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6 Download: 0

진은숙(Unsuk Chin, 1961-)의 성악작품 《칸타트릭스 소프라니카》 (Cantatrix Sopranica, 2004-05)에 대한 연구

Title
진은숙(Unsuk Chin, 1961-)의 성악작품 《칸타트릭스 소프라니카》 (Cantatrix Sopranica, 2004-05)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Unsuk Chin’s Vocal Work《Cantatrix Sopranica》
Authors
문민정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은하
Abstract
새로운 음색에 대한 탐구의 과정에서 20세기 이후 작곡가들은 ‘인간의 목소리’를 새로운 음향의 원천으로 여기게 되었고 이러한 인성(人聲)에의 재발견은 성악음악에서의 실험 및 확장으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서양음악사에서 오랜 기간 유지되어 온 언어와 음악의 긴밀한 관계는 점차 상실되었고, 성악음악 창작의 새로운 갈래인 텍스트의 음성학적인 측면과 음향학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실험적 성악음악이 발전하였다. 목소리의 기악적 취급과 함께 구문론과 의미론에서 벗어난 텍스트는 의미를 전달하는 수단이 아닌 다양한 음색의 표현 수단으로 자리잡으며, 성악이라는 개념이 무색할 정도로 전통적 개념의 음악과 언어 간 긴밀한 관계가 유효하지 않은 작품들이 창작되었다. 본 논문은 진은숙(Unsuk Chin, 1961-)의 성악작품《칸타트릭스 소프라니카》(Cantatrix Sopranica, 2004/05)에 관한 연구로, 위와 같은 현대성악음악의 특수성이 어떻게 그녀만의 독자적인 음향으로 확립되는지 작품 분석을 통해서 고찰하였다. 20세기와 21세기 두 세기를 거치며 현대 클래식 음악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작곡가 진은숙은 정교한 구성의 음향과 다채로운 음색의 결합을 보여주며 관현악 음악의 대가로 잘 알려져 있지만, 성악작품 역시 그녀의 작품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칸타트릭스 소프라니카》는 소프라노 가수들의 “노래 부르는 행위에 대한 탐구”로,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중국어의 다양한 언어 사용을 비롯해 진은숙에 의해 만들어지고 재구성된 텍스트를 사용하여 음성적, 음향적 차원에서의 다양한 텍스트 활용법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작품이다. 특히 고유의 정체성을 벗어난 성악 기법 및 기악 주법과 함께 다채로운 음색을 형성하며 진은숙만의 특별한 음향 이미지를 구사하고 있는 작품으로, 각 악장마다 다양한 관점에서 음악적 스타일과 에피소드를 설정하여 텍스트의 음소, 음절, 단어, 문장 그리고 감정 표현의 지시어까지 음악을 구성하는 매개변수로 사용되면서 텍스트의 탈의미화와 함께 목소리의 악기화가 여덟 악장에 걸쳐 구체화된다. 본격적인 작품 연구에 앞서 20세기 성악음악에서 나타나는 텍스트와 음악과의 관계 변화와 이러한 흐름에 따른 작곡가들의 성악작품들을 살펴보며 텍스트를 다루는 방식과 목소리의 역할을 ‘전자매체와의 결합,’ ‘언어의 해체와 재구성,’ ‘실험적 문학 텍스트의 사용,’ ‘비언어적 요소의 응용,’ ‘음향적 결과의 다변성’으로 나누어 다양한 예시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진은숙의 생애를 다루고, 진은숙의 성악음악의 특징을 ‘문학으로부터의 영감,’ ‘언어유희,’ ‘다양한 문화와 언어,’ 그리고 ‘다채로운 음색과 음향’으로 분류하여 성악작품에서 보이는 그녀만의 음악언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성악작품《칸타트릭스 소프라니카》를 분석, 연구하며 필자는 각 악장에 사용된 텍스트가 음성학적 측면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성대의 진동 여부에 따라 음색적 변화 및 다양한 음향을 구현하면서 취급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각 악장별 제목과 텍스트가 음악적 구조와 연관성을 가지며, 이중언어의 사용과 엉터리 언어로의 변용 등으로 텍스트의 의미론과 구문론 또한 약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텍스트의 다양한 취급방식과 함께 《칸타트릭스 소프라니카》는 언어의 추상적 측면을 부각시켜 소음에 가까운 음향을 만들어내는 치밀한 과정을 통해서 음색 스펙트럼이 풍부해졌고, 성악과 기악의 경계를 흐리게 하며 목소리의 무한한 가능성과 함께 악기와의 통합을 이루었다. 진은숙의 《칸타트릭스 소프라니카》 전체를 관통하는 것은 ‘유희적 음악’이라 할 수 있으며, 무개념적 언어를 매개로 하여 음악적 상상력을 펼쳐가는 과정에서 유쾌함과 재미로 청중의 공감을 이끌고 소통해 가는 가운데 새로운 음악적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In the process of exploring new timbres, composers of the 20th century came to regard the ‘human voice’ as a source of new sound. This discovery of the human voice’s new potentials led to experiments and expansions in vocal music. In this proces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music, which had existed throughout the history of Western music, was gradually lost. Instead, a new branch of vocal music composition was developed: experimental vocal music that emphasized phonetic and acoustic aspects of text. With the instrumental treatment of the voice, text excluded syntax and semantics, and was positioned as a means of expressing various timbres, rather than a means of conveying meaning. Thus, concepts of vocal music emerged in which works did not exhibi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concepts of music and language.