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67 Download: 0

<통영검무> 춤사위의 지역적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통영검무> 춤사위의 지역적 특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abou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uthors
이지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기숙
Abstract
본 연구는 <통영검무>의 춤사위를 분석하고 통영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기반으로 춤사위에 나타나는 지역성을 연구 및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검무는 상고시대부터 수렵무용, 전쟁무용과 같은 의식무용으로 추어졌던 것으로 민간에 의해 가면무로써 전승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궁중검무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는데 조선 중기까지는 무동에 의한 가면무로 연희되었고, 조선조의 기록에 따르면 정조조부터 여기에 의해 연희되었음을 알 수 있다. 2인 혹은 4인의 무원이 입춤을 춘 다음 검을 들고 검무를 추었던 궁중의 검무는 임진왜란 이후 전국의 교방에서 유행이 일어났고 통영에서도 삼도수군통제영에 의해 북춤과 함께 검무가 연희되었다. <통영검무>는 임진왜란 당시 이충무공이 병사들의 사기를 돋우고 전승을 축하하기 위해 병선 위나 싸움터에서 춤을 추게 한 것을 유래로, 삼도수군통제영 소속 교방청에 의해 이충무공의 탄신제나 춘추향사를 비롯하여 병사들의 집결 및 훈련 행사에서 북춤과 검무가 함께 올려진 것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해양군사도시라는 통영의 지리적 특징을 기반으로 통영의 역사적 배경을 <통영검무> 춤사위 분석에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통영검무> 춤사위에서 드러나는 지역적 특성으로 내향성, 상무정신, 비장성 등 세 가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통영검무>는 작고 아기자기한 춤사위들로 구성되어 극히 내향적인 성향을 가진 춤이다. 내향성은 협소한 공간에서 오랜 기간 생활하고 춤을 추었던 영향에 의한 것으로 <통영검무>의 춤사위는 전반적으로 옥은(오그라진) 춤사위 성향을 보인다. 둘째, <통영검무>의 춤사위에는 상무정신을 바탕으로 한 호국정신이 표현되며 이는 7년 동안 전쟁을 겪은 병사들의 심리에 의해 묘사된다. 오랜 시간동안 나라를 지키기 위해 크고 작은 전쟁을 겪어 온 병사들이 힘들고 지칠 때 서로 위로하고 격려하며 힘을 합쳤던 당시의 상무정신은 쌍오리사위와 멕임사위를 통해 잘 표현된다. 셋째, <통영검무>의 칼춤에서 비장함이 나타난다. 비장함은 전쟁을 통해 동료를 잃지 않고 나라를 지키기 위해 전승을 갈망하는 절박함과 밀고 당기며 이어가는 전쟁의 긴박함으로 표현된다. 칼춤 중에서도 특히 외칼사위, 진격태, 연풍대에서 강하게 나타난다. <통영검무>는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사실과 이충무공이라는 역사적 인물이 연관되어 춤에 깊이 녹아든 채 오랜 시간 전승되었기 때문에 본 작품은 한국의 전통무용이자 민속무용으로서 역사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가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글로벌 시대를 넘어 도시와 지역을 중요시하는 글로컬(Glocal)시대에 한국적 미학과 가치를 이해하고 연구하여 새로운 문명의 방향을 제시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또한 궁중검무에서 비롯된 지방검무를 연구함에 있어 춤에 나타난 그 지역의 지역성을 연구하는 것은 춤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cality of , through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ongyeong. Sword Dance is a Ritual dance such as hunting dance and war dance. It began from the ancient times, and was be handed down among people as a mask dance. From the records written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was revealed that sword dance was performed as a mask dance by mudong(male dancer) until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word dance was performed by yeogi(female dancer)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too. The court’s sword dance was performed by two or four members with a sword after performing the standing dance.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t was popular in Gyobang all over the country, and also in Tongyeong, sword dance along with drum dance was popular by Navy Headquarters of Three Provinces. originated from dance on the warship to perk up the fighting sprit the of the soldier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stage, which performed both drum dances and sword dances together, at Lee Chungmugong’s birth festival and chunchuhyangsa(sacrificial rites for lee’s) or soldiers’ training events by the Gyobang Office, which belongs to the Navy Headquarters of Three Provinces, has been continued so far. Based on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ongyeong, which is a Marine Military City, this study us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ongyeong to the analysis of movements of .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introversion, commercial spirit, and solemnity. In other words, the dance of contains the influence of soldiers’ main living spaces, the psychological factors that have worked together for a long time during the war, and the desperation and urgency of the soldiers who wanted to save the country by winning the war. The above three regional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movements are as follows. First, consists of small dances and has an extremely introverted tendency. Introverted tendency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narrow space, and the dance of generally shows a tendency to Okeun(shrivel). Second, has the spirit of patriotism based on the commercial spirit, and it is due to psycholosy of soldiers, who have been through lots of wars for seven years. The spirit of commerce at the time is well expressed through the Ssangorisawi and Megimsawi, when soldiers comforted, encouraged, and joined forces with each other to protect the country for a long time, while a loys of war. Third, a solemnity appears in . The solemnity is expressed through the desperation to win the war and the urgency of a tug-of-war. In the sword dance, the solemnity is remarkably expressed, and it is especially strong in the Oekalsawi, Jingyeoktae, and Yeonpungdae. has been continuing for a long time, linked to the historical fact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o the historical figure of Lee Chungmugong. Therefore, this dance can be considered, that it has a sufficient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 as a traditional Korean dance and folk dance. This study can be a way to present the direction of a new civilization by understanding and studying Korean aesthetics and values in the glocal era, which values cities and regions beyond the glbal era. In addition, in studying the local sword dance derived from the royal sword dance, studying the locality of the region in dance is the most basic work in understanding dance, so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is meaningfu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