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2 Download: 0

행동하는 여성주의로부터 여성주의적 공공성으로

Title
행동하는 여성주의로부터 여성주의적 공공성으로
Other Titles
From Activism of Feminism to Feminist Publicness : Focus on Suzanne Lacy’s Works
Authors
유승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수잔 레이시, 여성주의, 퍼포먼스, 공공성,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종철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working world of Suzanne Lacy(1945~), who developed a New Genre Public Art,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m and activism. Suzanne Lacy’s an artist who explored the social practicability of art by exploring the performance of feminist thinking and performance of performing and viewer-participating attributes that urge a change in perception of unequal social power. Lacy's artwork based on feminism and activism is developing into a New Genre Public Art that assumes social relations and interaction processes as works. This study examines Lacy's work world, which has practiced the publicity of art through feminist reflection, from expressing feminist ideas through activist-oriented art forms. The late 20th century, when Lacy started art, was when the discourse on others, who had been alienated from art, emerged and discussions on the form of public art were active to define the meaning of the publicity of art. At the same time, it was a time when activist art of a political nature, which seeks to intervene in life through art, was prominent. The critical view that existing public art is separated from the social community has led public art to form an alternative movement to continue to exert its influence in everyday life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Lacy also kept her perspective on the social practice of art and introduced an activist strategy to practice the publicness of art through the practice of feminism. Lacy's early works show a way of acting with her own body and evoking uncomfortable emotions. This is a strategy to break away from the typical reproduction of the perspective of women's bodies and deliver socially critical messages by evoking strange and unfamiliar emotions and practicing the cultural and political function of feminism to convey the ideology of sexual power. In addition, Lacy revealed social issues related to violence against women and visualized the problem of elderly women's alienation by performing with elderly women. Lacy's performance in public places encouraged various discourses on women who had been alienated from public spaces to be activated by addressing social and political issues related to them in public places. In addition, Lacy tried to pay attention to the social issues of other beings and realize the publicness of art by focusing on the members of the social community. In this way, her works can be understood as not only criticizing the absurd ideology of society by occupying public places but also continuously implementing performance strategies of art to change their lives through art. Lacy's artworks, which utilize strategies of feminism, performance, and publicness, are based on the artist's consistent attitude of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public functions of art through feminist consciousness.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in Lacy's artwork, identify the aspect that it resulted in New Genre Public Art, and find out that his work developed and changed with internal inevitability at the intersection of feminist and activist art. Ultimately, through this study, it was discussed that Lacy's work expanded to concerns about other beings resulting in exploring women's social problems and considering the performance and art practice used in the process of securing publicness.;본 논문은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New Genre Public Art)’을 발전시킨 수잔 레이시(Suzanne Lacy, 1945~)의 작업 세계를 여성주의와 행동주의의 관점에서 고찰한 연구이다. 수잔 레이시는 불평등한 사회 권력에 관한 인식의 변화를 촉구하는 여성주의적 사고와 수행적이고 관람자 참여적인 속성의 퍼포먼스를 탐구하며 미술의 사회적 실천 가능성을 탐색한 작가이다. 여성주의와 행동주의를 기반으로 한 레이시의 미술 작업은 사회적 관계와 상호 작용 과정을 작품으로 상정하는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로 발전하는 양상을 보인다. 본 논문은 행동주의 성향의 미술 형식을 통해 여성주의적 사상을 표출하는 것으로부터, 여성주의적 성찰을 통해 미술의 공공성을 실천해 나간 레이시의 작업 세계를 고찰한다. 레이시가 활동했던 20세기 후반은 예술을 통해 삶에 개입하고자 하는 정치적 성격의 행동주의 미술이 두드러지던 시기이다. 또한 그간 미술에서 소외되어 온 타자에 관한 담론이 급부상했던 시기이며, 미술의 공공성의 의미를 규정하기 위해 공공미술의 형식에 관한 논의가 활발했던 때이다. 이와 같은 사회적 분위기는 일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삶 속에서 그 영향력을 지속해서 발휘해 나가는 형식의 미술을 발전시켰다. 레이시 역시 이와 같은 미술계의 흐름 속에서 여성주의와 행동주의를 통해 미술의 사회적 실천 가능성을 탐색했다. 레이시의 작업에서 두드러지는 예술적 전략을 정의하자면, ‘여성주의’, ‘퍼포먼스’ 그리고 ‘공공성’이다. 레이시의 여성주의는 성차에 기반한 성적 불평등을 비판하는 것에서 위계적인 권력관계 속에 소외된 이들에 주목하는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레이시의 퍼포먼스 전략은 예술가의 신체를 통해 현실 정치적 발언하는 것으로부터 대중의 참여를 통해 미학적 환경을 구축하는 것으로 변화한다. 마지막으로 레이시 미술에서 공공성의 가치란 사회적 관계와 소통 과정에서 정의되는 것으로 대중의 삶 속에서 수행적인 역할을 하는 미술의 사회적 실천을 의미한다. 세 가지 예술 전략에 관한 분석을 토대로 레이시의 작업 세계를 구체적인 작품 사례를 통해 고찰한다. 작업 초기 레이시는 자신의 신체 행위를 통해 ‘애브젝트(abject)’를 시각화한 신체 미술을 선보인다. 이는 여성 신체의 전형적인 재현 방식에서 벗어나 기이하고 낯선 감정을 불러일으켜 성적 불평등에 관한 사회비판적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레이시는 참여자들과 함께 퍼포먼스 하는 방식을 통해 여성에게 자행된 폭력과 관련한 사회 문제를 비판하고 여성 노인의 사회적 소외 문제를 가시화한다. 레이시는 공공장소에서의 퍼포먼스를 통해 그간 공적인 공간에서 소외되어 왔던 여성에 관한 다양한 담론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레이시는 소외된 존재들의 사회적 문제에 주목하며 그들과의 협업과 상호 작용을 통해 미술의 사회적 실천을 수행한다. 미술을 통해 궁극적으로 사회에서 소외되었던 이들의 삶이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기대한다. 레이시의 작품들은 여성주의적 의식을 통해 미술의 사회적 실천을 탐구하는 작가의 일관된 태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레이시의 작업 세계에 내재된 전략인 ‘여성주의’, ‘퍼포먼스’, ‘공공성’을 고찰하고 그것이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로 발전된 양상을 분석한다. 그리고 레이시의 공공미술이 여성주의와 행동주의에 관한 사상을 심화시키는 과정에서 발전, 변화된 결과임을 밝히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레이시의 작업이 여성만의 사회적 문제를 탐색하는 것으로 귀결되지 않고 타자화된 존재들에 관한 고민으로 확장되었음을 논의하고, 여성주의가 공공성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활용된 수행적인 미술 형식에 대해 고찰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