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35 Download: 0

워킹맘의 유아기 자녀의 애착 및 정서발달을 위한 모-자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Title
워킹맘의 유아기 자녀의 애착 및 정서발달을 위한 모-자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Mother-child Art Therapy for Attachment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 with Working Mother
Authors
홍영해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본 연구는 워킹맘의 유아기 자녀의 애착 및 정서발달을 위한 모-자 미술치료에서 모-자는 어떠한 경험을 했고, 그 경험에 따른 모-자 미술치료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애착 형성과 정서적 측면에 어려움을 느끼는 6세 남아와 일과 양육을 병행하는 33세 어머니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2022년 6월 11일부터 2022년 8월 6일까지 주 1~2회, 70분간 총 10회기의 모-자 미술치료 사례를 진행하였다. 워킹맘의 유아기 자녀의 애착 및 정서발달을 위한 모-자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모자간에 긍정적이고 원활한 상호작용을 경험함으로써 유아가 어머니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재경험하고, 나아가 안정적인 애착 형성과 건강한 정서발달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미술작품, 매회기 녹음본 및 축어록, 관찰 및 임상 일지, 사전, 사후면담과 각 회기에 대한 피드백 자료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사용하여 본 연구에서 수집된 종합적인 자료를 개방 코딩, 범주화, 그리고 범주 확인의 과정을 거쳐서 모-자의 경험과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자의 경험은 총 5개의 상위주제와 16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상위주제는 <함께 미술 활동하는 것이 불편함>, <각자 미술 활동을 주도하고자 함>, <미술 활동을 통해 우리를 힘들게 한 것들을 하나씩 극복해나감>,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끼며 우리만의 관계를 새롭게 만들어감>, <미술치료에서의 소중한 관계가 유지되길 기대함>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워킹맘의 유아기 자녀의 애착 및 정서발달을 위한 모-자 미술치료에서 모-자의 경험의 의미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와 어머니는 함께하는 미술 활동을 통해 서로의 생각이나 감정을 나누었고, 서로의 이야기에 경청하고, 이해하고, 공감하며, 조율하는 질적인 상호작용 방식을 경험하였다. 둘째, 어머니가 모-자 미술치료에 일관되고 반응적인 태도로 참여함으로써 유아는 점차 어머니에 대한 안정감과 신뢰감을 획득하였고, 기존의 내적 작동 모형을 변화시켜 안정적인 애착을 재형성하였다. 셋째, 유아는 다양한 미술 매체를 통해 말로 표현하기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감정을 표출하면서 안정감과 평온함을 느꼈고, 자신만의 방법으로 부정적인 감정을 조절하고 표현하였다. 넷째, 유아와 어머니는 모-자 미술치료를 통해 함께한 시간과 서로에 대한 소중함을 인식하였고, 미술치료에서의 안정되고 즐거운 관계가 앞으로도 유지될 것을 기대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워킹맘의 유아기 자녀의 애착 및 정서발달을 위한 모-자 미술치료를 통해 유아와 어머니는 질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였다. 그 과정에서 유아는 자신만의 건강한 방법으로 감정을 조절하고 표현하며 정서적 안정감을 느꼈고, 어머니는 유아에게 온전히 집중하고 이해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따라서 모-자는 안정되고 즐거운 관계를 재형성하였으며, 나아가 이들은 앞으로도 지금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삶의 적응력이 향상되고, 유아가 건강하게 성장할 것을 기대할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child and mother and the meaning of such experience in the mother-child art therapy program for attachment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 with working mother. In this study, a six-year-old boy with difficulties in attachment formation and emotional aspects and a 33-year-old mother with a job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mother-child art therapy was conducted from June 11, 2022, to August 6, 2022 and was conducted over ten sessions, held once or twice a week, each lasting 70 minutes. The mother-child art therapy program for attachment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 with working mother is designed to help the child positively redefine his relationship with his mother through helpful and seamless interactions. This further develops stable attachment and helps attain healthy emotional developme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rtworks, recordings and verbatim transcripts of each session, observation and clinical logs, pre- and post-interviews, and feedback data for each session. For data analysis, an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as employed. In order to analyze the experience and its meaning between the mother and the child, the comprehensiv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nt through open coding, classification, and category verification processes. As a result, the mother-child experiences were derived into five upper themes and 16 sub-themes. The major themes are , , , , and . Based on th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other-child experiences in mother-child art therapy for attachment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 with working mother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rough joint artistic endeavors, the child and his mother were able to communicate their thoughts and emotions while also listening to, understanding, sympathizing with, and harmonizing each other's stories through qualitative interactions. Second, as a result of the mother’s consistent and responsive participation in the mother-child art therapy, the child's sense of security and trust toward the mother was strengthened, and his stable attachment was reestablished by changing the existing Internal Working Model. Third, the child felt a sense of stability and tranquility after expressing emotions that were impossible or difficult to express in language through various art media. Moreover, he acquired the ability to control and express negative emotions independently. Fourth, the child and his mother recognized the time spent together and the importance of each other through mother-child art therapy and expected that their current stable and pleasant relationship would continue. In summary, through mother-child art therapy for attachment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 with working mother, the child and his mother experienced qualitative interactions. In this course, the child acquired the ability to control and express his emotions on his own in a healthy manner and felt a sense of stability, while the mother had the opportunity to fully focus on and understand her child in depth. Consequently, the child and his mother rebuilt a stable and joyful relationship. Furthermore, they expected that their adaptability to life would improve and that the child would grow healthy and complete by maintaining their current relationshi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