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9 Download: 0

The Korean Conservative’s Issue Owning Strategy and the Spread of Perceived “Unfairness” among Young Male Voters in South Korea

Title
The Korean Conservative’s Issue Owning Strategy and the Spread of Perceived “Unfairness” among Young Male Voters in South Korea
Authors
임여원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지환
Abstract
In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in South Korea in March 2022, a clear gender conflict was observed between men in their 20s who sensitively responded to the People Power Party (PPP)'s pledge to disb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GEF) and women in their 20s to the Democratic Party (DP)'s pledge to safeguard women. This study utilizes the issue ownership theory to illuminate how the PPP has captured the increasing sense of "unfairness" of men in their 20s. The PPP sought to occupy issues on gender and fairness in favor of young men who have been grown to be dissatisfied with the ruling party's series of policies implementation. The PPP dismissed current incumbent's gender equality policy as "reverse-discrimination against men" and linked the notion of "unfairness" to its pledge to disband the MGEF, thereby raising the issue saliency of the abolition of MGEF. This study was conducted utilizing regression analysis on data from the 2021 Korea Social Integration Survey and the 2022 EAI Election Panel Study to discover the separate relationships between 1) men in their 20s’ gender fairness perception and political satisfaction in 2021; and 2) their gender fairness perception and presidential candidate choice in the 2022 election. Regression analysis confirms that in 2021, men and women in their 20s’s perceived gender fairness did not affect their political satisfaction. However, in 2022, both men and women between 19 and 29 saw their candidate choice influenced by their perceived fairness of how they are treated according to their gender. The more they feel they were treated unfairly according to their gender, the more likely they voted for conservative presidential candidate Yoon Seok-yeol. To account for this change, the study offers descriptive analysis of the DP and PPP’s election pledges and major political actors’ statements utilizing an issue ownership theory. It elaborate on how gender-charged campaign messaging and utterances of DP and PPP politicians influenced young people’s voting decisions in 2022. Through a descriptive analysis, this research contends that the PPP increased the saliency of abolishing the MGEF by indicating that disbanding the Ministry would restore a sense of fairness, a perception of which young male voters have grown sensitive to. This whole process can be summed up as an “issue ownership attack” where opposing parties frequently attempt to influence how voters assess a competing party based on how well they handle issues, or whether they “own an issue” by using its own frame or blaming the rival party for subpar performance (Seeberg 2022). This research advances the argument that the PPP first set off this gender controversy by attacking the incumbent DP for their purported poor performance on women-focused gender initiatives, claiming that these policies, implemented by the allegedly incapable MGEF, only benefitted women while marginalizing young men. The PPP shifted the focus of gender issues in its favor and raise the issue saliency of the MGEF issue by presenting the abolishment of MGEF as a solution to resolve the “unfair” situation. As this invited a counter-attack of the DP with statements and pledges intended to win the hearts of female voters, the battle lines in the gender conflict have been drawn between the PPP, centered on young men, and the DP, in solidarity with young women, with emotionally appealing statements aimed to resonate with their respective base of voters.