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9 Download: 0

Computational Analysis on the Dynamic of the Global Environmental Governance within Twitter’s Public Sphere

Title
Computational Analysis on the Dynamic of the Global Environmental Governance within Twitter’s Public Sphere
Authors
김주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유미
Abstract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have created a new public sphere where the people can come together to make collective decisions and work for political change (Habermas, 1991). The new media environment is expected to provide possible bottom-up agenda-setting and a more democratic process of political decision-making. In particular, a social media environment like Twitter offers new opportunities for the ultimate access and distribution of information, transforming the dynamic of political discourse (Kruse et al., 2018). Twitter is a microblogging platform and an open social networking space that provides unlimited access to information and allows any user to distribute information. Twitter is independent of other public spheres in the topics that receive interest and includes diverse actors participating in the discussion process (Ausserhofer and Maireder, 2013; Zhao et al., 2011). This transformation has made a difference in the mechanism of political discourse in framing and gatekeeping. The framing was initially driven by the elites that provide a thematic category for the issue (Bennett and Pfetsch, 2018; Entman, 2004). However, the new media environment provides the audience greater power to select or create their own frame (Bennet and Pfetsch, 2018). Gatekeeping was traditionally understood as being monopolized by the media as they selected which issue would receive public attention (Meraz and Papacharissi, 2013). Social media provide more gates, which leads to a distribution of media power (Barzilai-Nahon, 2008). Thus, Twitter’s public sphere allows diverse actors greater political power, transforming how a social issue is dealt with and what possible solution is chosen. Research on Global Environmental Governance (GEG) in this context is important considering the recent transformation in climate change governance. The Paris Agreement, adopted in the Conference of Parties 21, constitutes an ongoing effort to resolve climate change. The emergence of the Paris Agreement has marked a new chapter of GEG through its incorporation of multi-actor, multi-level governance. Multi-actor governance refers to an environmental governance structure that accepts actors besides government and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s as meaningful participating actors (Weiss et al., 2013). Multi-level governance refers to a governing system in which various actors cooperate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Dingwerth and Pattberg, 2006). The Paris Agreement officially accepts these characteristics with an expanded scope of actors participating in the treaty and a more complex governing system incorporating a bottom-up evaluation system (Falkner, 2016). Due to the complex nature of the system, higher emphasis is placed on civil society and its ability to affect the evaluation process of the Paris Agreement (Falkner, 2016). Thus,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public awareness and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ir formation. Moreover, since the GEG actors have increased, the actors that influence public awareness presumably have changed. It is likely that actors participating in providing public information have increased and their objectives in communicating with the public differ. Moreover, current climate change communication is not limited to traditional media but incorporates new media like Twitter, Facebook, and YouTube.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16) report mentions its new effort to incorporate social media as a platform. Governments all over the world engage in social media campaigns to influence public understanding as well. Thus, research on who influences public information and how their dynamic changes within Twitter’s public sphere are crucial to the success of the Paris Agreemen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one research question: “How does Twitter’s public sphere assist the dynamic of GEG actors in transforming public awareness?” To answer my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implements six steps. First, this study crawls Twitter data, then creates a network based on mention and reply