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0 Download: 0

국내 발간 국제 학술지 데이터 공유 정책 활성화 방안 연구

Title
국내 발간 국제 학술지 데이터 공유 정책 활성화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romoting the Data Sharing Policies of International Journals Published in Korea
Authors
배서영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현
Abstract
Open data, a concept allowing anyone to access and reuse data without restrictions, has fostered stakeholders in the academic community to promote data sharing by implementing and operating data sharing policies. As international journals move rapidly to follow the international trends of open data, it is time to discuss the role of international journals published in Korea promoting data sharing.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d plans to promote the data sharing policy of international journals published in Korea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data sharing policies of these journals and editors' perceptions on adoption and components of the policy.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of data sharing and Korean and foreign countries’ data sharing policies were examined. Also, the academic journal data sharing policy and its components were derived. Then, based on this review,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 of data sharing policies in international journals published in Korea were identified. Through a survey and interviews, editors' perceptions on the adoption and components of data sharing policies in these journals were collected. Based on these analysis, plans to promote data sharing policies in these journals were proposed. First,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of data sharing, benefits of data sharing and the factors hindering data sharing were examined in terms of researchers’ and technical infrastructural views. In addition, it was identified that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started data sharing by implementing data sharing policies at research funding agencies whereas Korea established data sharing through policies or regulations of government. In addition, by examining data sharing policies of previous studies, academic journal editor association, and academic publishers, a total of 11 policy components were derived. Second, by considering the international level of journals published in Korea, the Web of Science(WoS) Journal Citation Reports(JCR) were chosen for extracting the journal list for analysis. As a result, a total of 158 international journals published in Korea were selected for the study. By analyzing the journal policies on the journal's homepage, it was found that a total of 66 international journals published in Korea adopted data sharing policies. For content analysis, data sharing policies of international journals published in Korea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which were ‘independent data sharing policy’, ‘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data sharing policy’, ‘commercial publisher data sharing policy’ and ‘mixed data sharing policy’. Then content analysis on these data sharing polices were done by identifying the components of policies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ird,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ption of the policy and factors influencing it, like impact factor quartile, publisher type, publication type, and subject area.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doption of journal data sharing policy and factors, which were impact factor quartile, publication type, and subject areas. Journals with higher impact factor quartile, adopting open access model, and published in subject areas like Health Sciences, especially Medicine, were found to have associa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data sharing policies. Fourth, excluding one journal which all editors were either foreigners or affiliated with foreign institutions, a survey were sent online via e-mail to 314 editors of 157 journals. As a result, a total of 35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by excluding 3 responses considered inappropriate, a total of 32 responses based on academic journals were eventually collected. In addi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editors who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interviews in survey responses. Through the survey, editors' perceptions on the implementation and components of journal data sharing policies were examined. Before analyzing the opinions of editors, we asked how familiar they were with data sharing policies as editors of academic journals. Afterwards, the questions were divided into whether or not the policies of international journals published in Korea were adopted. The editors of the academic journals that adopted the policy were asked to answer the reasons for adopting the policy, difficulties adopting the policy, efforts operating the policy, and the reason for adopting the current policy type. The editors of academic journals that did not adopt the policy were asked why they did not adopt the policy and their future plans for adopting the policy, and the editors of journals with plans to adopted the policy were additionally asked about the reason for the policy adoption planning, the efforts of adopting the policy, and the type of policy intended to adopt. In order to collect the perception of data sharing policy components by journal editors, opinions 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each policy component were also questioned. In addition, the interview questionnaire was structured similar to the survey and proceeded in the direction collecting specific answers to the survey respons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data sharing policy content analysis, statistics analysis of each journal factors, a survey and interviews, policy promotion plans for international journals published in Korea were proposed.