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7 Download: 0

국립도서관의 구술자료 수집정책 설계에 관한 연구

Title
국립도서관의 구술자료 수집정책 설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the oral history collection policies applicable : Case of National Libary
Authors
엄정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연경
Abstract
Oral history is in the spotlight as a way to record their own history for us living in the present era. Research using oral history methodologies such as local history, labor history, women's history, and art history as well as sociology and anthropology is expanding, and is being used to record the culture and history of individuals, regions, communities, and villages.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oral history, oral data produced in the process of using oral history research methodology also increased quantitatively, but the use and utilization of oral history material is rarely mad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use and utilization of oral history material through the cases of overseas the national libraries. To do this,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oral history materials and the validity of oral history collection and the policy of oral history collection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preliminary oral history collection policy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survey and collection policy of overseas the national libraries that have oral history collections. Based on this, evaluation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in various fields such as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oral history, and individual researchers. By conducting an evaluation of the preliminary oral history collection policy components derived earlier, the preliminary collection policy components for reference to basic data were derived when the National Library wanted to establish an oral history collection. In addi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validity of the need for the oral history collection of the National Library was derived,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discussing the central institution of oral history. To do this, in literature review, the definition and scope of oral history and oral history materials were limited, and the policy for collecting oral history material was examined, and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necessity was prepared. Oral data are data containing individual memories produced through oral acts between researchers and dictators, and can be defined as data collected in the research process. The scope of oral data was limited by dividing it into primary and secondary data. The oral data collection policy is a policy that must be prepared for the production of systematic oral history materials, and based on this policy, it can be said that a policy basis for researchers to operate research is laid. To prepare the basic components of the oral history collection policy, related manuals and standards were examined, but there was no separate collection policy, so the basic components of the oral data collection policy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overseas cases, among the institutions holding oral history specified on the International Oral History Association website, the national library that had oral history collections and stated the oral collection and development policies on the homepage were selected as case institutions as follows: the Oral History Collection of the British National Library, the Australia Oral History Collection, the New Zealand Oral History and Sound Collection.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and collection policies were analyzed, focusing on All three of these institutions. Through this, major the national libraries abroad not only establish a collection of oral history, but also unify the standards by specifying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the description, format, and preservation of oral materials in agreement with the Oral History Association. In addition, oral data, which is difficult to manage through cooperation with institutions and individuals that collect oral materials, were collected in a donation method and provided online through digitalization. And all three institutions were playing the role of oral history-centered institu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oral data collection policy, it was possible to derive not only the archiving elements of oral history materials but also the policy elements for responsibility and role as a central institution of oral history in the country. Evaluation was conducted on the components of the preliminary oral history collection policy derived from literature studies and case studies. The research participants for evaluation are composed of individual researchers, institutional researchers, librarians,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xperts, and a total of 10 people. Along with the components of the preliminary oral history collection polic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role of the oral history-centered institution. Using their professional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presented the national collection of oral history data and the necessity and roles of the institution in charge as follows: (1) establishing facilities to preserve oral history data, (2) creating meta-data and a comprehensive list for convenient use. (3) Preparing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oral history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the necessity of oral history-centered institutions could be confirmed. Researchers mainly presented the need for central institutions for use and preservation, and a total of 18 oral data collection policy components were deleted and changed through evaluation among 21 preliminary oral data collection policy components. A total of 18 elements were derived, including 'Introduction', 'Purpose', 'Collection target', 'Term definition', 'Subject', 'Collection priority'. 