relationships. Within the network, the top 1,000 information-providing accounts are identified based on closeness centrality, then the information-providing actor types are automatically classified using each account’s description and searching their information in Wikipedia. The classification identifies six actor types: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 Government, Non-profit, For-profit, Media, and Individual. The contents of actors’ tweets are analyzed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analyzes the content of the words through co-occurring terms, which provide the context and meaning of a word in use. Comparison of the co-occurring terms offers insight into which actor’s content is most similar to that of the public, suggesting its influence within Twitter’s public sphere. According to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se actors’ topics are similar to those from other public spheres, as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and reports. However, Non-profit and For-profit show that they selectively present topics depending on the period, which implies that some actors selectively choose the topic they would like to discuss within Twitter’s public sphere. Moreover, the similarity between the public and actors differed by the topic and perio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co-occurring terms. The results hold two implications for Twitter’s public sphere and its impact on GEG actors’ information-provision dynamic. First, the results imply that Twitter’s public sphere represents the transformation of political discourse and actor dynamics. The media’s influence decreases, whereas the political actors and the public are more directly related. Moreover, members of the public engage in political discourse among themselves. Second, Twitter’s public sphere’s impact on increasing non-state actors’ role within discourse is insignificant. There is no clear trend whereby non-state actors’ influence has increased over that of traditional actors. The reason for non-state actors’ failure to increase their power within Twitter’s public sphere has two possible explanations. First, the diversification of media power in Twitter’s public sphere could result in further fragmentation of the media environment. Thus, the increased diversity within Twitter’s public sphere does not yield an advantage for certain political actors. On the contrary, it could transform into a system where both political actors and the public find their own niche market of information. Second, the unclear nature of power could be the reason for the uncertainty in results. Because the public sphere is transforming into a complex relationship, it is often unclear what relationship holds. This could be why analyzing the clear impact of Twitter’s public sphere on GEG actors’ public information-providing dynamic is difficul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makes three contributions to the previous literature. First, this study found empirical evidence that adequate political discussions take place within Twitter’s public sphere about climate change. Second, this study found further fragmentation in GEG actors’ influence on public awareness, which suggests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to conduct more specific investig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ors and the public. Third, this study is one of the few to use big data methodologies to investigate Twitter’s public sphere and actors’ relations with a large dataset. This automatic classification allows large-scale data to be analyzed to understand the overall trend of climate change political discourse during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Paris Agreement.;인터넷과 소셜 미디어 발전은 대중이 모여 집단적인 결정과 정치적 변화를 야기하는 새로운 공론장을 만들었다(Habermas, 1991). 새로운 미디어 환경은 가능한 상향식 의제 설정과 민주적인 정치적 의사결정 과정을 제공할 것이라 논의된다. 특히,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 환경은 정보에 대한 접근과 배포를 변화시켜 정치 담론의 변화를 위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Vromen et al., 2015). 트위터는 마이크로 블로그 플랫폼이자 개방형 소셜 네트워킹 공간이다. 정보에 대한 무제한 액세스를 제공하고 모든 사용자가 정보를 배포할 수 있다. 트위터는 논의되는 주제에 있어 다른 공론장과 구별되며, 그 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행위자들로 구성되어 있다(Ausserhofer and Maireder, 2013; Zhao et al., 2011). 이러한 변화는 정치적 담론의 메커니즘에 프레임과 게이트키핑의 두 가지 측면에서 차이를 만들었다. 프레임은 본래 문제에 대한 주제 범주를 제공하는 엘리트에 의해 주도되었다 (Bennett and Pfetsch, 2018; Entman, 2004). 그러나 새로운 미디어 환경은 청중에게 자신의 프레임을 선택하고 자신의 프레임을 만들 수 있는 더 힘을 제공한다 (Bennet and Pfetsch, 2018). 