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45 Download: 0

2015 개정 중학교 체육교과서 삽화 분석

Title
2015 개정 중학교 체육교과서 삽화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Illustrations in th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uthors
박자영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소연
Abstract
본 연구는 2015 개정 중학교 체육교과서 삽화 분석을 성평등과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향후 체육교과서 개정 시 양성평등교육과 통합교육 실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체육교과서에 나타난 남자, 여자의 성별 비율을 조사하고, 건강, 도전, 경쟁, 표현, 안전 영역별 성별 비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장애인 남자, 여자의 비율을 조사하고, 교과서에 수록된 삽화의 장애 유형을 조사하였을 뿐만 아니라 통합교육 관점에서 왜곡된 표현을 분석하였다. 총 12개의 출판사에서 출판한 교과서 24권을 분석하였으며, 교과서 사진 구성의 측면에서 전체 성별 비율과 스포츠 동작·기능 및 전략 설명의 성별 비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장애인 사진의 성별 비율, 장애인 삽화의 장애 유형, 장애인 삽화의 출현 방법을 분석하였으며, 장애인에 대한 왜곡된 표현을 분석함으로써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차별적인 요소를 알아보았다. 교과서에 수록된 삽화에서 남자와 여자의 비율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 t-test 분석을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교과서 사진의 성별 비율을 비교했을 때, 남자와 여자의 성별 비율은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다. 선행연구와 비교했을 때, 남자와 여자의 비율이 이전보다 많이 비슷해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건강 영역에서 남자와 여자의 성별 비율은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으나, 도전, 경쟁, 표현, 안전 영역에서는 남자와 여자의 성별 비율 차이가 나타났다. 도전, 경쟁, 안전 영역에서는 남자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표현 영역에서는 여자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전체 교과서에서 장애인 사진의 출현 빈도는 현저히 낮았으며, 남자와 여자의 출현 빈도 차이는 없다고 나타났다. 넷째,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인 삽화의 장애유형은 주로 지체장애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비상교육 교과서에서 청각장애, 시각장애, 발달장애 유형이 출현했고, 씨마스 교과서에서 시각장애 유형이 나타났다. 장애인 출현 방법은 통합과 비통합의 방법으로 모두 나타났다. 다섯째, 장애인에 대한 왜곡된 언어 표현으로 주로 ‘장애인을 초인 또는 감동의 원천으로 과장하는 표현, 장애 극복과 재활을 강조하는 표현’등이 나타났으며, ‘비장애인에 대한 잘못된 표현, 장애에 대한 잘못된 정의’도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새로운 교과서를 출판할 때 평등의 관점에서 편견이 배제되도록 주의를 기울일 수 있을 것이다. 그로써 학생들은 교과서를 사용할 때 의식적·무의식적으로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llustrations of th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from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pecifically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and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The study will also provide basic data to help realize gender equality and integrated education when revising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in the future. To do s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verall gender ratio of men and women as well as the gender ratio in the areas of health, challenge, competition, expression, and safety in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portion of men and women with disabilities, the types of disabilities represented in textbooks illustrations, and also the biased representation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ed education. 24 textbooks published by a total of 12 publishers were analyzed and with regard to photo components, the overall gender ratio as well as the gender ratio of sports motion, sports function, and strategy descriptions were analyzed.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textbooks’ pictur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gender ratio, types of disabilities represented in illustrations, methods of appearance, and biased representations, discriminatory elements were fou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o find out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men and women in the illustrations included in the textbook.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method are as follows: First, when comparing the gender ratio of all textbook photo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atio of men and women.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atio of men and women is very similar to what it was before.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gender ratio of men and women in the health area,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gender ratio of men and women in the areas of challenge, competition, expression, and safety.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rtion of men was higher in the areas of challenge, competition, and safety, and that the proportion of women was higher in the area of expression. Third, the frequenc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ppearing in photographs was significantly lower in all textbook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men and women. Fourth, the main type of disability represented in the textbook illustrations was physical disability, and the methods of appearance of the disabled were both integrated and non-integrated. Fifth, biased language referring to the disabled appeared, mainly showing exaggerated portrayal as a superman as well as expressions with excessive emotion, expressions emphasizing overcoming and rehabilitation of disabilities, and inaccurate expressions for non-disabled as well as disabled people. Based on these results, from the perspective of equality attention can be paid to exclude prejudice when publishing new textbooks in the future. As a result, students will be able to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form the proper values when using textboo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