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5 Download: 0
‘어머니’를 위한 초등돌봄교실과 돌봄전담사의 ‘일’ 경험에 대한 연구
- Title
- ‘어머니’를 위한 초등돌봄교실과 돌봄전담사의 ‘일’ 경험에 대한 연구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Elementary Care Class for ‘Mothers’ and ‘Work’ Experiences of Child Care Professionals
- Authors
- 이수빈
- Issue Date
- 2023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여성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이은아
- Abstract
-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and mechanism by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 women, and work is framed in the policy discourse of the ‘Elementary Care Class’(초등돌봄교실) program, which is part of the policy for socialization of care to address the care deficit. In doing so, the study aimed to reveal the nature and logic of the ‘socialization of care’ that the Korean government assumed. By analyzing how the script of the socialization of care of the government is intertwined with the experiences of ‘child care professionals’(돌봄전담사) in the field of the Elementary Care Class program, this study sought to critically intervene in situations of micro-conflicts associated with the dilemma of ‘mothering'. In particular, by revealing the dynamics created by the different experiences of child care professionals, who were considered to be a monolithic group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sought to reveal the context in which existing care-related norms were violated. The analysis of the study showed that simple institutional improvements, such as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for child care professionals, not only failed to break the ongoing exploitative relationships that consider women as caregivers but also ultimately failed to ease the care deficit which is the policy objective. Thus, the study argued that the premise of ‘socialization of care', the key concept of the Elementary Care Class program, needs to be revisited from a critical perspective of feminism that calls ‘gendered care’ into question.
In this regard, the data of this study included key policy materials related to the Elementary Care Class program and child care professionals' job experiences. The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based discours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The Elementary Care Class program refers to the care services in elementary schools that take place outside of regular classes for students who need after-school care. The program began in 2004 when the Korean government provided care services for the lower elementary grades to ease the care deficit caused by women's entry into paid labor and prevent career interruptions for women. Recently, the program was carried out as ‘emergency car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has undergone a transition of being full-time services after years of strike and struggle by child care professionals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Furthermore, the Elementary Care Class program is distinctively set as a program for women in many respects, distinguishing itself from other socialization of care program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Care Class program framed itself as a policy for "married women” in two aspects: relieving the burden of care for working mothers and addressing the problem of re-employment for women with career breaks. This policy discourse produces a "superficial” policy effect of addressing gendered care by socializing unequally shared care responsibilities within the family.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has expanded and reproduced the concept of "gendered care” by taking the approach of constructing women as "mothers“ in framing policy discourse, once again interweaving care and women inextricably. Eventually, In this policy framework, the problem of unequal care responsibilities ultimately came down to "non problematic” and "women's sacred responsibilities.”
Second, although the Elementary Care Class program's mother-centered policy discourse framework required child care professionals to act as "pseudo-mothers(유사類似 어머니)” in elementary schools, their actual work experiences in the field contradicted these role norms. These contradictions operated as a key mechanism that put child care professionals in a dilemma, placing child care professionals as essential personnel in elementary schools while isolating them like ‘remote islands'. These contradictory field experiences suggested that child care professionals' work should be systematically analyzed and revalued. Moreover, child care professionals' experiences of violating the "mother's role norm” expected in the policy discourse implied that caregiver jobs were not limited to jobs "for women.” Ultimately, the problem of ‘gendered care', which has been neglected in the process of setting immediate policy alternatives, was at the heart of all policy problems that the Elementary Care Class program had.
Third, the Elementary Care Class program constructed by these unequal experiences of care used ‘mothering' as a resource to cover the care deficit as a stopgap measure; this, in turn, made the degendering of care impossible and inevitably resulted in "delaying” the socialization of care. As the characteristic of the job as the child care professional is composed of a job for women with career break who have to take full responsibility for the care of their families, the job operates as a kind of ‘mommy track' which ‘motherhood penalty’ is imposed. Nevertheless, child care professionals used their own mothering experiences to find the "meaning” of keep operating care classes despite poor working conditions. They also developed a sense of responsibility or mission as caregivers, a mechanism that eventually made them to continue caring as ‘prisoners of love'. That is, the Elementary Care Class program framed the meaning of the socialization of care policy without questioning the premise of gendered care, which was driven by the 'mothering experiences' as the main force. However, because the resources derived from mothering experiences are limited, the Elementary Care Class program is characterized by "unsustainability” and therefor the goal of the policy, "socialization of care”, can not be achieved.