게이트키핑은 전통적으로 대중의 관심을 받는 이슈를 선택하는 행위로 위해 미디어에 의해 독점 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Meraz and Papacharissi, 2013). 이처럼 소셜 미디어는 미디어 상에서의 힘의 분배로 이어지는 다양한 방식을 제공한다(Barzilai-Nahon, 2008). 따라서 트위터의 공공 영역은 다양한 행위자들이 더 큰 정치적 힘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사회적 문제를 다루는 방법과 가능한 해결책을 선택하는 방법을 변화시킨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구환경 거버넌스에 대한 공론장에 관한 연구는 최근 기후변화 거버넌스가 겪은 변화를 고려할 때 특히 중요하다.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21에서 채택된 파리협정은 기후 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으로 다중행위자 거버넌스 (multi-actor governance), 다층적 거버넌스 (multi-level governance)의 수용을 통한 국제 환경 거버넌스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갖는다. 다중 행위자 거버넌스는 정부와 정부간기구 외의 행위자가 국제 환경 거버넌스 상의 의미 있는 행위자임을 인정한다 (Weiss et al., 2013). 이러한 다양한 행위자가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협력하는 방식은 다층적 거버넌스로 설명된다 (Dingwerth, Pattberg, 2006). 파리협정은 조약에 참여하는 행위자들의 범위를 확대하고 상향식 (bottom-up) 평가시스템을 도입하여 다중 행위자 거버넌스 그리고 다층적 거버넌스 방식의 공식적인 수용을 드러냈다 (Falkner, 2016). 복잡화된 거버넌스 형식은 파리협정의 평가과정에 있어서 시민사회의 중요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Falkner, 2016). 이러한 변화는 대중의 인식과 그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요소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야기한다. 특히나 국제 환경 거버넌스 행위자의 증가에 따라 대중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자 또한 바뀌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연구의의를 갖는다. 대중에게 정보제공을 하는 행위자의 증가 가능성은 그에 따른 정보제공 목적의 다양화 및 제공되는 정보의 다양화를 뜻한다. 게다가, 현재의 기후 변화 커뮤니케이션은 전통적인 미디어에 국한되지 않고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와 같은 새로운 미디어를 통합한다. IPCC(2016) 보고서는 소셜 미디어를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 포함 시키려는 노력을 언급한다. 또한, 전 세계의 정부들은 대중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소셜 미디어 캠페인에 시행한다. 그렇기에 누가 대중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자들 사이의 관계 변화에 관한 연구는 파리협정의 성공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이 연구는 "트위터의 공론장은 대중 인식을 변화시키는 국제 환경 거버넌스 행위자들의 역동성을 어떻게 지원하는가?"라는 한 가지 연구 질문을 조사한다. 해당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이 연구는 6단계에 걸쳐 분석을 진행한다. 먼저 본 연구는 트위터 데이터를 크롤링한 후 멘션 (mention)과 리플라이 (reply) 관계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네트워크 내에서는 근접 중심성 (closenss centrality)을 기준으로 상위 1,000개의 정보 제공 계정이 식별된다. 정보제공 행위자 유형은 각 계정의 설명을 이용하고 위키백과에서 정보를 검색을 자동으로 분석된다. 이 분류는 정부 간 조직, 정부, 비영리기관, 영리기관, 미디어 및 개인 총 6가지 유형의 행위자를 식별한다. 각 행위자의 트윗 내용 분석은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들의 트윗 내용은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된다. 의미 네트워크 분석은 사용 중인 단어의 문맥과 동시 발생 단어를 통해 단어의 내용 및 맥락을 분석한다. 동시에 발생하는 용어를 비교하는 것은 어떤 행위자의 내용이 대중과 가장 유사한지 분석 가능하게 하여 트위터의 공론장 내에서의 영향력에 관한 함의를 찾을 수 있다. 의미 네트워크 분석에 따르면 이들 행위자의 주제는 기존 연구 및 보고서와 비교하였을 때 다른 공론장의 주제와 유사하다. 다만 비영리와 영리기관은 기간에 따라 주제를 선별적으로 제시한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는 일부 행위자들은 트위터의 공론장 내에서 토론하고 싶은 주제를 선별적으로 선택한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또한 동시 발생 단어의 비교는 주제와 시기에 따라 대중과 가장 유사한 행위자가 다름을 보였다. 이는 트위터의 공론장과 국제환경거버넌스 행위자들의 정보 제공 역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두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그 결과는 트위터의 공론장이 정치적 담론과 행위자 역학의 변화를 나타낸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디어의 영향력은 감소하는 반면, 정치 행위자와 대중은 더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대중들은 그들 사이에서 정치적 담론에 참여한다는 점을 확인 했다. 둘째, 담론 내 비국가 행위자의 역할 증대에 대한 트위터의 공론장의 영향은 미미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전통적인 행위자들에 비해 비국가 행위자들의 영향력이 증가했다는 뚜렷한 추세는 분석결과에서 찾을 수 없었다. 비국가 행위자들이 트위터의 공론장 내에서 힘을 키우지 못하는 이유는 두 가지 이유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트위터 공론장에서의 힘의 주체의 다양화는 미디어 환경의 추가적인 단편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트위터의 공론장 내에서 증가된 다양성은 특정 정치 행위자들에게 유리한 결과를 초래하지 않는다. 반대로 정치 행위자와 대중 모두가 자신만의 정보 틈새시장을 찾는 시스템으로 변모할 수 있다. 둘째, 힘의 관계가 불분명한 것이 불확실한 결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공론장은 복잡한 관계로 변모하고 있기 때문에, 종종 어떤 관계가 일어나는지 불분명하다. 이 또한 트위터 공론장이 국제환경거버넌스 행위자들의 공공 정보 제공 역학에 미치는 분명한 영향을 분석하기 어려운 이유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세 가지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본 연구는 트위터의 공론장 내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적절한 정치적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실증적 증거를 발견하였다. 둘째, 이 연구는 공공 인식에 대한 국제환경거버넌스 행위자의 영향력에서 추가적인 단편화를 발견했으며, 이는 행위자와 대중 사이에서 보다 구체적인 조사를 수행하기 위한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한다. 셋째, 본 연구는 빅데이터 방법론과 대규모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트위터 공론장과 행위자 관계를 조사하는 몇 안 되는 연구 중 하나이다. 자동분류를 통해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하여 파리협정의 채택과 이행 과정에서 기후변화 정치 담론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