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2 Download: 0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감성지능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감성지능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job embedded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emergency room nurses on turnover intention
Authors
최애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숙정
Abstract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배태성, 감성지능, 이직의도를 알아보고, 직무배태성과 감성지능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전국 소재 대학병원 응급실 간호사로 환자에게 직접 간호를 제공하고 있는 간호사 178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직무배태성은 Mitchell et al.(2001)이 개발한 측정도구(Job embeddedness scale)를 김재희(2010)가 번안하고 수정ㆍ보완한 직무배태성 측정도구로 측정하였고, 감성지능은 다양한 조직의 근로자에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Wong and Law(2002)가 개발한 감성지능 도구인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WLELS)를 정현우(2007)가 번역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이직의도는 Mobley(1982)가 병원종사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이직의도 측정도구를 함정화(2013)가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정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직무배태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11±0.50점, 감성지능은 7점 만점에 평균 4.85±0.77점, 이직의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52±0.68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배태성은 연령(t=-4.080, p<.001), 결혼(t=-2.778, p=.006), 응급실 근무경력(F=14.233, p<.001), 총 임상경력(F=9.739, p<.001), 응급실 근무 만족도(F=13.743, p<.001), 직위(t=-5.050, p<.001), 급여(t=-4.385,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감성지능은 응급실 근무 만족도(F=5.536, p=.005), 직위(t=-2.202, p=.029), 급여(t=-2.372, p=.01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직의도는 급여(t=2.201, p=.02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이직의도는 직무배태성 r=-.375(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위계적 회귀분석 시행 결과 대상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급여(β=-0.164, p=.029), 직무배태성(β=-0.394, p<.001) 순이었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3.6%였다(F=1.552, p=0.214).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응급실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직무배태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배태성을 높여 응급실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응급실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서 병원 조직이 응급실 간호사들의 직무배태성을 높이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구체적으로는 근무환경 개선과 동시에 업무에 대한 보상과 승진 및 자기발전을 위한 기회를 공정하게 제공하는 등 조직 내 직무배태성의 구체적 실행방안을 마련하고 실현하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 of emergency roomnurses' job embedded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urnover intention. Methods : This study targeted a total of 178 emergency room nurses who directly provide nursing to patients at university hospitals nationwid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online surveys and was analyzed through technical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ē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ubjects scored an average of 3.11±0.50 points out of 5 in job embeddedness, an average of 4.85±0.77 out of 7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an average of 3.52±0.68 out of 5 in turnover intention.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embeddedness according to such general subject characteristics as age (t=-4.080, p<.001), ER career (F=14.233, p<.001), total clinical career (F=9.739, p<.001), work satisfaction in ER (F=13.743, p<.001), position (t=-5.050, p<.001), marriage (t=-2.788, p<.001), and salaries (t=-4.385, p<.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work satisfaction in ER (F=5.536, p=.005), position (t=-2.202, p=.029), and salaries (t=-2.372, p=.019).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salaries (t=2.201, p=.029). 3. Job embedded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turnover intention at r=-.375(p<.001). 4.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salaries (β=-0.164, p=.029) had the biggest effect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subjects, being followed by job embeddedness (β=-3.394, p=<.001). The regression model had an explanatory power of 13.6% (F=1.552, p=0.214). Conclusion :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higher job embeddedness led to lower turnover intention, suggesting that the turnover intention of ER nurses can be lowered by increasing their job embeddedness as it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raise a need for hospital organizations to prepare specific measures to increase the job embeddedness of ER nurses so that their turnover intention can decrease. Specifically, there should be efforts to enhance job embeddedness within the organization by actually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at the same time, offering fair rewards for work and fair opportunities for promotion and self-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