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2 Download: 0

간호사의 문화적 민감성, 다문화수용성, 범문화효능감이 문화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Title
간호사의 문화적 민감성, 다문화수용성, 범문화효능감이 문화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nfluencing effect of Nurses' 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Pan-cultural efficacy on Cultural nursing competency
Authors
조도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Keywords
문화간호역량, 문화적 민감성, 다문화수용성, 범문화효능감, 간호사,문화간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건희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대상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문화적 민감성, 다문화수용성과 범문화효능감이 문화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간호사의 문화간호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다문화 대상자를 간호한 경험이 있는 임상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 164명이었다. 2023년 4월 28일부터 5월 2일까지 간호사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을 활용해 간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문화적 민감성은 문화적 민감성 척도(Cultural Sensitivity Scale)로, 다문화수용성은 다문화 수용성 진단도구(Korea Multi-Cultural Inventory; KMCI)로, 범문화효능감은 범문화효능감 척도(Transcultural Self-Efficacy Scale)로, 문화간호역량은 Cultural Competence Scale for Registered Nurses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é post hoc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문화적 민감성, 다문화수용성, 범문화효능감, 문화간호역량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문화적 민감성, 다문화수용성과 범문화효능감이 문화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의 경우, 성별은 93.3%가 여성이었고, 연령은 31~40세가 43.6%, 혼인상태는 기혼이 52.1%로 많았다. 임상 관련 특성에서 임상 경력은 6~10년이 31.9%, 근무하는 병원의 크기는 종합병원급(101~300 침상)이 41.7%, 다문화 관련 특성은 정규교육 외에 외국어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가 77.3%, 한국어를 제외하고 말할 수 있는 외국어의 개수로는 ‘없다’는 비율이 49.7%로 가장 많았다. 외국 여행 경험 빈도는 ‘6회 이상’이 39.9%, 외국 거주 기간은 ‘없음’이 72.4%, 다문화 가족 유무는 ‘없다’가 85.3%, 다문화 관련 부서 근무 경험은 ‘없다’가 78.5%로 많았다. 관심 있는 외국 문화 분야는 다중답변으로 조사되었으며, 관심 있는 외국 문화 분야는 ‘음식’이 32.1%로 가장 많았고, ‘생활양식’이 30.0%, ‘사회(정치, 경제, 종교)’는 10.9%, ‘예술’이 10.9%로 ‘사회(정치, 경제, 종교)’와 같았고, ‘교육’이 9.2% 순이었다. 2. 간호사의 문화적 민감성은 4점 만점에서 3.56±0.42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는 ‘문화 특이성 인정’ 4.11±0.61점, ‘문화통합’ 3.75±0.65점, ‘문화 기회균등’ 3.62±0.49점, ‘문화 지식학습’ 3.37±0.65점, ‘모국어 사용 배려’ 3.08±0.68점 순이었다. 다문화수용성은 6점 만점에 4.07±0.62점이고, 하위영역별로는 ‘다양성’ 4.14±0.74점, ‘보편성’ 4.06±0.60점, ‘관계성’ 3.98±0.76점의 순이었다. 범문화효능감은 4점 만점에 2.68±0.37점으로, 하위영역별로는 ‘정서’ 2.91±0.36점, ‘실무’ 2.69±0.47점, ‘인지’ 2.42±0.54점이었다. 문화간호역량은 5점 만점에 3.59±0.53점이고, 하위영역별로는 ‘평등성’ 3.92±0.55점, ‘의사소통’ 3.91±0.51점, ‘식생활’ 3.70±0.59점, ‘영성’ 3.43±0.80점, ‘역량 강화와 중개’ 3.41±0.77점, ‘문화생태와 가족’ 3.40±0.72점, ‘장례의식’ 3.38±0.85점 순이었다. 3.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적 민감성의 차이는 외국 거주 기간(F=4.600, p=.011), 외국인 친구의 수(F=5.961, p=.00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외국 거주 기간이 6개월 이상’이 ‘없음’보다, ‘외국인 친구의 수가 3명 이상’이 ‘없음’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범문화효능감의 차이는 성별(t=2.080, p=.039), 외국인 친구 수(F=6.514, p=.002), 다문화 관련 부서 근무 경험(t=2.997, p=.00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외국인 친구의 수가 3명 이상’이 ‘없음’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간호역량의 차이는 다문화 관련 근무 경험(F=2.337, p=.02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다문화 관련 부서 근무 경험이 ‘있다’가 ‘없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4. 간호사의 문화간호역량과 각 변수의 하위영역을 확인한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문화간호역량은 문화적 민감성의 문화 지식학습(r=.229, p=.003), 다문화수용성(r=.237, p=.002),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성(r=.218, p=.005), 보편성(r=.308, p<.001), 범문화효능감(r=,530, p<.001), 범문화효능감의 인지(r=.477, p<.001), 실무(r-=450, P<.001), 정서(r=.39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간호사의 문화간호역량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다중회귀분석 한 결과로, 범문화효능감의 인지(β=.401, p<.001), 범문화효능감의 정서(β=.313, p=.003), 다문화수용성의 보편성(β=.181, p=.003) 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이들의 설명력이 32.9%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범문화효능감의 인지, 정서, 다문화수용성의 보편성이 문화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하였다. 