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4 Download: 0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과 학교수준 요인의 효과

Title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과 학교수준 요인의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Individual and School Level Factors o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Hierarchical Linear Model
Authors
차주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혜영
Abstract
2021년 2월 새로 제정된 민법상 가정 내 훈육 금지에 따르면, 가정 내에서 아동에게 체벌이나 욕설을 하는 것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하지만 2020년부터 지속된 코로나 19 여파로 부모의 실직, 재정 감소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로 가정 내에서 아동이 부모와 함께 지내는 시간이 증가하면서 부모의 보호 없이 방임될 가능성이 증가했으며, 2019년도부터 3년 이상 지속된 코로나 19를 원인으로 실직을 경험한 부모는 그렇지 않은 부모에 비해서 아동을 학대할 가능성이 다섯 배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있다(Lawson, Piel & Simon, 2020). 또한 아동이 가정 내에서 온라인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 범죄에 노출될 가능성과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20). 따라서 가정 내 아동학대 피해 경험을 분석하고, 또 다른 학대 문제인 학교폭력 경험에 영향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적 차원의 가정 내 학대 피해 경험이 학교폭력의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가 초등학생에게도 적용되는지, 학교 차원의 인권교육 경험이 학교폭력 피해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이에 대해 규명하였다. 1) 초등학생들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에 학교의 요인이 설명하는 비율이 어떠한가? 2) 학교 폭력 피해 경험은 학생 가정 내 학대 피해 경험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 학교 폭력 피해 경험은 학교의 인권교육 정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9 아동 청소년 인권 실태조사’횡단연구 패널자료(Korean Youth Panel Survey: KYPS)를 활용하였는데, 이는 2006~2010년에 출생한, 2019년 당시 초등 4~6학년 아동 2,861(남 1462, 여 1399)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로서, 2022년 기준 2021년 12월 발표 된 가장 최근 자료이다. 패널자료의 표본 특성을 고려하여 1수준 학생 변인, 2수준 학교 변인으로 종속변수인 학교폭력 경험을 구분한 후 위계적 선형 모형을 만들고, SPSS 28 버전과 HLM 8.0 버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생 4~6학년은 가정 내에서 겪는 학대 경험이 학교폭력 경험에 영향을 미쳤지만, 학교에서 받는 인권교육은 아동의 학교폭력 경험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가정에서 부모(보호자)로부터 받는 아동학대 피해가 아동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크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는 학교폭력 피해를 입는 학생들을 위하여, 학생에게 학교 폭력의 원인이 되는 가정 학대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 학교 차원에서 인권 교육을 비롯한 학교 폭력을 예방 및 해결하고자 원인이 되는 가정 내 학대 피해에 대해 이해하고 예방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newly enacted ban on domestic discipline under the Civil Code in February 2021, it is legally forbidden to use corporal punishment or abusive language against children in the home. However, in the aftermath of COVID-19, which has continued since 2020, the increase in stress due to parental unemployment and reduced finances has increased the time children spend with their parents in the home,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being neglected without parental protection. Research has shown that parents who have experienced job loss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are five times more likely to abuse children than parents who have not (Lawson, Piel & Simon, 2020). In addition, as the time children are exposed to online activities within the home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exposure to online crimes and cases of abuse is increasi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domestic abuse and to in addition identify its impact o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yet another abuse problem for children. This study aimed to inspect whether the preceding research which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domestic abuse at the individual level affects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pplie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find whether the experie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at the school level affects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To this en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nd examined: 1) What is the ratio of the school factors which explai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being a victim of school violence and the experience of being a victim of domestic abus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being a victim of school violence and the degree of human rights education at school? To investigate these questions, this study utilized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KYPS), a cross-sectional study of the “2019 Survey on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2,861 (1,462 males, 1,399 females) children born between 2006 and 2010 who were in the 4th to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2019, and it is the most recently announced panel data as of 2022. Based on the sample characteristics of the panel data, the dependent variable—school violence experience—was first classified into a first-level student variable and a second-level school variable. Then, a hierarchical linear model was developed and analyzed utilizing the programs SPSS V. 28 and HLM V. 8.0.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domestic abuse for 4th to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fected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but that the human rights education received at school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hild'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The results clarify the need to reduce the view that exposure to domestic and school violence is due to the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to recognize that the damage of child abuse from parents (guardians) at home has a great effect on children'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This suggests that for many students who are victims of school violence, the problem of domestic abuse, which is a cause of the school violence, should not be overlooked. In order to prevent and solve school violence at the school level, alternatives to understand and prevent the cause which is domestic abuse damage should be prepa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