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2 Download: 0

중·고령 근로자의 조기은퇴 결정요인

Title
중·고령 근로자의 조기은퇴 결정요인
Other Titles
A study on Determinants of Early Retirement for the Mid-Old Aged: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occupational groups
Authors
현옥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영민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early retirement for the aged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groups. The population continues to age and the early retirement trend increases, it is recognized as social problems. Problems that arise from population ageing are diverse, typical ones being the increase of welfare expenditure, decrease of labor productivity and household consumption. Accordingly, in order to preserve the labor force of the mid-old aged, it became necessary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early retirement for the mid-old aged. With this background, based on push and pull dualism, this paper demonstratively identified the determinants of mid-old aged worker’s early retirement decision under the perspective that the retirement timing varies depending on their occup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KLoSA, using from the 2th(2008) to 8th(2020) survey. To analyze the determining factors according to their occupations, I classified the occupations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job polarization: managers, (semi)experts as one group and service workers, sales workers, agricultural and fishing skilled workers, and simple labor workers as the other group. In addition, among respondents under the age of 60, those who retired and those who did not retire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y occupational group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early retirement of all workers, the pull factor was dominant over the push factor. Among the pushing factors, the worsen subjective health status significantly increases the early retirement probabilities. On the other hand, among pull factors, the higher level of household gross income and leisure activity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early retirement. However the higher level of net asset decreases the probability of early retirement. Second, in the first group, push factors are found to have more influence on their early retirement decisions than pull factors. As push factors, the age and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significantly increase the probability of early retirement. On the other hand, as a pull factor, the level of household gross income increases the likelihood of early retirement. Lastly, in the third group, both push and pull factors affect strongly on the decision of early retirement for the mid-old aged. In the push factors, the age, the worse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lower job satisfaction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determinants of early retirement. As well, as pull factors, the higher level of household gross income, net assets, and leisure activit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early retir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cy plans such as improvement of senior corporation environment, senior wage subsidy and the extension of retirement age are required in the perspective of labor demand. Second, the employment policy for the elder should no longer be limited by the age, but should also include the middle aged workers. Third, the gender differences should be taken account into the policy plans on wage subsidies and the peak wage system. Lastly, it is necessary to make policy plans for conduct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workplace wellness programs based on their occupations’ characteristics.;본 연구는 밀기 및 당기기 요인의 관점을 바탕으로 중·고령자의 직업에 따른 조기은퇴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고령자의 노동시장참여율의 감소와 고령화의 진전은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평균수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나 주된 일자리에서의 은퇴연령은 계속해서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조기은퇴는 개인적인 차원에서 가계의 소비감소와 소비침체로 이어져 사회불안을 심화시킬 수 있고, 사회적인 차원에서는 높은 부양비용이 초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고령자의 노동력을 보전하기 위하여 그들의 조기은퇴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술적인 측면에서도 다양하게 연구되어야 할 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동시장 내 일자리 상황이 양극화되어 있는 현 실정에서 은퇴를 결정하는 과정이 양극단에서 상이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밀기 및 당기기 요인에 입각하여 중·고령 근로자의 직업에 따른 조기은퇴 결정요인의 차이를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2차(2008)~8차(2020)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이들의 직업을 관리자 및 (준)전문가와 판매서비스 종사자, 농업 및 어업숙련 종사자, 단순노무종사자로 구분하였다. 또한 분석자료 내 만 60세 미만의 응답자 중 조기은퇴를 한 자와 조기은퇴를 하지 않은 자를 선별하고, 무작위 추출을 통해 1,946명을 대상으로 직업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군과 상관없이 모든 연구대상자의 조기은퇴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밀기 요인보다 당기기 요인이 우세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밀기 요인 중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조기은퇴할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고 당기기 요인인 가구총소득과 여가활동 지향성이 증가하면 조기은퇴할 가능성이 증가하였으나 순자산이 증가할수록 조기은퇴할 가능성이 낮아졌다. 이 외에는 성별, 교육수준, 혼인상태, 거주지역이 조기은퇴 결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관리자 및 (준)전문가는 당기기 요인보다 밀기 요인이 그들의 조기은퇴 결정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기 요인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중·고령자가 조기은퇴할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당기기 요인으로는 가구총소득이 증가할수록 그들의 조기은퇴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이 외에는 성별과 거주지역이 조기은퇴 결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판매서비스, 농업 및 어업숙련, 단순노무자는 밀기 요인과 당기기 요인이 모두 조기은퇴 결정에 우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기 요인에서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일자리 만족도가 낮을수록 조기은퇴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조기은퇴 가능성이 낮게 나타나, 관리자 및 (준)전문가와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다음으로 당기기 요인에서 가구총소득 및 여가활동 지향성이 증가할수록 조기은퇴할 가능성이 증가하였으나, 순자산이 증가할수록 조기은퇴할 가능성은 낮게 나타났다. 이 외에는 성별과 혼인상태가 조기은퇴 결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정책적·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 근로자의 일자리 특성을 반영한 정년제 보장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고령자 고용정책이 고령자에게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까운 장래에 고령에 달할 자’, 즉 중년기까지도 포괄되어야 한다. 셋째, 고령자 임금보조, 고령 노동자 취업 장려 정책, 임금피크제 등에서 성별 차이를 고려한 정책이 모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건강 증진 및 질병 예방활동, 그리고 질병 발생 시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시행하는 등 기업 및 조직에서 근로자가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