'collection exclusion targets', 'collection plans', 'collection principles', 'form', 'disposition', 'education', 'standard', 'academic support', 'use', 'access', 'legal and ethical guidelines', 'cooperation', and 'support'. This study defined oral history and oral data from a managerial point of view for the use and utilization of oral data. The oral data collection policy was designed through overseas case analysis and expert evaluation for the oral data collection policy of the National Library. Th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 National Library will be able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collecting oral data when building an oral collection in the future.;구술사는 현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자신의 역사를 기록할 수 있게 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각광을 받았다. 사회학, 인류학뿐만 아니라 지역사, 노동사, 여성사, 예술사 등 구술사 방법론을 활용하는 연구가 확대되고 있으며 개인, 지역, 공동체, 마을의 문화와 역사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구술사의 대중화로 구술사 연구방법론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구술자료도 양적으로 증가하였지만, 구술자료의 이용과 활용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구술자료에 대한 이용과 활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해외 국립도서관의 사례를 통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술사와 구술자료에 대한 정의 및 특성과 국립도서관의 구술자료 수집의 타당성과 구술자료 수집정책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구술사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는 해외 국립도서관의 현황설문조사와 수집정책을 분석하여 예비 구술자료 수집정책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헌정보학, 구술사학, 개인연구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앞서 도출된 예비 구술자료 수집정책 구성요소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여 구술사연하여 국립도서관이 구술사 컬렉션을 구축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 참고할 수 있는 예비 수집정책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심층면담을 통해 국립도서관의 구술사 컬렉션의 필요성에 대한 타당성을 도출하였으며 구술사 중심기관에 대해 논의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구술사와 구술자료의 정의와 범위를 한정하고 구술자료 수집정책을 살펴보고 필요성에 대해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구술자료는 연구자와 구술자 간의 구술행위를 통해 생산된 개인의 기억을 담고 있는 자료이며 연구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로 정의할 수 있다. 구술자료의 범위는 1차와 2차 자료로 나눠 범위를 한정하였다. 구술자료 수집정책은 체계적인 구술자료의 생산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작성되어야 하는 정책이며 해당 정책을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연구를 운영할 수 있는 정책적 기반이 마련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술자료 수집정책에 대한 기본 구성요소를 마련하기 위하여 한편 구술자료 수집정책의 기본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관련 매뉴얼과 표준을 살펴보았으나 별도의 수집정책이 없어서 주제별 장서개발정책, 도서관 장서개발정책에 기반을 둔 기록물수집정책, 국가도서구축을 위한 장서개발정책 구성요소 연구, 기록관을 중심으로 구술자료 수집정책을 분석하여 구술자료 수집정책의 기본요소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국외 사례기관 선정을 위하여 International Oral History Association 홈페이지에 명시되어 이는 구술자료 소장기관 중 국립도서관에서 구술사 컬렉션을 구축하고 있으며, 홈페이지에 구술사 컬렉션 수집개발정책을 명시한 국립도서관을 사례기관으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영국국립도서관 Oral History collection, 호주국립도서관 Oral History Collection, 뉴질랜드국립도서관 Oral History and Sound Collection을 사례조사 하였다. 국외 3개국의 국립도서관을 중심으로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와 수집정책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해외 주요 국립도서관은 구술사 컬렉션을 구축할 뿐만 아니라 구술사협회와 협약하여 구술자료의 기술, 형식, 보존에 대한 표준 및 지침을 지정하여 기준을 통일하고 있다. 또한 구술자료 소장하고 있는 기관 및 개인과의 협력을 통해 관리가 어려운 구술자료에 대해 기증의 방식으로 수집하여 디지털화 등을 통해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하고 있었다. 그리고 세 기관 모두 구술사 중심기관의 역할을 함께하고 있었다. 구술자료 수집정책 분석을 통해 구술자료의 아카이빙 요소뿐만 아니라 자국의 구술사 중심기관으로 책임, 역할에 대한 정책 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로 도출된 예비 구술자료 수집정책 구성요소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를 위한 연구참여자는 개인연구자, 기관연구자, 사서, 문헌정보학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0명이다. 예비 구술자료 수집정책 구성요소와 함께 구술사 중심기관의 역할에 대한 조사를 함께 수행하였다. 참여자들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국립도서관의 구술자료 수집과 중심기관의 필요성을 주장하였으며 그 역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 번째, 구술자료를 보존할 수 있는 시설, 두 번째, 이용의 편리함을 위한 메타데이터 및 종합목록 작성, 마지막으로 양질의 구술자료를 생산하기 위한 표준 및 지침 마련이었다. 전문가 심층면담을 통해 구술사 중심기관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자들은 주로 이용과 보존을 목적으로 중심기관의 필요성에 대해 제시하였는데 예비 구술자료 수집정책 구성요소 21개 중 평가를 통해 삭제 및 변경되어 총 18개의 구술자료 수집정책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소개’,‘목적’,‘수집대상’’,‘용어정의’‘주제’,‘수집우선순위’.‘수집제외대상’,‘수집방안’,‘수집원칙’,‘형식’,‘처분’,‘교육’,‘표준’,‘학술지원’,‘이용’, ‘접근’, ‘법적·윤리적 가이드라인’, ‘협력’, ‘지원’총 18개의 요소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구술자료의 이용과 활용을 위하여 관리학적 관점에서 구술사와 구술자료에 대해 정의하였다. 국립도서관의 구술사 컬렉션을 위한 구술자료 수집정책을 위한 국외 사례분석과 전문가 평가를 통해 구술자료 수집정책을 설계하였다. 결과는 향후 국립도서관이 구술사 컬렉션을 구축할 때 구술자료 수집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