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0 Download: 0

대영제국의 또 다른 성화

Title
대영제국의 또 다른 성화
Other Titles
Another Icon of the British Empire : A Study on Girl Images of Thomas Cooper Gotch
Authors
이원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동호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imperialistic zeitgeist while focusing on girls in late 19th century Britain, through the late-period works of girl images of Thomas Cooper Gotch (1854-1931). Research exclusively dedicated to illuminating Gotch individually has been lacking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circles. He has primarily been evaluated as a successor of the Pre-Raphaelite movement, relying on his utilization of decorative compositions. This paper aims to delve deeply into the production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Gotch's girl images, as well as analyze how the social aspects surrounding girls in late 19th century Britain are being portrayed in Gotch's girl images. Titled as the "Great Imperialist," Gotch, while serving as the president of the Royal British Colonial Society of Artists, tirelessly fostered connections between empires. Seeking to present hopeful exemplars of the empire, he organized numerous exhibitions and possessed a unique record of selecting girls as the subject matter for almost all of his works since 1891. This choice was influenced by a particular cultural phenomenon in Britain at the time, where girls emerged as mythological icons. Previously overlooked, girls as a collective began to be regarded as embodiments of the moral ideals unique to19th-century Britain, and their images were reproduced and circulated through various media to cater to public preferences. Throughout the process of shaping the idealized identity of a girl, the key words associated with girls, such as"purity," were closely intertwined, leading girls to assume a transcendent and sacred status. Just before the outbreak of World War I, the anxious sentiments of the turn of the century intertwined with hopeful aspirations for the future, giving rise to a grand political belief in national rejuvenation. As part of this belief, a trend emerged in which children, including girls who were considered future driving forces of the empire, were recruited under the management and control of the nation. In this process, the social role actively instilled in girls was that of motherhood. Socially regulated to potentially assume the role of a mother, girls were symbolically portrayed as allegorical figures representing the protectors of the British Empire, much like the Virgin Mary.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paper examines Thomas Cooper Gotch's method of constructing girl images and explores his perception of girls. The aim is to analyze the girl images he created. Above all, his sudden change in artistic style during his creative process is exceptional, so this study traces the background that led to the selection of a new expressive style and the girl theme. The theme of girls was the optimal embodiment derived from his aesthetic contemplation, which pursued an aesthetic ideal, and his social reflection, which desired the resurgence of the empire. The author continues the work of reinterpreting the motif of a girl, encompassing mythical significance and moral ideals. The first strategy employed is to create a sacred representation of a girl's figure by applying intricate decorative patterns and the compositional style of religious art to the canvas. Secondly, based on the symbol of absolute purity embodied by a British girl, the author conceives differentiated mythical meanings. This