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8 Download: 0

기후위기와 복지 관련 언론기사 빅데이터 분석

Title
기후위기와 복지 관련 언론기사 빅데이터 분석
Authors
서보영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환경복지, 기후위기, 사회복지, 기후위기시대, 기후와복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기후위기가 심화되면서 기후재난, 기후고통 등의 단어까지 등장했다. 앞으로 기후재난이 더욱 빈번하게 일어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기후위기로 인한 피해는 모든 계층이나 지역에 동일하게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기후위기로 인한 불평등 또한 더 심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해마다 기후위기와 사회복지 실천, 대응에 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문제 해결을 위해 대안적인 복지국가 모델과 사회복지 실천이 요구되고 있다. 2000년대부터 환경문제와 사회복지의 결합적 의미를 담고 있는 연구들은 진행되어 왔으나 핵심 용어도 명확히 정의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 결과 사회복지 정책 및 현장에서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로드맵과 정책 대상이 부재한 상태에서 지자체별로 사회복지 실천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후위기와 사회복지 관련 키워드가 언론에서 어떤 키워드와 이슈(군집)로 나타났는지 비교 분석하여 그 의미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전 세계가 국가별 탄소감축목표를 수립하고, 처음으로 기후위기와 인권을 명시한 국제기후협약인 파리협정을 중심으로 연구 기간을 1, 2기로 구분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자료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뉴스 빅데이터 시스템인 빅카인즈를 통해서 수집하였으며, 키워드 추출 후 Textom에서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 후 TF(Term Frequency), 중심성, CONCOR 분석을 진행하여 키워드와 이슈(군집)를 확인하였으으며 이 결과를 Netdraw를 통해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 관련 기사와 키워드가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면서 파리협정 이후 기후위기에 대한 심각성이 고조되었으며, 사회적 관심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파리협정 이전에는 기후변화 대응책으로 경제적(산업적) 측면에서의 대응이 주를 이루었다면, 파리협정 이후에는 경제적(산업적) 측면과 함께 함께 기후정의 담론의 확산과 취약계층, 불평등 문제 등과 같은 사회적 측면이 함께 고려되면서 국가 정책 로드맵으로, 정치적 어젠다로서 주요하게 등장하였다. 특히 코로나19는 우리 사회가 기후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적 지원과 논의를 활발히 하도록 하여, 사회적 변화를 촉구하는 방아쇠로써 작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정부, 학계,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기후위기를 사회복지 관점에서 접근하고 더 나아가 구체적인 정책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climate crisis intensifies, words such as climate disaster and climate suffering have emerged. While climate disasters are predicted to become more frequent in the future, it is also predicted that inequalities caused by the climate crisis will increase, as the damage caused by the climate crisis will not be the same for all classes or regions. The climate crisis, social work practice, and responses are receiving increasing attention, and alternative welfare state models and social work practices are being called for to address the problem. Since the 2000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onvergence of environmental issues and social work, but even key terms have not been clearly defined.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lack of practical and direct support in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and it has been found that social welfare practices are being carried out by local governments in the absence of specific roadmaps and policy targe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climate crisis and social welfar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which keywords and issues (clusters) appeared in the media. In particular, the study period was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centering on the Paris Agreement, an international climate agreement that established national carbon reduction targets and specified climate crisis and human rights for the first time.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Korea Press Foundation's news big data system, Big Cains, and preprocessed in Textom after extracting keywords. After that, TF (Term Frequency), centrality, and CONCOR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keywords and issues (clusters), and the results were visualized through Netdraw.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related articles and keywords, indicating that the severity of the climate crisis has increased since the Paris Agreement and that social interest has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before the Paris Agreement, economic (industrial) responses to climate change were dominant, after the Paris Agreement, economic (industrial) responses have emerged as a national policy roadmap and political agenda, along with the spread of climate justice discourse and the consideration of social aspects such as vulnerable groups and inequality issues. In particular, COVID-19 has acted as a trigger for social change, forcing society to actively engage in social support and discussion for climate vulnerable people.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the government, academia, media, and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will increase their attention to the climate crisis and social welfare, and that roadmaps and policies will be establish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