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9 Download: 0

파트너 퍼빙과 관계 만족의 관계에서 불안정 애착,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

Title
파트너 퍼빙과 관계 만족의 관계에서 불안정 애착,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
Other Titles
The Moderating Effect of Attachment and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ner Phubbing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 An Application of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uthors
유지호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avoidant attachment, anxious attachment, and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ner phubbing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unmarried individuals in their 20s and 30s.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hubbing, which refers to the behavior of ignoring others using smartphones while physically interacting with them, on romantic relationships.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phubbing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relationship satisfaction, particularly among individuals with anxious attachment. The study also aimed to explore the role of age in perceiving and responding to phubbing.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self-effect and partner effect of phubbing in couples,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of insecure attachment and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ubbing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this specific age group. Therefore, the researchers used a self-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to examine these variables in heterosexual couples. They collected online survey responses from 215 adult male and female couples who had been dating for more than six months and analyzed the data using statistical software.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several findings. Firstly, both the self-effect and partner effect of female partner phubbing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ly, both the self and partner effects of avoidant attachment and anxious attachment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as well as the self and partner effects of male rejection sensitivity. Thirdly, the moderating effect of male avoidant attachment was significant in the partner effect of female partner phubbing. Moreover, the moder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was significant in both the male and female groups. Lastly, male rejection sensitivity was found to moderate the self effect of female partner phubbing and partner effect of male partner phubb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contribution to the understanding of phubbing behavior in romantic relationships and its impact on both men and women. The findings can aid in comprehending conflicts that arise through smartphone use in relationships and provide practical guidance in counseling. Additionally, the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phubbing promotes further discussion on the topic. However, the study does have limitations. The sample size was small, raising questions about the statistical power and generalizability of the findings. It is also necessary to validate the partner phubbing scale and reconfirm the result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due to limitations in fitness analysis. Finally,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protective factors that may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phubbing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Overall,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dynamics of phubbing in romantic relationships, particularly among young adults,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attachment styles and rejection sensitivity in understanding its impact.;본 연구의 목적은 20, 30대 미혼 남녀의 파트너 퍼빙과 관계 만족의 관계에서 회피애착과 불안애착,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스마트폰이 급속도로 보편화되면서, 다른 사람과 물리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상대방을 소홀히 대하거나 무시하는 행동인 퍼빙(Phubbing)이 정의되었다. 연인 관계에서 퍼빙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선행 연구 결과, 퍼빙이 증가할수록 관계 만족이 감소하고 불안애착인 경우 관계 만족이 더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상대방의 퍼빙 행동을 민감하게 지각하고 반응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스마트폰이 익숙한 20, 30대 국내 남녀 연인 관계에서 퍼빙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그리고 퍼빙과 연인 관계 만족의 관계에서 불안정 애착과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는 연구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성교제 중인 연인의 파트너 퍼빙, 관계 만족, 불안정 애착, 거부민감성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6개월 이상 현재 연인과 교제 중인 국내성인 남녀 215쌍으로부터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응답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2.0과 MPLUS 8.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여성 파트너 퍼빙이 관계 만족에 미치는 자기 효과, 상대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남녀의 회피애착과 불안애착이 관계 만족에 미치는 자기 효과, 상대방 효과가 모두 유의하고 남성의 거부민감성이 관계 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 상대방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남성 파트너 퍼빙의 상대방효과에서 남성 회피애착의 조절 효과가 유의했다. 그리고 여성 파트너 퍼빙의 자기 효과와 남성 파트너 퍼빙의 상대방 효과에서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연인 관계에서의 퍼빙 행동이 남녀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 국내 퍼빙 연구에 기여하였다. 둘째, 스마트폰으로 나타나는 연인 간 갈등에 대한 이해를 돕고 상담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퍼빙을 측정하는 척도를 제시함으로써 퍼빙에 대한 논의를 촉진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첫째, 표본의 크기가 작아 검증력이 의심된다. 둘째, 파트너 퍼빙 척도에 대한 타당화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완전판별모형으로 적합도에 대한 해석을 하지 못 하였으므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재검증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퍼빙과 연인 관계 만족 사이의 보호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