paper closely examines the author's approach by categorizing it into three main aspects. First, the sacred girl image of the girl represented by Gotch, which exudes a sense of grandeur and awe reminiscent of religious art, possesses considerable ornamental value. It has been widely distributed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and souvenirs, thus enabling the expression of imperial benevolence and material abundance. The girl image presented as the guardian of the empire is further implemented as a transcendent being symbolizing youth itself or a virgin awaiting a reincarnated messiah. Lastly, Gotch's production of girl figures comparable to the Virgin Mary represents the ideal appearance of the girl, there by depicting the utopia of the empire. This research paper aims to introduce the paintings of an anonymous artist who,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envisioned the future of a nation at a turning point in history, and has now been forgotten. The focus is on analyzing the British girl image that played a central role in these paintings. The purpose is to deeply examine the meaning of the girl, which has not been thoroughly explored in history, and to uncover the motivations that brought it into the realm of art, thus deciphering the desires of the era embedded in the representation of girls.;본 논문은 토마스 쿠퍼 고치(Thomas Cooper Gotch, 1854-1931)의 후기 작품에 해당하는 소녀 이미지들을 통해 19세기 말 소녀를 둘러싼 영국의 제국주의적 시대상을 이해해보는 연구이다. 그간 국내외 학계에서 고치를 단독으로 조명하는 연구는 전무하며 주로 장식적인 화면을 구사하는 작가의 표현방식만을 근거로 고치는 라파엘전파의 계승자로 평가되었다. 본고는 고치의 소녀 이미지의 제작 배경과 그 의의를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세기말 영국의 소녀를 둘러싼 사회상이 어떻게 고치의 소녀 이미지에 재현되고 있는지 분석할 것이다. ‘위대한 제국주의자’로 불린 고치는 왕립영국식민지예술가 협회의 회장으로 활동하면서 제국 간의 유대를 끊임없이 도모했다. 제국의 희망적인 표본을 제시하고자 여러 전시 활동들을 주최한 그는 1891년부터 거의 모든 작품의 주제를 소녀로 선택한 독특한 이력이 있다. 그 배경으로는 당시 영국에서 소녀가 신화적인 아이콘으로 부상하게 된 특수한 문화현상이 자리하고 있었다. 그동안 주목받지 못한 소녀라는 집단이 19세기 영국 특유의 도덕적 이상에 부합하는 존재로 여겨지면서 소녀 이미지는 대중의 취향에 맞게 재현되어 여러 매체들을 통해 유통되었다. 이상적인 소녀 정체성이 가공되는 과정에서 소녀와 ‘순수함’이라는 키워드는 늘 밀접하게 결부되어 소녀는 어느새 초월적이고 성스러운 도상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더불어 1차 세계대전 직전, 세기말의 불안한 정서는 미래의 희망을 염원하는 시선과 한데 얽혀 국가 부흥이라는 거대한 정치적 신념을 추동하였고 제국의 미래 동력으로 간주된 소녀를 비롯한 어린이들을 국가의 관리 및 통제 하에 영입하는 기조가 형성되었다. 그 과정에서 소녀에게 적극적으로 주입된 사회적 역할은 모성이었다. 잠재적으로 어머니의 역할을 맡도록 사회적으로 규정된 소녀들은 흡사 성모 마리아와 같은 외양으로 구현되어 대영제국의 수호상을 은유하는 알레고리적 도상으로 등장하게 된다. 본고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토마스 쿠퍼 고치의 소녀 이미지 구축방식과 더불어 그의 소녀관을 살펴보고 그가 제작한 소녀 이미지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작업 활동 중에 화풍이 갑작스레 바뀐 그의 이력은 이례적이므로 새로운 표현방식과 소녀 주제를 선택하게 된 배경을 추적하여 그의 소녀관을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소녀라는 주제는 심미적인 이상을 추구하는 미학적 고민과 제국의 부흥을 바라는 그의 사회적 성찰 끝에 도출한 최적의 도상이었다. 작가는 신화적인 의미와 도덕적 이상을 두루 갖춘 소녀 소재를 재해석하는 작업을 이어나가는데 그 첫 번째 전략은 표현방식 측면에서 정교한 패턴 장식들과 종교화의 구성방식을 화면에 적용하여 소녀상을 성스러운 도상으로 만들어나가는 방법이었다. 두 번째로 고치는 영국 소녀가 표상하던 절대적 순수함이라는 상징을 바탕으로 분화된 신화적 의미들을 구상하였다. 본고는 이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여 작가의 재현 방식을 면밀하게 살펴본다. 먼저 종교화에서 볼법한 장엄함과 위압감이 느껴지는 고치의 성스러운 소녀 이미지는 특히 상당히 장식적이라는 점에서 상품성까지 갖추어 신문, 잡지, 기념품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통되었고 이를 매개로 제국의 선함과 물질적 풍요를 드러낼 수 있었다. 제국의 수호상으로 제시된 소녀 이미지는 나아가 젊음 그 자체를 상징하는 초월적인 존재 혹은 재림주를 기다리는 처녀로 구현된다. 마지막으로 성모 마리아 도상과 비견될만한 소녀상까지 제작한 고치는 소녀의 이상적인 외양을 빌어 제국의 유토피아를 그린다. 본 연구는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걸친 역사의 변곡점에서 지금은 잊혀진 한 무명화가가 향후 도래할 국가의 미래를 염원했던 그림들을 소개하고 그 중심에 있었던 영국 소녀 이미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그동안 역사 속에서 깊이 있게 조명되지 못했던 소녀의 의미를 고찰하고 그것이 미술의 영역으로 들어오게 된 동기를 밝혀 소녀 도상에 담긴 시대의 욕망을 읽어내는 작업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