In conclusion, for the Elementary School Care program to become sustainable, the concept of socialization of care needs to be revisited in away that does not reproduce the concept of ‘gendered care' – that is, a way to enable the degendering of care. In particular, since ‘mother' as a naturalized caregiver and its normative role, ‘mothering', operate as a key mechanism to intertwine care and women back into vulnerable relationships in this program, the discussion needs to be reframed from deconstructing the motherhood ideologies and ‘myth of maternal care'. Also,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revealed that the transition of being full-time services, which was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the problem of vulnerable workers, rather acted as a mechanism to oppress and exclude them. Furthermore, the study argued that the issue of gendered care should be fundamentally addressed in order for the Elementary Care Class program to be an effective care program, and presented a new perspective of discussion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by revealing the conflict situations between child care professionals who took the responsibilities in the ‘caregiving crisis'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and those who were naturally excluded from the responsibilities,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shadow labor’ devalued and invisible in the name of sacred care.;본 연구는 돌봄공백 해소를 위한 돌봄의 사회화 정책으로 수립된 초등돌봄교실의 정책담론에서 돌봄과 여성 그리고 노동의 관계가 구축되는 과정과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정부가 상상하는 ‘돌봄의 사회화’의 속성과 그 논리구조를 드러내고자 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정부 돌봄의 사회화에 대한 각본과 초등돌봄교실의 돌봄현장에서의 돌봄전담사의 경험이 조우하는 방식을 분석해봄으로써 ‘어머니 노릇(mothering)’이라는 행위를 둘러싼 딜레마로 점철된 미시적인 갈등의 상황들에 비판적으로 개입하고자 했다. 특히 기존의 연구들에서 어떠한 하나의 균일한 집단으로 묶이며 누락된 돌봄전담사들의 불균질한 경험들이 만들어내는 역동을 드러내어 기존의 돌봄과 관련된 규범에 위반되는 맥락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돌봄전담사의 노동조건 개선과 같이 제도적인 개선만으로는 여성과 돌봄 간의 고질적인 착취적 관계를 끊어내지는 못을 보이고자 했다. 뿐만 아니라 본 정책의 궁극적 목적인 돌봄공백의 해소 역시 실현되지 못하리라는 것을 보이고자 했다. 이러한 의미화 과정을 통해 초등돌봄교실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젠더화된 돌봄’을 문제시하는 여성주의의 비판적 관점을 통해 ‘돌봄의 사회화’라는 개념의 전제부터 다시 논의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돌봄교실과 관련된 주요 정책자료들과 돌봄전담사들의 돌봄현장에서의 경험들을 연구의 구체적인 대상으로 삼아 문헌조사에 기반한 담론분석과 심층면접을 통한 경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초등돌봄교실이란 초등학교 내에서 방과 후 돌봄이 필요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규수업 이외에 이루어지는 돌봄 서비스를 말한다. 본 정책은 2004년 여성의 사회진출에 따른 돌봄공백 해소와 여성의 경력단절 방지를 목적으로 정부가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코로나19의 유행으로 실시된 ‘긴급돌봄’을 도맡아 수행하기도 하였으며,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돌봄전담사들의 수년간의 투쟁 끝에 ‘전일제 전환’이라는 변환의 국면을 맞이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초등돌봄교실은 한편 다방면에서 ‘여성을 위한 정책’으로 구성되는 특수성을 지니며 이러한 측면에서 다른 돌봄의 사회화 정책들과는 구별되기도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돌봄교실은 취업모의 돌봄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정책이자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 두 가지 차원에서 ‘기혼여성’을 위한 정책으로 담론을 구성한다. 이러한 정책담론의 구성 방식은 가족 내에서 불평등하게 분담된 돌봄책임을 사회화함으로써 젠더화된 돌봄을 해소하는 ‘표면적인’ 정책효과를 구성한다. 하지만 동시에 정부는 정책담론 구성에 있어 여성을 ‘어머니’로 소환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다시금 돌봄과 여성을 불가분의 관계로 엮어내며 오히려 ‘젠더화된 돌봄’을 확대 재생산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책적 지형에서 불평등한 돌봄책임의 문제는 결국 ‘문제가 아닌 것’이자 ‘숭고한 여성의 책임’으로 귀결되고 있다.
