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3 Download: 0

보조 용언 구성의 단어화 연구

Title
보조 용언 구성의 단어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exicalization of auxiliary verb construction
Authors
강문영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형용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조 용언 구성의 단어화를 논의하는 데에 있다. 보조 용언 구성 단어의 범위와 유형, 특수성과 단어성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보조 용언 구성 단어의 예측과 사전적 처리를 다루고자 한다. 1장에서는 본고의 목적과 필요성을 예시 단어를 통해 알아보도록 한다. 또한 선행 연구를 보조 용언에 대한 것과 보조 용언의 단어 형성 참여에 대한 것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본고의 연구 대상인 보조 용언 구성 단어를 설명한다. 2장에서는 보조 용언 구성 단어의 범위를 설정하고, 유형을 분류한다. 본고에서 다루는 보조 용언 구성 단어란 보조 용언 구성으로 사전에 등재된 단어 중에서 후행 동사가 명확하게 본용언의 의미를 가진 것을 제외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들 구성의 단어가 표제어인 것을 찾아 목록으로 제시하도록 한다. 또, 보조 용언 구성 단어를 ‘선행어의 공시적 존재 여부’, ‘의미 합성성’, ‘어미의 종류’에 따른 유형으로 분류한다. 이 분류는 보조 용언 구성 단어의 단어성과 큰 관련을 가진다. 3장에서는 보조 용언 구성 단어의 특수성과 단어성을 살펴본다. 보조 용언 구성 단어는 의미와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 특수성을 가진다. 보조 용언 구성 단어는 후행 요소인 보조 용언이 여러 번의 의미 변화를 겪어 단어화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어미가 사용된 통사적 구성이 단어화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보조 용언 구성 단어는 같은 사전 등재어라 하더라도 서로 다른 단어성을 가진다. 본고에서는 보조 용언 구성 단어가 원래의 구성과 얼마나 차이를 보이는지가 곧 단어화의 정도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선행 연구의 보조 용언 구성과 합성 동사를 가리는 기준 중 가장 일반적으로 쓰일 수 있는 기준 두 가지에 단어성과 관련이 큰 유형 분류 기준 두 가지를 더해서 ‘의미 합성성이 낮음’, ‘선행어가 공시적으로 존재하지 않음’, ‘선행 용언 분리 대용이 불가능함’, ‘의사 분열문 형성이 불가능함’의 네 가지 기준을 세우도록 한다. 이 기준들을 많이 통과할수록 단어성이 더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세운 단어성 판별 기준에 따라서 단어성이 높은 유형, 중간인 유형, 낮은 유형으로 나누어 목록을 제시한다. 4장에서는 3장의 분류를 기반으로 하여 보조 용언 구성의 단어화 예측과 사전적 처리를 논의한다. 아직 사전에 등재되지는 않았지만 일정 정도의 단어성을 가지고 사용되는 보조 용언 구성은 앞으로 단어화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또, 보조 용언 구성의 사전적 처리를 논의한다. 보조 용언 구성 단어 중 낮은 단어성을 가지는 것을 사전에서 제외하고, 큰 단어성을 가지는 것은 현재 상태로 두도록 한다. 중간의 단어성을 가지는 경우는 그 단어의 의미가 보조 용언의 의미와 관련이 없는 것과 있는 것으로 나누어서, 전자의 경우에는 현재의 처리대로 표제어로 유지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표제어에서 제외하고, 대신 보조 용언의 의미를 제외한 부분을 선행 용언의 뜻풀이로 싣도록 한다. 이러한 처리는 언어 사용자들이 보조 용언 구성 단어를 체계적으로 인식하고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고의 논의를 정리하여 요약하고, 남은 과제를 제시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iscuss the lexicalization of auxiliary verb construction. We further investigate the prediction and dictionary processing of auxiliary verb construction by examining its words' scope, category, specificity, and wordhoodness. Chapter 1 examines the study's purpose and importance by analyzing example words. We reviewed prior studies on auxiliary verbs and participation in the word-formation of auxiliary verbs. Additionally, we explained our primary interest,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 word. Chapter 2 sets the range of auxiliary verb construction words and classifies their types. For this paper, we excluded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 words with a clear meaning of the main verb among the words registered in a dictionary. We found words in these constructions registered in dictionaries and then presented them in a list. Further, we categorized auxiliary verb construction words into three groups: 1. whether an antecedent word exists synchronically, 2. compositionality, and 3. type of ending. This categorization i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wordhoodness of auxiliary verb construction words. Chapter 3 examines the specificity and wordhoodness of auxiliary verb construction words. Auxiliary verb construction words have specificity in terms of meaning and word formation.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 word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auxiliary verb, which is a following element, is lexicalized through several semantic changes, and the syntactic composition with ending is lexicalized. Auxiliary verb construction words have different wordhoodnesses even if they are both registered in the dictionary. In this paper, we judge the degree of lexicalization as how different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 words are from the original syntactic construction. Therefore, two of the most highly relevant categories to wordhoodness are added to the two most commonly used criteria to distinguish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form compound verbs in previous studies to establish four criteria: ‘low compositionality’, ‘no antecedent word exists synchronically’, ‘no separated antecedent verb anaphora possibility’, and ‘no pseudoclefts formation possibility’. An auxiliary verb construction word has higher wordhoodness as it passes more of these criteria.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criteria, lists are presented by the words’ wordhoodness: high-wordhoodness, middle-wordhoodness, and low-wordhoodness. Chapter 4 showcases the prediction of lexicalization and dictionary processing of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based on the classifications discussed in Chapter 3. Although it is not in the dictionary yet,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 used with a certain degree of wordhoodness may have the possibility of lexicalization in the future. Furthermore, we discuss the dictionary processing of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 word. Auxiliary verb construction words with high-wordhoodness remain in the dictionary; however, those with low-wordhoodness should be removed. If the word has middle-wordhoodness, then we decide whether it is or is not related to the meaning of the auxiliary verb. The registration should remain as the current processing in the latter case. If the former, it should be excluded from the list; instead, the meaning excluding the auxiliary verbs can be added to the meaning of antecedent verbs. This processing can help language users systematically recognize and understand auxiliary verb construction words. In conclusion, Chapter 5 summarizes the discussions in this paper and presents the remaining tas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