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7 Download: 0

부유하는 우주먼지의 유기적 형상 표현

Title
부유하는 우주먼지의 유기적 형상 표현
Other Titles
Organic Abstract Expression of Floating universe Dust : Focused on the Author's artworks
Authors
김지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광호
Abstract
본 논문은 우주를 모든 구성 요소들이 서로 연결된 공간으로 보고, 그 유기성을 본인의 작품을 통해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흐름은 본인의 작업이 우주를 거시적, 혹은 미시적 관점으로 포착하며 드러내는 변화를 추적하며 이를 우연적인 회화 기법을 통해 구체화 하고, 이러한 작업의 이론적 배경과 의의에 대해 서술하는 방식으로 전개하였다. 이 과정에서 우주의 구성 물질을 ‘부유하는 우주먼지’이자 생동하는 물질로 정의하고 우주와의 상호치환적 관계에서 그 존재론적 의미를 풀어나가고자 했다. 부유하는 우주먼지는 본인 작업의 주요 모티브로, 우리 주변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의는 우주가 생명체, 자연, 비인간 행위자 등 다양한 부유물들의 보이지 않는 밀접한 연결망으로 짜인 세계라는 믿음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주를 거시적 관점에서 바라보며 그 구성물질의 유기적 현상을 관찰하여 물질 간의 연결성을 보여주었다. 이후 우주에 대한 관점을 좁혀, 보다 가까이서 바라본 생명체의 모습, 즉 아득한 우주에서 날아다니는 우주먼지에 인간의 모습을 투영한다. 이를 통해 미생물이나 부유물과 같은 작은 생명체의 모습에서 우주의 모습을 발견한다. 이렇듯 본 논문은 카메라 렌즈로 대상을 줌인-줌아웃하여 바라보는 것과 같이 우주에 대한 변화하는 관점이 작품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밝히고 있다. 본인은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구성 물질들이 서로 긴밀한 관계망 속에서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토대로, 우주 현상을 관찰 및 탐색하는 방식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렌즈의 줌을 당겨 현미경으로 본 생물체의 모습을 우주의 모습과 연결해 다루면서 우주의 유기성을 확인하고, 이를 모든 관계들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된 세계로 인식했다. 이러한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작업에서는 일상 속에 존재하는 것들의 연결고리와 지구 바깥의 모든 요소가 화합한 초월적 우주로의 회귀를 꿈꾸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본인은 주변에 존재하는 것들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이러한 과정 속에서 그 부유물을 감각하는 태도를 작품 속에 스스로 수립해 나가고자 하였다. 공존하는 것들을 본인만의 감각 태도로 느끼고, 익숙한 것들에서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고 마주할 수 있도록 했다. 이것은 우주구성 물질로써 주변과 호흡하고, 스스로의 존재를 인식하고자 하는 행위이다. 대상을 보는 포커스가 점점 집중되면서 나타나는 변화는 또 다른 새로운 세계의 확장을 이루어냈다. 이처럼 본인에게 예술은 대상을 다르게 바라보게 하고 세상과의 새로운 관계 형성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작품 활동의 전개과정을 구체적으로 조망하면서 예술가로서 가져야 하는 자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내면적 특질과 본인을 둘러싼 세계와의 합일점을 인식하고자 하는 욕구는 작업의 원동력이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세상을 구성하는 주변의 것들과 분명히 연결되어 있는 물질을 생명체의 유기적인 형태로 표현했다. 본인은 대상에 대한 거시적 시점과 미시적 시점을 유동적으로 오가며 두 지점이 긴밀하게 연결되는 사이에서 우주를 바라보고, 우주와 그 구성 물질 간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그 존재론적 의미를 풀어내고자 했다. 이 같이 진행되는 연구의 과정에서 본인을 둘러싼 세계를 인지하고 이해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전자 현미경으로 바라본 동식물의 내부 모습과 미생물의 모습에서 우주의 모습을 발견하였다. 이 과정에서 바이오모픽 아트의 이론을 바탕으로 생물체들을 조형적 방식으로 재구성하고, 유기적인 형태 표현 방법을 모색하며 매체의 사용 의미와 작품 제작 방법에 대해 서술했다. 또한 작품에 사용한 에탄올과 물감의 반발 작용 기법의 특징과 의미에 대해 집중적으로 서술하였으며, 이를 통해 생명체와 생명 현상을 담은 회화를 표현하면서 바이오모픽 아트 미술의 계보와 연결해보았다. 또한 대상을 예리하게 관찰하는 방법을 통해서 세계를 새롭게 바라보고 무한한 공간에서 시작해 점차 대상의 내부로 이동하여, 그 표면과 우리가 미처 보지 못했던 이면의 교차지점들을 그것 들 간의 상호치환적 관계 속에서 다시금 바라보았다. 본 논문은 우주를 구성하는 많은 생물체들의 유기적 형상을 나타낸 작품을 논의하면서 본인의 우주관을 담아내고자 하였다. 앞으로도 생물체를 바라보는 유동적인 관점을 통해 우주의 모습을 담아낼 수 있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이를 통해 상호치환적 관계로 이루어진 작품을 통해 군집 형태의 생태계를 연상시키는 또 하나의 교차점을 현현하고 또 다른 세계로 이끄는 가능성을 열고자 한다.;This thesis views the universe as a space where all compon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ims to reveal its organic nature through my work. The research which developed around my work captures the universe from a macroscopic or microscopic perspective, tracking its changes and materializing them through incidental techniques. For this purpose, I introduc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work. In this process, while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universe is defined as ‘floating cosmic dust' and living material, it aims to address its ontological meaning in a mutually interchangeable relationship within the universe. The main motive of my work is the floating cosmic dust that exists in everything that surrounds us. This definition presupposes the belief that the universe is a world woven from an invisible and intimate network of various floating objects such as living things, nature, and non-human actors. Therefore, this study looks at the complex universe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and observes the organic phenomena of its constituent materials to show the connectivity between