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5 Download: 0

부모의 양육행동이 교차문화아이들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의 양육행동이 교차문화아이들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arental Behavior on Acculturative Stress of Cross-Cultural Kids (CCKs) : Medi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ies
Authors
문애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남지은
Abstract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ehavior and acculturative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as a mediating factor that lower acculturative stress experienced in the acculturation process of Korean adolescent Cross Cultural Kids (CCKs). Due to the social phenomenon of international immigration, an increasing number of adolescents who experience cross culture during their development stage. Acculturative stress affects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identity and cultural homelessness of CCKs, and ultimately acts as a factor affecting psychological and mental health. A high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predicts psychological symptoms such as maladjustment,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in CCKs, so it is necessary to help CCKs to lower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Parents have various influences on CCKs, and at the same time they share the passport country culture. The various research have reported the effect of family support or parental parenting behavior on the acculturation of CCKs. When CCKs experience acculturation stress in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they respond to the cultural stressors with coping strategies. Positive coping strategies, such as problem-focused coping, do lower acculturative stress, while dysfunctional coping, such as avoidance-focused coping, increases the level of acculturation stress. Taken together, it is assumed that parental behaviors and coping strategies affect acculturative stress in adolescent CCKs. In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3 Korean CCKs at the age between 12 and 18, who moved to the states from Korea more than 6 months ago for the measurement of acculturative stress, parental behavior and coping strategies. The collected data set of 113 were verified using SPSS 24.0.0.0.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is not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Problem-focused coping plays a positive role in stressful situations. However, in acculturation progress which is derived from cultural differences, there are not many areas that each individual can solve with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Therefore,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focused coping does not appe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Second, the avoidance-focused coping strategy show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Parental support influences lowering acculturative stress of CCKs by lowering avoidance-focused coping. This suggests that CCKs can avoid or avoid negative emotions derived from stressful situations such as hostility, fear, and cultural shock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by obtaining parental support. Thir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roblem-focused coping in CCKs is found. These results may be due to the nature of social relationships in the United States, where CCKs are growing. Social relations in the states are more horizontal than in Korea, and CCKs may experience various of these horizontal relations. Therefor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factors such as friends, teachers, and neighbors on problem-focused coping may be greater than tha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verall,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parent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cculturative stress. Through this study, the influence of parental support that affects acculturative stress is confirm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voidance-focused coping is found in the process. Important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is that parents provide a supportive parenting environment to CCKs to help them avoid using dysfunctional stress coping strategies in order to ultimately lower acculturation stress.;본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이주하여 교차문화를 경험하는 청소년 CCKs가 문화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낮추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부모의 양육행동과 매개요인으로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주인구의 수가 급증함에 따라 교차문화를 경험하는 청소년도 증가하고 있으며,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경험하기도 한다. 문화적응스트레스는 CCKs의 문화적 정체성확립, 문화적 소속감에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높은 수준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CCKs의 생활부적응, 우울 및 자살사고 등 심리적 증상을 예측하기도 하므로 CCKs가 낮은 수준의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안정적으로 문화적응을 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부모는 CCKs가 모국문화를 공유할 수 있는 대상인 동시에 CCKs를 양육하며 다양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족의 지지 또는 부모의 양육행동이 CCKs의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연구를 통해 검증되고 있다. 이처럼 부모는 CCKs의 근접자원으로서 CCKs의 문화적응과 문화적응스트레스에도 영향을 미친다. CCKs는 문화적응 과정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대처전략을 통해 대응하게 되는데 문제중심대처와 같은 기능적 대처전략은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낮추는 반면, 회피중심과 같은 역기능적 대처는 문화적응스트레스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종합해 보면, 부모의 양육행동과 대처전략이 CCKs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CK의 발달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행동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대처전략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에서 출생하여 미국으로 이주하여 거주기간 6개월 이상인 만 12-18세 청소년 113명의 설문자료를 SPSS 24.0.0.0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부모의 지지적 양육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문제중심대처전략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문제중심대처는 스트레스상황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문화적 차이에서 발생하는 문화적응스트레스라는 특수한 상황에서는 개인이 문제중심대처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 많지 않기때문에 부모의 지지적양육행동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문제중심대처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부모의 지지적 양육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회피중심대처전략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부모의 지지적양육은 CCKs의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낮추는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부모의 지지적인 태도가 CCKs가 회피중심대처를 덜 사용하도록 하여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낮추었다. 이는 교차문화를 경험하고 적응해야 하는 CCKs의 경우 부모의 지지를 얻음으로써 문화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적대감, 두려움, 문화적 충격 등의 스트레스 상황에서 파생되는 부정적 정서를 외면하거나 회피하지 않을 수 있게 됨을 시사한다. 부모의 지지적 양육은 CCKs의 회피중심전략 경향성을 낮춤으로써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지지가 CCKs가 문화적응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회피하지 않도록 도울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낮추는 데 중요한 자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통제와 CCKs의 문제중심대처 사이의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CCKs가 성장하고 있는 미국의 사회적 관계의 특성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친구, 교사, 이웃 등 사회적 환경에서 경험하는 수평적인 관계에서 오는 사회적지지 요인이 문제중심대처에 미치는 영향이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미치는 영향보다 클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부모의 양육행동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지지적 양육행동의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회피중심대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모국을 떠나 해외에서 교차문화를 경험하는 CCKs가 긍정적으로 문화적응을 할 수 있도록 부모가 지지적인 양육환경을 제공하고 역기능적인 스트레스 대처전략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효과적인 개입에 대해 논의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