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4 Download: 0

한국 장애인의 문헌을 통한 생태소양 분석

Title
한국 장애인의 문헌을 통한 생태소양 분석
Other Titles
Analyzing the Eco Literacy of Disabled Korean People through their own Literature : Focusing on the Intersectionality between Disability and Environmental Issues
Authors
전승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종우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장애인들의 생태소양 특성을 살펴보고 장애와 생태문제의 교차성을 생태교육, 환경운동 등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질적분석을 실시한다. 전염병이 창궐하고 폭염과 같은 이상기후 현상이 만연하며 해수면 상승, 방사능 오염, 생물다양성의 감소 등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기후위기의 시대는 미래세대가 살아갈 현재가 되고 있다. 때문에 복합적인 위기 속에서 살아나갈 생태시민을 키워내기 위한 생태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생태교육의 주목적은 생태원리에 대한 이해와 생태 감수성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실현하는 능력인 생태소양을 키우는 것이며, 기후위기가 지구에서 사는 거의 모든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모두를 위한, 모두에 의한 교육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장애인들은 주로 소외되거나 수동적인 수혜자로 한정되며 선생, 지식생산자 등의 역할로 생태교육의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기회가 적다. 때문에 장애인들의 관점은 생태교육, 환경운동 등의 생태활동에 거의 반영되지 못한다.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소외된 목소리를 조명하기 위해 생태소양을 분석하고 장애와 생태문제의 유의미한 교차성을 찾고자 하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인지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들이 자신들의 삶과 경험을 기반으로 쓴 수필, 사진집, 시집, 에세이, 자서전 225권을 연구대상으로 정하였으며, 20권의 문헌에서 생태소양이 드러난 텍스트 21건을 찾아냈다. 이때 장애 경험의 맥락을 바탕으로 한 생태소양을 살펴보기 위해 장애정체성이 명시된 글 만을 대상으로 했다. 거기서 총 6개의 주제를 얻었으며, 5개의 주제는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생태소양의 세 가지 영역-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으로 분류했다. 기존의 틀에 포함되지 않는 하나의 주제는 보완적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첫 번째로 인지적 영역에서는 자신의 장애 경험과 다양한 생명의 공존 그리고 상호의존성 개념을 연결한 생태적 지식, 두 번째로 정의적 영역에서는 생태적 상상력과 반려동물, 안내동물 등 비인간과의 긴밀한 관계를 기반으로 한 생태 감수성이 두드러졌다. 세 번째로 행동적 영역에서는 장애운동과 환경운동의 효과적인 교차 사례를 보여주며 장애와 생태문제 해결의 질적 융합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 외에도 장애인과 같은 사회적 소수자들의 생태활동 접근에 대한 민감성의 중요성이 드러나 기존 생태소양 틀의 보완점이 발견됐다.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들의 생태소양에 주목하고 그것을 생태교육의 내용에 반영하는 것의 이점들이 밝혀진다. 다층적인 생태문제를 사고하고 대응하는데 환경과 사회의 층위를 교차하여 생각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장애인들의 교차적인 생태소양은 이 사고능력의 모범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소외계층으로서 장애인의 생태소양이 제시하는 가능성과 기존 생태소양 틀의 보완에 주목했으며, 생태교육 등에 대한 구체적인 응용에는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Environmental Education is becoming more imperative in the age of climate change, as it mainly aims to foster eco citizens whom internalize eco literacy and strive to create a more sustainable world. As climate change induced disasters and ramifications affect almost all those living on Earth, the content and practi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must be inclusive and comprehensive. However, studies show that many minorities – especially disabled people have no place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eir parts mainly confined to passive learners instead of expanding to other active roles such as knowledge producers and educators. As a result, environmental education lacks the view points and lived experiences of disabled and marginalized people, which is a major problem considering that disabled people are unequally harmed by climate change. Thu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bring attention to the voices of disabled people by analyzing their eco literacy based on their disability identity. It was expected that their situated knowledge will broaden and improve environmental discourse by pointing out previously overlooked aspects, and discover the possibility of joint problem solving through the intersection of society and nature. 225 pieces of literature written by disabled Korean people- or close ones in cases where the disabled person needs assistance in communication - were scanned for eco literacy based on their disabled experience. 21 texts from 20 literature were found to be meaningful for the study. 6 themes were drawn out from the texts which in turn were categorized into 3 aspects based on eco literacy framework- cognitive, emotional, active- and one complementary aspect based on inclusivity and accessibility. The texts were each analyzed in dep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eaningful disabled thoughts embodying eco literacy were discovered. In the cognitive aspect, knowledge and acceptation of interdependency and respect for diverse lives were highlighted while ecological imagination and intimate relationships with non-humans were noticeable in the emotional aspect. Though very few- counting one case, in the active aspect was a look into a possible future where climate action could be closely intersected with disabled rights movement as they are inherently mutually relevant. In addition, it was pointed out that environmental knowledge and experiences must be accessible for minorities such as disabled people for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shaping environmental discourse. This was an important theme since eco citizens are required to be sensitive to societal issues, thus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eco literacy framework. The realization that disabled people have a lot to contribute to environmental discourse and have qualities to lead environmental movements such as education sheds light on how closely the issues of climate change and disability intersect. Through their empowerment it is expected for disabled people to further participate in the practi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while also encouraging other marginalized people to do the same- for every single hand is needed in the confrontation of climate change and the endeavor for a sustainable future.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for the application of this study’s result on actual education, as this study focuses on the possibility and implications of disabled perspective in environmental discourse and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