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75 Download: 0

저경력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소진 경험과 회복에 관한 개념도 연구

Title
저경력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소진 경험과 회복에 관한 개념도 연구
Other Titles
A Concept Map Study on Burnout Experience and Recovery Based on Element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Perception
Authors
한유나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Nowadays, elementary school students’psychological problems in society, home, and school are starting from more younger age and are becoming more serious, so expectations for teachers’role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have recently begun to be assigned, and they are struggling in a situation where there are no guidelines for defining their du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urnout experience, burnout factors, and burnout recovery factors of low-career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teachers through a concept map study. Through this, the researcher sought to deriv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o prevent burnout of low-career elementary school counselors and promote burnout recovery by exploring subjective perceptions related to burnout and recovery of low-career elementary school counselor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how do low-career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teachers experience burnout? Second, what factors influence the burnout of low-career elementary school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Third, what factors influence the recovery of burnout of low-career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teachers? In this study, the burnout experience, the factors that affect burnout and burnout recovery of low-career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teachers were each analyz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study subjects using the conceptual map method. From interviews with 10 low-career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teachers, 25 statements on burnout experiences, 27 statements on factors affecting burnout, and 28 statements on factors affecting burnout recovery were derived. Later, 20 low-career elementary school counselors including interview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classification of statement similarity, and the researcher used SPSS 29.0 to conduct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drew a conceptual diagram by evaluating the similarity of each state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ymptoms of burnout recognized by low-career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teachers turned out to be 5 clusters. Cluster 1 was found to be‘difficulty in counseling’, Cluster 2 was‘physical symptom’, Cluster 3 was‘maximization of negative emotions’, Cluster 4 was‘difficulty in handling work’, and Cluster 5 was‘depression-related psychopathological symptoms'. In addition, the factors that promote burnout recognized by low-career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teachers were derived into 6 clusters. Cluster 1 was found to be ‘lack of awareness of fellow teachers’, Cluster 2 was‘lack of parental awareness’, Cluster 3 was ‘lack of awareness of school administrators’, Cluster 4 was found to be ‘lack of expertise and competence’, Cluster 5 was ‘unestablished school counseling system’, and Cluster 6 was ‘school counseling difficulty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covery of burnout recognized by low-career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teachers were turned out to be 5 clusters. Cluster 1 was found to be ‘positive report of school counseling demanders’, Cluster 2 was found to be a ‘positive use of leisure’, Cluster 3 was found to be an ‘effort for expertise’, Cluster 4 was found to be an ‘in-school systematic support’, and Cluster 5 was‘positive interpersonal experi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irst studied the burnout and recovery of low-career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derived implication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that have recently begun to be assigned.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it is a timely study and supplemented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by dealing with not only the burnout but also the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s a research topic.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conten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오늘날 사회와 가정, 학교에서 학생의 심리적 문제는 저연령화되고 심각화되는 추세이며, 이에 교사에 대한 역할기대가 높아지는 상황이다. 특히, 초등학교에 전문상담교사의 경우 최근 배치가 시작된 실정이며, 직무를 규정하는 가이드라인이 없는 상황에서 이들은 고군분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경력 초등 전문상담교사의 소진 경험과 소진 요인, 소진 회복 요인을 개념도 연구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저경력 초등 전문상담교사의 소진과 소진회복에 관련한 주관적 인식을 탐색하여 저경력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소진을 예방하고 소진 회복을 촉진하기 위한 시사점 및 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저경력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는 소진을 어떻게 경험하는가? 둘째, 저경력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저경력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소진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저경력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소진 경험, 소진 및 소진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저경력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 10명을 인터뷰한 내용을 토대로 소진 경험에 대한 진술문 25개,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진술문 27개, 소진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28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추후 인터뷰 참여자를 포함하여 20명의 저경력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가 진술문 유사성 분류에 참여하였으며 SPSS 29.0을 활용하여 다차원 척도분석 및 위계적 군집분석을 진행하고 진술문별 유사도를 평정하여 개념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저경력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소진의 증상은 5개 군집으로 도출되었다. 군집 1은 ‘상담의 어려움’, 군집 2는‘신체적 증상’, 군집 3인‘부정정서와 부적응적 인지반응’, 군집 4는‘업무처리의 어려움’, 군집 5는‘우울 관련 증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경력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소진을 촉진하는 요인은 6개 군집으로 도출되었다. 군집 1은 ‘동료교사의 인식 부족’, 군집 2는 ‘학부모의 인식 부족’, 군집 3은 ‘관리자의 인식 부족’, 군집 4는 전문성 및 역량 부족, 군집 5는 ‘학교상담 체제의 미확립’, 군집 6은 ‘교사 개인 적응의 어려움’으로 드러났다. 한편, 저경력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소진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5개 군집으로 도출되었다. 군집 1은 ‘학교상담 수요자의 긍정적 보고’, 군집 2는 ‘여가의 긍정적 활용’, 군집 3은 ‘전문성을 위한 노력’, 군집 4는 ‘교내 체제적 지원’,군집 5는‘긍정적 대인관계 경험’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경력 전문상담교사의 소진 및 소진 회복에 대해 최초로 연구하여 최근 배치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초등학교 상담활동에 적합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전문상담교사의 소진 회복을 연구 주제로 다루어 시의성이 있는 연구이면서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