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7 Download: 0

IoT기반 스마트홈 확산을 위한 자가구축 사용자 분석 프레임워크 연구

Title
IoT기반 스마트홈 확산을 위한 자가구축 사용자 분석 프레임워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ser Analysis Framework of Smart Home Self-Building for the Spread of IoT-Based Smart Home
Authors
정예린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산업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선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IoT 기반 스마트홈의 확산을 위해 자가 구축 사용자, 전문적 사용자(expert user)들을 분석해 발견하게 되는 인사이트(insight)를 통해 스마트홈의 확산을 위한 디자인전략을 제안하는데 있다. IoT 기반 스마트홈을 능숙하게 사용하는 전문적 사용자(expert user)를 선정해 인터뷰를 진행하고 인터뷰 내용의 분석으로 통해 핵심 키워드를 찾아 6개의 카테고리를 도출하였다. 6개 카테고리의 내용을 그룹화하여 IoT 제품을 이용하여 스마트홈을 구축한 전문적 유저의 사용 및 가치에 관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프레임워크를 통해 최종 디자인전략 3개를 도출했다. 첫째로 완벽한 자동화가 가능한 스마트홈을 추구하기보다는 사용자가 직접 구축해서 사용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현재 스마트홈 구축은 사용자의 자가 구축 위주로 진행되고 있으므로 스마트홈으로 뭐든지 할 수 있다는 환상을 심어주는 것은 사용자들에게 좌절을 초래한다. 또한 제품의 상세한 사용 설명서와 에러가 났을 경우 가이드 라인도 제공을 해주어야 한다. 둘째, 스마트홈을 자가구축한 전문적 사용자의 경우 주거공간의 인테리어 디자인에 관심이 많고 취향을 담고자 하기에 출시된 제품들의 제한적 디자인에 만족하지 못하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산업디자이너에게 개인의 취향과 상황에 적합한 디자인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제조 방식을 넘어서 3D 프린팅 등 신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디자인 제조 혁신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IoT 제품군이 다양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가전제품을 IoT화 시키거나 자체적으로IoT를 제작해서 사용한다. 메이커적 속성을 지닌 전문적 사용자들과 디자이너가 협업 (co-creation) 하는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IoT 통해 아이들의 생활습관을 교육한다. IoT 사용자들은 스마트홈 사용에 익숙해지면서 스마트홈을 당연하게 생각한다. 아이들은 IoT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여 이를 통해 필요한 생활습관들을 교육 할 수 있다. 잠을 자라고 지시를 내리는 것보다 조명이 자동으로 꺼지고 TV가 꺼지면서 잠을 자기 좋은 환경으로 만들어 주는 것이 수면을 유도하는데 효과적이다. 더 나아가 교육기관에서 아이들을 교육하는데 활용 하는 방식으로 확장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esign strategy for the spread of smart homes through insights that are discovered by analyzing self-built smart home users and expert users for the spread of IoT-based smart homes. Expert users who skillfully use IoT-based smart homes were selected as interviewees, and six categories were derived by finding key keywords through analysis of the interview contents. This study propose a framework for the use and value of professional users who have built smart homes using IoT products by grouping the contents of six categories. Through the framework, three final design strategies were derived. First, rather than pursuing a smart home that can be fully automated, the focus should be on building and using it by users themselves. Currently, smart home construction is mainly focused on users' self-building, so instilling the illusion that they can do anything with smart homes leads to frustration for users. In addition, detailed instructions for use of the product and guidelines should be provided in the event of an error. Second, professional users who built their own smart homes were interested in interior design of their residential spaces and were not satisfied with the limited design of the products already released because they wanted to contain their tastes. It can be seen that this requires design manufacturing innovation that actively utilizes new technologies such as 3D printing beyond the existing manufacturing methods to provide industrial designers with designs suitable for individual tastes and situations. In addition, since the IoT product line is not diverse, users make home appliances IoT or produce and use IoT on their own. Through a design process in which professional users and designers with maker-like attributes collaborate (co-creation), this study propose a multi-variety small-volume production method in respons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inally, children's lifestyle can be educated through IoT. As IoT users get used to using smart homes, they take smart homes for granted. Children can naturally accept IoT and educate necessary lifestyle habits through it. Rather than giving instructions to sleep, it is effective to induce sleep by automatically turning off the lights and turning off the TV. Furthermore, it can be expanded in a way that educational institutions use to educate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