normative emotions created in a specific socio-cultural space of North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배경 1 B.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의의 4 C. 논문 구성 12 Ⅱ. 문헌 고찰 14 A. 감정과 사회 14 1. 감정과 권력 14 2. 사회변화와 규범적 감정 17 B. 북한 문헌으로 본 사상감정과 사상감정 전달 및 고양 도구 20 1. 사상감정 개념과 유형 20 2. 사상교양 전달 및 고양 도구 29 가. 사상감정의 전달 도구 29 나. 사상감정의 고양 도구 33 Ⅲ. 연구방법 38 A. 연구방법 38 1. 예비연구 38 2. 생애사연구방법 42 B. 연구참여자 선정 44 C. 자료 수집 및 분석 46 1. 자료 수집 46 2. 자료 분석 및 글쓰기 47 3. 연구의 윤리적 고려 53 Ⅳ. 연구결과 54 A. 김정순의 생애사를 통해 본 사상감정 경험 54 1. 사상감정 수용 및 형성 배경 60 2. 사상감정 수용 및 형성 도구 63 3. 탈북 이전 북한에서의 사상감정 적응 63 가. 사회생활과 사상감정 적응 63 나. 생애 사건과 사상감정 적응 67 4. 탈북이라는 생애 사건과 사상감정 적응 79 5. 소결 94 B. 강영주의 생애사를 통해 본 사상감정 경험 97 1. 사상감정 수용 및 형성 배경 97 2. 사상감정 수용 및 형성 도구 101 3. 탈북 이전 북한에서의 사상감정 적응 103 가. 생애 사건과 사상감정 적응 103 나. 사회생활과 사상감정 적응 109 4. 탈북이라는 생애 사건과 사상감정 적응 118 5. 소결 126 C. 한재오의 생애사를 통해 본 사상감정 경험 129 1. 사상감정 수용 및 형성 배경 129 2. 사상감정 수용 및 형성 도구 133 3. 탈북 이전 북한에서의 사상감정 적응 138 가. 생애 사건과 사상감정 적응 138 나. 사회생활과 사상감정 적응 144 4. 탈북이라는 생애 사건과 사상감정 적응 150 5. 소결 156 Ⅴ. 연구결과 논의 160 A. 탈북 이전 연구참여자들 사상감정 경험의 변화와 지속 160 B. 탈북 이후 연구참여자들 사상감정 경험의 지속과 변화 192 C. 소결 196 Ⅵ. 결론 201 참고문헌 217 ABSTRACT 2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365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북한, 사상감정, 규범적 감정, 생애사연구, 북한이탈주민-
dc.subject.ddc900-
dc.title북한이탈주민의 생애사를 통해 본 사상감정 경험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deological Emotion Experiences from North Korean Defectors’ Life Histories-
dc.creator.othernameAhn, Jong sook-
dc.format.pageviii, 23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과-
dc.date.awarded202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