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57 Download: 0
The Effect of Collaboration on L2 Decod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of English Connected Speech
- Title
- The Effect of Collaboration on L2 Decod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of English Connected Speech
- Other Titles
- 협동학습이 영어 연결 발화 해독과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 Authors
- Hunnemeder, Andrea Bridget
- Issue Date
- 2023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 Keywords
- 영어교육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Josephine Lee
- Abstract
- 제2외국어 듣기의 주요 과제는 연결 음성을 해독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화에서 충분한 노출과 음운적 특징에 집중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해결하기 위해 협력적 듣기의 교육도구를 탐구하였다. 현재의 교육학적 권고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해독 및 듣기 이해가 영어 학습자의 협동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준실험적 혼합 접근법이 사용되었다.
중급 수준의 능력을 가진 30명의 EFL 한국 대학생들은 4주 동안 줌을 통해 수행된 7개 세션의 교육 실험을 위해 모집되었다. 해독 훈련 자료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 대한 연결, 삭제, 수축 및 동화의 연결된 음성 프로세스에 대한 명시적인 지침이 포함되었다. 집중적으로 연결 음성 청취 활동은 실험집단에 대해 쌍으로, 통제집단에 대해 개별적으로 수행되었다. 해독 및 듣기 이해는 사전 및 사후 테스트 설계를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되었다. 그룹 간에 정확도, 오디오 반복 및 답변 수정에 대한 듣기 활동 작업 변수를 추가로 비교했다. 또한 실험집단의 협력대화를 언어관련 에피소드 측면에서 질적으로 분석하여 청취활동 중 학생들의 주의패턴을 관찰하였다. 또한, 영어 학습과 상호작용에 대한 정서적 인식의 변화를 포착하기 위해 사전 설문지와 사후 설문지를 관리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 연구 질문은 협력이 학습자의 해독과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사전-사후 시험 점수의 비모수적 통계 분석 결과, 불안 점수(anxiety scores)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집단의 평균 점수는 상승하고 통제집단은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듣기 이해도 분석과 관련하여, 두 그룹 모두 통제집단이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두 번째 연구 질문은 집중 청취 활동에서 발생하는 과제 요인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학습자 피드백을 통해 달성된 양식에 대한 주의와 함께 오디오 입력에 대한 반복적인 노출은 실험집단의 정확성, 반복 및 답변 수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의 결과는 실험집단의 평균 청취 정확도 비율이 더 높았지만, 협동학습협동학습이 이러한 변수들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
세 번째 연구 질문의 질적 분석은 협력적 상호 작용 동안 언어 관련 에피소드의 대부분이 입력의 음운학적 측면에 집중하는 것을 포함한다는 것을 밝혔다. LRE에 대한 면밀한 조사는 학생들의 관심이 목표 음운 형태에 집중되었다는 증거를 제공했지만, 학습자들은 대화 토론 동안 파트너에게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이는 해독된 재구성의 정확성이 실질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했다.
학습자의 정서적 변화를 탐구하는 마지막 연구 질문은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관찰 결과를 낳았다. 첫째, 두 집단 모두 영어 학습 흥미가 유의하게 향상된 반면 학습자 동기부여는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이는 수업자료가 중급능력 수준의 대학생들에게 적절하고 즐거운 것임을 시사한다. 둘째, 영어 학습 불안 점수는 통제집단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반면, 실험군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두 그룹의 평균 상호작용 불안 점수에서도 약간의 개선이 관찰되었다. 불안 영향의 부재와 실험집단에서 학습자의 상호작용 의지의 증가는 협력적 상호작용이 장점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의 유용성 인식은 통제집단에서 유의하게 개선된 반면, 실험군은 약간의 이득만을 경험했다, 통제집단의 학생들이 학습자들과의 더 많은 상호작용을 원하지만 기회가 부족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반면, 실험집단의 참가자들은 종종 해결되지 않은 음운론적 LRE 때문에 쌍을 이룬 듣기 활동 동안의 상호작용이 유익하다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협동학습협동학습적 상호작용에 대한 예비조사는 협동학습협동학습 자체가 해독 또는 듣기 이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 결과는 학생들의 청각적 입력에 대한 노출을 증가시키고 특정 음운론적 요소에 주의를 기울이는 데 유용함을 나타낸다.;A major challenge of second language listening is decoding connected speech. This study explored the pedagogical tool of collaborative listening for the purpose of addressing the scarcity of research into providing adequate contextualized exposure and focused attention to phonological features in spoken discourse. Following current pedagogical recommendations, a quasi-experimental mixed methods approach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peer collaboration affects various angles of L2 English learners’ decod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Thirty EFL Korean university students of intermediate-level proficiency were recruited for a seven-session instructional treatment conducted via Zoom over a period of four weeks. The decoding training materials included explicit instruction in connected speech processes of linking, deletion, contraction, and assimilation for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tensive connected speech listen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pair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individually for the control group. Decod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were measured quantitatively using a pre- and post-test design. Listening activity task variables of accuracy, audio repetitions and answer revisions were additionally compared between groups. Collaborative dialogu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also analyzed qualitatively in terms of language-related episodes to observe patterns of student attention during listening activities. Furthermore, pre- and post-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capture any changes in affective perceptions towards learning English and engaging in interaction. The study's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concerned the impact of collaboration on learners’ decod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es of pre- and post- test measures resulted in a lack of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coding scores, though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score trended upwards while the control group regressed. Regarding the analysis of listening comprehension, both groups experienced a regression, with the control group displaying a significant decline.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ttempted to investigate variations in process-level task factors from the intensive listening activities. Repeated exposure to audio input in combination with attention to form achieved via peer-feedback was expected to affect the experimental groups’ accuracy, repetitions, and answer revisions. Neverthel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collabor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se variables, though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listening accuracy percentage was higher.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hird research question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language related episodes during collaborative interactions involved focused attention to phonological aspects of the input. A closer examination of the LREs provided evidence that students’ attention was concentrated on target phonological forms, but learners faced challenges in providing effective feedback to their partners during dialogic discussions, which limited the extent to which accuracy in their decoded reconstructions could be substantially improved.
The final research question exploring learners’ affective changes resulted in several notable observations. First, learner motivation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while English learning interest was significantly improved for both groups, suggesting that the class material was appropriate and enjoyable for intermediate proficiency level university students. Second, English learning anxiety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control group, while no effect was dete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Similarly, there was also a marginal improvement observed in the average interaction anxiety scores for both groups. The absence of anxiety impact and increase in learners' willingness to interact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collaborative interactions have merit. Lastly, learners' perceived usefulness of interac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for the control group, whereas the experimental group only experienced modest gains, indicating that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desired more interaction with their peers but lacked the opportunity whil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might not have found their interactions during the paired listening activities to be beneficial, possibly due to the frequently unresolved phonological LRE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s preliminary investigation regarding collaborative interaction suggests that collaboration itself might not have a noteworthy impact on decoding or listening comprehension. Nevertheless, the findings do indicate its usefulness in increasing students’ exposure to auditory input and directing their attention towards specific phonological elements. However, educators should consider offering supplementary help options to facilitate the successful resolution of decoding issues that arise in peer feedback. Another benefit of utilizing this classroom tool is that it does not adversely affect learner emotions such as anxiety, but rather positively influences their interest and willingness to engage in communication.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