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1 Download: 0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부정사(不定詞) 습득 연구

Title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부정사(不定詞) 습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Japanese learners' acquisition of Indefinite Pronouns in Korean
Authors
유아리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부정사(不定詞)를 형태·통사·의미적의 세 가지 조건으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습득 양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한국어의 부정사에는 ‘아무’ 계열과 의문사 계열의 두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 두 유형의 부정사는 형태·통사·의미적 측면의 많은 부분에 있어서 같은 특징을 공유하나 두 가지 형태로 구분이 된다는 것은 어떤 부분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어 부정사 교육과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그 수가 매우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는 ‘아무’ 계열 부정사와 의문사 계열 부정사의 구별, 또는 ‘아무도’와 ‘아무나’의 구별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학습자의 습득 양상을 관찰한 연구는 오류 분석 연구가 전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무’ 계열 부정사와 의문사 계열 부정사 두 유형 부정사를 대상으로 실험을 통한 습득 연구를 진행하여 학습자의 한국어 부정사 습득 양상을 관찰하였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한국어 부정사 교육 관련 연구를 ‘아무’ 계열 부정사와 의문사 계열 부정사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부정사에 대해 형태·통사·의미적 조건으로 분류하여 살펴보고 정리하였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의 부정사 습득에서 관찰될 것으로 예상되는 중간언어적 현상에 대해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하여 보고하였다. 실험의 피험자는 ‘일본인 중급 학습자’, ‘일본인 고급 학습자’, ‘모어화자’의 세 집단이었으며 학습자 집단은 각 25명씩 총 50명, 모어화자 집단은 28명을 표집하였다. 피험자들의 부정사에 대한 인식을 관찰하기 위해 총 6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는 수용성 판단 과제를 개발하였으며 집단별 실험 결과는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부정사의 인식을 관찰하기 위해 실시한 수용성 판단 과제의 집단 별 평균 점수를 형태·통사·의미적 조건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형태적 조건의 경우 ‘아무’ 계열 부정사의 조사 결합에 대한 문항에서는 ‘모어화자-학습자 상 집단-학습자 하 집단’ 모든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일본인 학습자들이 ‘아무’ 계열 부정사의 형태적 조건에 대해 습득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의문사 계열 부정사의 경우 모어화자와 학습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이 고급 수준에 도달하더라도 의문사 계열 부정사의 형태적 조건에 대한 습득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평균 점수는 모어화자>학습자 상 집단>학습자 하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숙달도가 상승함에 따라 모어화자 수준에 근접해 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사적 조건의 경우 모든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평균 점수는 모어화자>학습자 상 집단>학습자 하 집단의 순으로 나타나 한국어 숙달도가 높아짐에 따라 부정사의 통사적 조건에 대해 습득해 가지만 고급 수준의 한국어 능력을 갖추어도 여전히 모어화자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자 상 집단의 경우 문법성을 불문하고 ‘의문사+도’ 및 ‘아무나’가 쓰인 문장을 모두 거부하는 경향이 있었다. 즉 학습자들은 동일한 맥락에서 두 가지의 형태가 모두 자연스럽게 사용되는 경우 두 가지 중 하나의 형태를 선호하는 양상을 포착할 수 있었다. 의미적 조건의 경우 모든 맥락에서 모어화자와 학습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 차이가 형태·통사적 조건에 비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집단별 평균 점수는 모어화자>학습자 상 집단>학습자 하 집단의 순이었으며 모든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습자 상 집단의 경우 문법성, 또는 부정사의 유형에 상관이 없이 모든 [+특정적] 및 [-자유 선택] 맥락에서 모어화자에 비해 수용성이 낮은 양상을 볼 수 있었으며, 학습자 하 집단의 경우 경향성을 포착할 수 있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부정사의 의미적 조건에 대한 실험 결과를 통해 부정사의 의미적 조건에 대한 습득에는 모어의 전이가 일어나지 않고 학습자들에게 체계적인 인식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체계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정사에 주목하여 형태·통사·의미적 특성에 대해 밝히고, 이에 대한 학습자의 습득 양상을 관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두 유형 부정사의 기능 및 특성에 대한 세부적이고 체계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This study categorized Korean indefinite pronouns into three conditions—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and examined Japanese learners’ Korean acquisition. There are two types of indefinite pronouns in Korean: the 'amu' and interrogative type; they share many of the same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but differ in some ways. Research on teaching Korean indefinite pronouns is very scarce. Most of the studies focu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amu' and interrogative type or 'amudo' and 'amuna', and the studies that analyzed learner acquisition focused on error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experimentally examined learners’ acquisition of two types of Korean indefinite pronouns: the 'amu' type and the interrogative type. Chapter I describes the purpose and need of this study and reviews research on instructions related to two types of indefinite pronouns. In Chapter II, the Korean and Japanese indefinite pronouns are classified and summarized according to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conditions, and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hypotheses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infinitives by Korean learners are summarized. Chapter III reports the research methodology. The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 belonged to one of the three groups, namely Japanese intermediate learners, Japanese advanced lear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with 25 and 28 participants in the learner and native speaker group. To observe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the infinitives, a 60-item acceptability judgment task was developed,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of each group were statistically analyzed. In Chapter IV, the mean scores of each group for the judgment task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conditions; further, these factors were analyz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based on morphological conditions (native speakers, upper learner group, and lower learner group) related to the 'amu' type indefinite pronouns, which confirmed Japanese learners’ tendency to understand these morphological conditions for the 'amu' type. However, for the interrogative typ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ative speakers and learner groups, which revealed that it was difficult for learners to acquire the morphological conditions of the interrogative type even at an advanced level. The mean scores followed a natural progression; scores among native speakers learner upper group learner lower group, and their difference were significant. This indicated that the learners approached the level of native speakers as their proficiency increas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groups for the syntactic condition, and the mean scores followed the same progression. This confirmed that although they may acquire it as their proficiency increases, even with advanced Korean proficiency, learners do not reach the level of native speakers. The upper learner group also rejected all the sentences with the 'interrogative + do' and 'amuna' constructions, regardless of grammatical correctness, indicating that learners prefer one of the two forms when both forms can be used naturally in the same contex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the semantic condition between native speakers and learner groups in all contexts, and the differences were larger than for the morpho-syntactic condition. Again, the mean scores followed the same progression—native speakers upper learner group > lower learner group—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groups. The upper learner group showed lower receptivity than the native speakers in all [+specified] and +[free choice] contexts, regardless of grammaticality or type of indefinite pronoun, while the lower learner group showed no discernible tre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no systematic recognition of the semantic conditions’ acquisition for indefinite pronouns among learners of Korean learners that do not involve the L1 transfer. This study significantly focuses on indefinite pronouns, which are not systematically taugh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reveal their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and observe learners’ acquisition patter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detailed and systematic instruction related to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wo types of indefinit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