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he perceived fairness regarding the way the genders are treated was not in itself a force powerful enough to shape young people’s political satisfaction in 2021. However, gender fairness perception has emerged as a powerful force to influence male and female voter’s decisions at the voting booth in 2022. It argues that the gender conflict visible between men and women in their 20s in the ROK’s 2022 presidential election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opposition party's issue owning attack to recruit young male voters by linking ruling party’s unfair policy implementation to the MGEF abolition.;2022년 3월 열린 20대 대통령 선거(이하 대선)에서는 국민의힘(국힘)의 여성가족부(이하 여가부) 해체 공약에 호응한 20대 남성들과 ‘여성 안심 대통령’ 공약을 내건 더불어민주당(이하 더민주)을 기준으로 결집한 20대 여성 간의 확연한 갈등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더민주의 일련의 정책 집행에 불만을 가진 20대 남성의 ‘불공정’ 인식을 포착한 야당(국힘)이 집권 여당(더민주)의 성평등 정책이 ‘남성에 대한 역차별’을 일으키고, ‘불공정’하게 이행되었다며 여가부 해체 공약에 ‘불공정’ 키워드를 연관 지어 남성에 중심을 둔 성평등 정책으로 초점을 바꾸고, 여성가족부 해체의 이슈 현저성을 높인 과정, 또한 이후 더민주의 여성 친화적 정책으로 20대 여성을 결집한 전략을 이슈 소유권 이론(issue ownership theory)을 통해 서술한다. 20대 남성들의 최근 보수화 현상에 대한 우세한 분석으로는 그들이 남성이라는 이유로 역차별을 당한다고 느끼고 있고, 이것이 이들의 정치적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고 서술한다.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대우가 불공정하다고 느끼는 인식이 정치적 만족도와 2022년 대선 후보 선택으로 이어졌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2021년 한국사회통합조사와 2022년 EAI 선거 패널조사 데이터를 이용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1) 2021년 성별에 따른 대우 공정성 인식과 정치 만족도, 2) 성별에 따른 대우 공정성 인식과 2022년 대선 대통령 후보 선택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2021년 20대 남성의 성별에 따른 대우에 대한 공정성 인식은 정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2022년에는 성별에 따른 대우가 불공정하다고 생각할수록 야당의 윤석열 후보를, 공정하다고 생각할수록 여당의 이재명 후보를 선택한 경향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젠더 및 젊은 세대의 공정성에 관련된 더민주와 국민의힘 2022년 대선 선거공약과 대선후보의 발언 내용을 분석하여, 두 정당이 젠더 이슈를 선점하기 위해 국민의힘은 20대 남성을, 더민주는 30대 여성을 포섭한 전략을 살펴보고, 이슈 소유권 이론을 이용하여 남·여를 가르는 양당의 선거 메시지와 대선 후보의 발언이 20대 유권자의 투표 결정에 영향을 주었음을 밝힌다. 본 연구는 여가부 폐지는 ‘성별 대우에 따른 공정성'에 민감해진 젊은 남성에 대한 ‘불공정’을 없애는 방법으로 인식되었고, 이로써 여가부 폐지의 이슈 현저성(issue salience)'이 높아졌다고 주장한다. 이 일련의 과정은 '이슈 소유권 공격 (issue ownership attack)'으로 설명될 수 있는데, 이는 정당이 자신에게 유리한 프레임을 이용하여 경쟁 관계에 있는 정당의 저조한 성과를 공격함으로써 유권자의 정당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의미한다 (Seeberg 2022). 여성 중심의 성평등 정책에 대한 주도권을 선점하고 있는 더민주 정책 이행의 ‘공정성’ 측면에 대해 젊은 남성들의 반발이 일어나자, 국민의힘은 더민주의 ‘여성 편향적인’ 정책을 공격하며, 여성 정책의 집행부처인 여가부의 성평등 정책은 젊은 남성들을 소외시키면서 여성들에게만 이익을 주었다고 주장하며 젠더 갈등을 촉발했다. 국민의힘은 젊은 남성들의 ‘성별 대우에 대한 공정성 인식’을 해결해줄 방안으로 여가부 폐지 공약을 제시함으로써 여가부 폐지 이슈에 대한 이슈 현저성을 높였고, 성평등 정책의 중심을 남성이 차별받지 않는 정책으로 옮기며, 이슈를 소유하게 된다. 이로써 젊은 남성 유권자를 포섭하게 되고, 더민주는 젊은 여성 유권자를 포섭하기 위한 발언과 공약을 발표하며 젊은 여성 유권자를 포섭하게 된다. 본 연구는 성별 대우에 대한 공정성 인식은 2021년에는 20대 남성과 여성의 정치적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2022 대선에서는 후보 선택에 영향을 미친 강력한 요소가 된 이유로 여가부 폐지를 집권당의 공정하지 못한 정책 집행의 해결 방안으로 제시하며 성 평등 정책 이슈를 소유하여 20대 남성 유권자를 포섭한 국민의힘과, 이에 대한 대응으로 젊은 여성 유권자 포섭 전략을 쓴 더민주의 이슈를 둘러싼 정쟁으로 결론 내린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