문화간호역량의 발전을 위해 간호사에게 임상에서 다문화 경험을 높이는 교육과 높은 수준의 보편적 가치를 가진, 국제간호수준의 간호역량이 요구됨을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 관련 보수교육과 병동, 병원 차원의 임상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교육의 효과를 위한 적절한 평가도 제안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cross-cultural efficacy on the cultural nursing competency of nurses caring for multicultural pati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ducation to enhance nurses' cultural nursing competen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4 nurses with more than 6 months of clinical experience who had experience in nursing multicultural subjects. From April 28 to May 2, 2023, nurse online community bulletin boards such as ‘My Duty’ and ‘Nurse Skating’ were used to collect data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Cultural Sensitivity Scale, the Korea multi-cultural inventory (KMCI), the Transcultural Self-efficacy Scale, the Cultural Competence Scale for Registered Nurse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post hoc,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WIN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Nurses' cultural sensitivity was 3.56±0.42 points out of 4 points, multicultural acceptance was 4.07±0.62 points out of 6 points, cross-cultural efficacy was 2.68±0.37 points out of 4 points, and cultural nursing competency was 3.59 points out of 5 points. It was ±0.53 points. 2. The results of differences in 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acceptance, cross-cultural efficacy, and cultural nursing competen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are as follows. Differences in cultural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iod of residence abroad (F=4.600, p=.011) and the number of foreign friends (F=5.961, p=.003). In the verification, 'staying abroad for 6 months or m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e', and 'number of foreign friends 3 or m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ulticultural acceptance. The difference in cross-cultural accept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gender (F=2.080, p=.039), number of foreign friends (F=6.514, p=.002), and multicultural work experience (F=2.997, p=.003). In the post-test, 'the number of foreign friends was 3 or m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e'. In cultural nursing competenc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ulticultural work experience (F=2.337, p=.021). 3. Nurses' cultural nursing competenc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acceptance (r=.237, p=.002) and cross-cultural efficacy (r=,530, p<.001). There are many similar concepts in culture, so the correlation of the sub-factors of each tool was examined for accurate analysis without the problem of multicollinearity. Relationship of multicultural acceptance (r=.218, p=.005), universality (r=.308, p<.001), cognition of cross-cultural efficacy (r=.477, p<.001), practice (r=.450, p<.001) and emotion (r=.393,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4. In order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nurses' cultural nursing competency,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reflected cultural nursing competency in general characteristics, statistically significant multicultural-related department work, and sub-factors of each variable, showed recognition of cross-cultural efficacy (β=.401, p<.001), the sentiment of cross-cultural efficacy (β=.313, p=.003) and the universality of multicultural acceptance (β=.181, p=.003).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for cultural nursing competency was 32.9%. In the above study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universality of cognition, emotion,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of cross-cultural efficacy wer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nursing competency.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nursing competency, nurses should be prepared for education that enhances multicultural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and international nursing standards with high universal values are required. To this end, continuing education and clinical education related to multiculturalism are required, and proper evaluation for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s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