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n Unsuk Chin (1961-)’s vocal work 《Cantatrix Sopranica》 (2004-05). Through the analysis of her work, the study examined how the specific contemporary vocal music concept, described above, was established as her own style of sound. Composer Unsuk Chin, a well-known master of orchestral music, is receiving attention in the 21st century contemporary classical music scene for her combination of sophisticated sounds and colorful timbres. However, her vocal works are also significant in her music. In particular, 《Cantatrix Sopranica》 is “an exploration of the act of singing,” and a work that shows diverse ways of using text in the phonetic and acoustic aspect written and recomposed by Chin in English, French, German, Italian and Chinese. It is also an important work that displays her unique musical style. It forms a colorful timbre with vocal and instrumental technique, breaking the original identity. Each movement has its own characteristic shown through different musical styles and episodes. Text’s phonemes, syllables, words, sentences and emotional expressions are used as parameters of composing music, and along with desemanticization of the text, the instrumentalization of the voice is embodied throughout the eight movements. Before delving into full-scale research on Chin’s work,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 of vocal music since the 20th century and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music through various vocal works written by composers representing each period. It introduces Chin’s life and work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mposer’s music style. Next, the characteristics of Chin’s vocal music were classified into “inspiration from literature,” “pun,” “diverse cultures and languages,” and “various timbre and sound”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music. Based on this process, this study analyzes and researches how these characteristics are realized in 《Cantatrix Sopranica》 The author found that the text used in each movement was closely related to the phonetic aspect, and that it was handled while implementing timbral changes and various sounds depending on whether the vocal folds vibrat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itle and text of each movement were related to the musical structure and that the text’s semantics and syntax were weakened due to the use of bilingualism and its transformation into meaningless language. Along with these various treatment methods of text, 《Cantatrix Sopranica》 has enriched the spectrum of timbres through a meticulous process of creating sounds close to noise by emphasizing the abstract nature of language, and by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vocal and instrumental music,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the voice and the integration of instruments have been achieved. What is found throughout the entirety of Unsuk Chin’s 《Cantatrix Sopranica》 can be said to be ‘playful music’, and in the process of unfolding musical imagination through non-conceptual language, it leads the sympathy of the audience with pleasure and fun while presenting new musical possi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