둘째, 초등돌봄교실의 이와 같은 ‘모성’ 중심의 정책담론 구성은 돌봄전담사들에게 초등학교 내의 ‘유사(類似)어머니’로서 역할을 수행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나 이들의 돌봄현장에서의 실제 노동경험은 이러한 역할규범과 모순된다. 그리고 이러한 괴리는 돌봄전담사를 딜레마적인 상황에 빠트리는 핵심적인 기제로 작동하며 이들을 초등학교 내에서 필수적인 인력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외딴 섬’과 같은 존재로 고립시키고 있다. 이러한 모순적인 현장의 경험은 돌봄전담사의 업무가 체계적으로 분석되고 그 가치가 재평가되어야 하는 필요성에 타당한 단서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정책담론에서 기대되는 ‘어머니의 역할규범’에 위반되는 돌봄전담사들의 경험은 돌봄전담사 일자리가 ‘여성을 위한 일자리’로 한정되지 않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리고 결국 당면한 정책대안을 마련하는데 급급하여 누락되어온 ‘젠더화된 돌봄’의 문제는 결국 초등돌봄교실이 안고 있는 모든 정책적 문제의 핵심에 위치하고 있음을 드러내기도 한다.
셋째, 이러한 불평등한 돌봄의 경험으로 구성되는 초등돌봄교실은 ‘어머니 노릇’을 자원 삼아 돌봄의 공백을 임시방편식으로 땜질하고 있으며 이는 결국 돌봄의 탈젠더화를 불가능하게 하며 돌봄의 사회화를 ‘지연’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밖에 없는 것으로 보인다. 돌봄전담사 일자리는 가족의 돌봄을 전담하는 경력단절 여성을 위한 일자리로 그 성격이 구성되면서 일종의 ‘마미트랙’으로 작동하며 ‘모성패널티’가 부과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돌봄전담사들은 자신의 모성경험을 자원삼아 열악한 노동환경 속에서도 계속해서 돌봄교실을 운영해야만 하는 ‘의미’를 발견한다. 또한 돌봄제공자로서 책임감 또는 사명감을 갖게 되며 결국 ‘사랑의 포로’로 돌봄을 지속할 수밖에 없는 메커니즘이 작동하고 있다. 즉 초등돌봄교실 정책은 젠더화된 돌봄이라는 전제에 대한 문제제기가 누락된 채 돌봄의 사회화 정책의 의미를 구성하고 있으며 ‘모성경험’을 주요 원동력으로 구동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모성경험으로부터 비롯되는 자원은 한정적일 수밖에 없으며 결국 초등돌봄교실은 ‘지속불가능성’의 특성을 지녀 정책의 목적인 ‘돌봄의 사회화’ 역시 달성될 수 없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초등돌봄교실이 지속가능한 정책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젠더화된 돌봄’을 재생산하지 않는 방식의, 즉 돌봄의 탈젠더화를 가능케 하는 방식으로서의 돌봄의 사회화의 개념부터 다시 논의될 필요가 있다. 특히 자연화된 돌봄 책임자로서 ‘어머니’와 그에 따르는 규범적 역할인 ‘어머니 노릇’이 본 정책에서 돌봄과 여성을 다시금 취약한 관계로 엮어내는 핵심기제로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모성이데올로기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모성돌봄의 신화’를 해체하는 것에서부터 논의가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초등돌봄전담사의 취약한 노동자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된 ‘전일제 전환’이 예상과는 다르게 도리어 돌봄전담사들을 억압하고 배제시키는 기제로 작동하고 있으며 그 문제의 기저에는 또한 ‘젠더화된 돌봄’이 자리하고 있음을 드러내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이는 초등돌봄교실이 괜찮은 돌봄정책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결국 젠더화된 돌봄의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어야만 하는 근거가 될 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들의 예측과는 어긋나는 현장으로 논의의 장에 새로운 문제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의 유행을 기점으로 ‘돌봄의 위기’로 격상된 상황에서도 돌봄의 책임을 떠안는 돌봄전담사와 그에 반해 그 책임으로부터 자연히 배제되는 이들 간의 갈등상황을 보여줌으로써 숭고한 돌봄이라는 가치 이면에 비가시화되고 가치절하되는 이들의 그림자 노동의 특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또한 의의를 가진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