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editors in international journals published in Korea by promoting data sharing and its benefits, and establishing a compensation for shared data. Second, as a result of the survey, ‘data availability statement’, ‘level of data sharing ’, ‘method of data sharing’, and ‘data citation’are included as essential components when adopting and operating the policy because they are considered highly important and selected by more than half of the editors as a mandatory component. In addition, even if journals do not mandate data sharing, researchers not sharing data must disclose the reason for it, and the role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research institutes supporting implementation of repositories needs to be considered. Third, considerations were proposed according to factor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data sharing policy was adopted. Journals with a higher impact factor quartile and their increasing interest in open data in open access journals influenced the adoption of the policy. The role of academic communities, especially in medical fields, for clinical trial data shared in medical journals was also considered important when promoting of data sharing polic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 way that it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data sharing policies, and editors’ perception on the adoption of the policy,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each component in international journals published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source to help adopt and operate data sharing policies in international journals published in Korea by promoting editors' awareness and considering policy components.;누구나 데이터에 제약 없이 접근하고 재이용할 수 있게 하는 개념인 오픈 데이터의 흐름 속에서 학술공동체의 이해관계자는 데이터 공유 정책을 수립 및 운영하여 데이터 공유 활성화에 이바지하였다. 오픈 데이터와 같은 국제적인 흐름을 발 빠르게 따라가는 국제 학술지를 중심으로 국내에서도 데이터 공유를 활성화하기 위한 이들의 역할을 논의할 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발간 국제 학술지 데이터 공유 정책의 현황과 정책의 도입 및 구성요소에 대한 편집인의 인식을 파악하여 국내 발간 국제 학술지의 데이터 공유 정책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데이터 공유의 개념 및 국내외 제도적인 현황을 파악한 후 학술지 데이터 공유 정책과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이후 이를 바탕으로 국내 발간 국제 학술지의 데이터 공유 정책 도입 현황 및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설문조사 및 후속 인터뷰를 통해 국내 발간 국제 학술지 데이터 공유 정책의 도입과 구성요소에 대한 편집인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 학술지에서 데이터 공유 정책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데이터 공유의 개념과 이점 그리고 데이터 공유를 저해하는 요인을 연구자 및 기술적 인프라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외 제도를 살펴본 결과, 미국 및 영국은 연구비지원기관에서 데이터 공유 정책을 도입하면서 데이터 공유를 본격화하였으며 국내에서는 정부 차원의 정책 또는 규정을 통해 데이터 공유를 촉진하기 위해 노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선행연구, 학술지편집인협의회 및 학술출판사의 데이터 공유 정책을 살펴본 결과 정책의 구성요소 총 11개를 도출하였다. 둘째, 데이터 공유 정책 현황과 정책 내용 분석을 위해 국내 학술지의 국제적인 수준을 고려하여 Web of Science(WoS) Journal Citation Reports(JCR)를 통해 국내에서 발간되는 국제 학술지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 총 158개의 국내 발간 국제 학술지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학술지의 홈페이지 내 학술지 정책 및 규정 내 데이터 공유 정책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총 66개의 국내 발간 국제 학술지가 데이터 공유 정책을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 분석을 위해 국내 발간 국제 학술지의 데이터 공유 정책을 ‘자체적인 데이터 공유 정책’, ‘국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데이터 공유 정책’, ‘상업출판사 데이터 공유 정책’, ‘혼합 데이터 공유 정책’인 총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앞서 도출한 데이터 공유 정책 구성요소 11개를 기반으로 정책을 도입한 학술지 66개에 대한 내용 분석을 진행하였다. 셋째, 학술지 데이터 공유 정책 도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영향력지수 사분위, 발행기관 유형, 출판 유형, 주제 분야에 따른 국내 발간 국제 학술지의 정책 도입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 및 Fisher 정확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술지 데이터 공유 정책 도입 여부와 영향력지수 사분위, 출판 유형, 상위/하위 주제 분야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영향력지수 사분위가 높고, 오픈액세스로 출판하며 주제 분야가 보건 과학 분야의 의학 계열인 학술지일수록 데이터 공유 정책을 도입한 경향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넷째, 국내 발간 국제 학술지 총 158개의 편집위원장, 부편집위원장, 편집간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자 모든 편집인이 외국인이거나 외국 기관 소속인 학술지 1개를 제외하고 학술지 총 157개 편집인 314명의 이메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응답 수집 결과 총 35부의 응답을 회수하였고,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한 응답 3부를 제외하여 학술지 기준 총 32개의 응답을 최종 수집하였다. 더불어 설문조사 시 후속 인터뷰에 응한 편집인 중 실제 참여 의사를 밝힌 6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학술지 데이터 공유 정책 도입 및 구성요소에 대한 편집인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우선 정책 도입에 대한 편집인의 인식을 살펴보기에 앞서 학술지의 편집인으로서 데이터 공유 정책에 얼마나 익숙한지를 질문하였다. 이후 국내 발간 국제 학술지 정책의 도입 여부에 따라 문항을 구분하였다. 정책을 도입한 학술지의 편집인에게 정책을 도입한 계기, 정책 도입 시 어려움, 정책 운영을 위한 노력을 질의하였으며, 현재 도입한 정책을 채택한 이유도 질문하였다. 정책을 도입하지 않은 학술지의 편집인에게는 정책을 도입하지 않은 이유와 정책 도입 계획을 질문하였고, 도입 계획이 있는 학술지 편집인에게 정책 도입 계획을 세운 계기, 정책 도입을 위한 노력, 도입하고자 하는 정책 유형에 대해 추가로 질문하였다. 학술지 편집인의 데이터 공유 정책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정책 구성요소별 중요도와 필수 여부에 대한 의견도 수집하였다. 더불어 후속 인터뷰 질문지는 설문지와 유사하게 구성하였고 설문 응답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을 얻는 방향으로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공유 정책 내용 분석, 학술지 요인별 추리통계 분석, 편집인 대상 설문조사 및 후속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발간 국제 학술지의 정책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데이터 공유 및 이점 홍보, 데이터 공유에 따른 보상 체계 구축 등을 통해 국내 발간 국제 학술지 편집인의 인식을 개선해야 하였다. 둘째, 설문조사 결과 중요도가 높으면서 동시에 편집인 절반 이상이 선택한 구성요소인 ‘데이터 가용성 표기’, ‘데이터 공유 수준’, ‘데이터 공유 방법’, ‘데이터 인용’을 정책 도입 및 운영 시 필수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었다. 또한 학술지는 상황에 따라 데이터 공유를 의무화하지 않더라도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는 연구자로 하여금 그 이유 및 근거를 밝히도록 해야 하며,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국내 리포지터리 구축을 지원하고 실행하는 국립중앙도서관 및 연구기관 등의 역할을 강조할 필요가 있었다. 셋째, 데이터 공유 정책 도입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영향력지수 사분위, 출판 유형, 주제 분야에 따라 학술지 속성별 고려사항을 확인하였다. 영향력지수 사분위가 높은 학술지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여건, 오픈액세스 학술지의 오픈 데이터에 관한 높은 관심도, 그리고 의학 학술지 임상 실험 데이터 공유를 위한 의학 분야 학술공동체의 역할이 데이터 공유 정책 활성화에 영향을 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 발간 국제 학술지의 데이터 공유 정책 현황 및 정책 도입 및 구성요소별 중요도 및 필수 여부에 대한 편집인의 인식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편집인의 인식을 개선하고 정책 구성요소 및 학술지 속성을 고려하여 국내 발간 국제 학술지의 데이터 공유 정책 도입과 운영을 돕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