materials. Subsequently, I narrowed my perspective on the universe and projected the image of a living being viewed from a closer perspective; a living being that is a human image on cosmic dust flying in the distant universe. Through this, we discover the universe in small life forms such as microorganisms and suspended matter. In this way, this thesis shows how the changing perspective of the universe is expressed in the work, using the zooming in and zooming out technique of a camera lens. Based on the fact that all constituent materials in the universe operate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 develop a discussion on the method of observing and exploring cosmic phenomena. By pulling the zoom of the lens and dealing with the appearance of organisms seen through a microscope in connection with the appearance of the universe. And these confirmed the organic nature of the universe and recognized it as a world in which all relationships are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Based on this theoretical found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work expresses the dream of returning to the transcendent universe where all elements outside the earth are in harmony connected to things in daily life. In this process of observing the movements of things around me, I tried to establish an attitude of sensing the floating objects at my work. I made it possible to feel the coexisting things with my own senses of attitude, and to face new faces in familiar things. This is an act of trying to breathe with the surroundings and recognize one's own existence as a cosmic substance. Once the focus was gradually concentrated on the subject, change was perceived which led to the expansion to another world. In this way, art has the power to make the perception of objects differently and provides a hint to form a new relationship with the world. In this thesis, I examined the perspective that an artist should display while looking in detail 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artwork. The desire to recognize the unity between one's inner qualities and the outside world became the driving force of the work. Based on this, materials invisible to our eyes, but clearly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things that make up the world, were expressed in organic forms of life. I tried to look at the universe between th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perspectives of the object and closely connect the two points, and to unravel its ontological meaning in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e and its constituent materials. I achieved this by flexibly going back and forth through the ‘interchangeable relationship of the substances that make up the universe'. In the course of this research, I recognized and understood the world around me, and also discovered, by looking through an electron microscope, that the universe is in the interior of animals, plants, and microbes as well. In this process, based on the theory of biomorphic art, living organisms were reconstructed in a formative way, expression methods of organic form were sought, and the meaning used by the media and the method of producing these works were describ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repellent action technique of ethanol and paint used in the work were mainly described. In this process, while working on paintings containing living things and life phenomena, it was possible to connect it with the genealogy of biomorphic art. In addition, by closely observing the object, I perceived a new world and by gradually moving from an infinite space to the inside of the object, I was able to see the intersections of the surface and the hidden side that were unnoticed before. In this thesis, I tried to express my own view of the universe by discussing works that show the organic shapes of many living things that make up the universe. In the future, while working on a work that captures the appearance of the universe through a fluid perspective of looking at living things, I intend to realize another intersection reminiscent of a community-type ecosystem through works made of mutually interchangeable relationships, as well as to open up possibilities that lead to another wor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