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49 Download: 0

박이소의 비형식적 작업에 내재된 포스트식민주의적 저항의식

Title
박이소의 비형식적 작업에 내재된 포스트식민주의적 저항의식
Other Titles
A Postcolonial Resistance Consciousness in Informality of Yiso Bahc’s Works
Authors
권화영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종철
Abstract
본 논문은 박이소(朴某/朴異素. Mo Bahc/Yiso Bahc, 1957-2004)의 전 작업을 통해 나타나는 정치성에 주목하여 박이소의 작품 외 활동뿐 아니라 미술작품 역시 주류와 중심을 지양한 저항적 태도를 지닌 것이었음을 규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미국에서는 ‘박모’라는 이름으로, 귀국 후에는 ‘박이소’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그는 서구 현대미술과 문화이론의 주체적 수용을 통해 이를 1990년대 한국 미술계에 작동시킨 선구적인 작가 중 한 명으로 미술 작업뿐 아니라 전시기획, 문화연구, 평론, 번역, 교육 등 다방면으로 활동했다. 그간 박이소에 대한 연구는 미술작품에 대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고 이어 대안 공간 ‘마이너 인저리’를 운영한 전시 기획자와 ‘한국적 포스트모더니즘론’을 개진한 이론가 박이소에 대한 단독 연구가 있으나 작품과 작품 외 활동 간의 연관성을 다룬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이에 본 논문은 박이소의 전 작업을 일관되게 관통하는 하나의 태도에 주목했다. 그리고 ‘미술가 박이소’와 ‘활동가 박이소’를 연속선상에 놓고 거시적인 관점으로 고찰함으로써 그의 다양한 활동이 ‘주류 담론에 대한 저항’이라는 목표를 위한 것이었음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통해 ‘작품/작품 외 활동’, ‘미국 시기/한국 시기’와 같은 기존 연구의 이분법적인 구분을 벗어나 박이소 연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구축했다. 본 논문의 전개 과정에서 주목할 점은 박이소가 귀국 후 제작한 설치드로잉을 연구의 시작점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한 작품당 다수가 남아 있는 설치드로잉에는 반복과 미묘한 수정을 거친 작품의 드로잉과 세세한 지시문이 함께 기록되어 있다. 본 논문은 설치드로잉의 연구 과정에서 메모 형식으로 기록된 지시문을 해체하듯 면밀히 분석했고 이를 통해 박이소가 의도적으로 덜 만든 미완성의 작품으로 보이도록 반복적으로 지시하는 한편 파편화된 단어 속에 소수와 비주류를 위한 비판적 논의를 함축하여 담아냈음을 밝혀냈다. 이로써 ‘대충 만들다 만 것 같은 엉성한 작품’과 ‘지나치리만큼 구체적이고 섬세한 설치드로잉’의 부조화로부터 시작된 의문을 작품의 형식인 ‘비형식’과 작품의 주제인 ‘포스트식민주의적 저항의식’이란 논문의 주제어로 개념화했다. ‘비형식’은 대강 날림으로 만든 듯한 엉성한 외관을 통해 미적 가치를 비껴간 박이소 작품의 형식적 특징을, ‘포스트식민주의적 저항의식’은 호미 바바(Homi K. Bhabha, 1949- )가 말한 ‘사이의 공간(in-between)’에서 스스로 주체적인 제3세계적 정체성을 재규정하면서 서구 중심 담론에 저항한 태도를 뜻한다. 이어 ‘비형식’을 주류 담론에 저항하고자 한 그의 신념을 유효하게 하는 의도된 전략으로 상정했고, ‘조롱’, ‘모방’, ‘혼종’, ‘반(反) 기념비’로 포스트식민주의적 전략을 개념화했다. 또한 논증의 과정에서 전자를 다다이즘으로부터 상황주의 인터내셔널, 아르테 포베라, 개념미술로 이어지는 미술사의 선례 안에서, 후자를 상황주의 인터내셔널로부터 제도비판미술, 대안공간으로 이어지는 전후 현대미술의 흐름 안에서 살펴봄으로써 박이소의 작업에 미술사적 의의를 부여하고자 했다. 마이너 인저리 운영이나 전시기획자, 이론가로서의 박이소 활동에 대한 평가는 정체성의 정치학을 바탕으로 한 주류 담론에 대한 대안적이고도 저항적인 활동이었음에 이견이 없으나 ‘덜 만든 것’ 등으로 특징 지어진 미술작품은 그간 디아스포라 작가가 마주하는 정체성의 고민이나 개념적 작업으로 주로 읽혀왔다. 본 논문은 그의 활동뿐 아니라 작품 역시 정치적 실천 행위로 의미화하는 작업이었고, 이 과정에서 주목한 것이 한인 문화예술 활동가 모임인 ‘서로문화연구회’와 아시안 아메리칸 예술가들과 연대한 예술 공동체 활동을 통한 실천적 행위이다. 박이소는 지인들과의 스터디그룹을 통해 일찍이 포스트모더니즘이나 포스트식민주의와 같은 서구 문화이론에 대한 이해를 높였고 이로부터 소수와 비주류에 대한 문제의식을 키울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이 구체적인 저항적 실천으로 발전될 수 있었던 데에는 예술가 공동체와의 연대와 교류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본 연구는 이들과 정체성 정치에 대한 신념을 공유하며 전개한 집단적이고도 조직적인 실천적 활동들과 당시 제작한 작품들의 유기적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박이소의 작품과 작품 외 활동을 하나의 목표로 아우를 수 있었다. 작품 분석에 있어서는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W. Said, 1935-2003)와 호미 바바의 포스트식민주의 이론의 주요 개념 그리고 큐레이터인 마시밀리아노 지오니(Massimiliano Gioni, 1973- )가 2007년에 새롭게 제시한 ‘비기념비성(unmonumentality)’ 개념을 변주·확장하여 적용하였다. 이어 비형식을 통해 포스트식민주의적 저항의식이 표출되는 다양한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미국 시기 발아하여 뚜렷하게 자리한 포스트식민주의적 태도가 그의 실천적 활동뿐 아니라 전 시기에 걸친 작품에서도 유의미하게 작동했음을 밝혀내고자 했다. 이처럼 다양한 얼굴을 한 박이소의 시선은 일관되게 그가 사는 세상을 향해 있었고 끊임없이 주류 담론에 대한 저항을 도모하였으며 소수와 비주류가 처한 사회적 문제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멈추지 않았다. 끝으로 본 논문은 미술사의 커다란 흐름과 박이소의 개인사, 당대 사회상을 바탕으로 한 다각도의 연구를 통해 박이소의 전 작업을 하나로 아우르는 입체적인 시각을 구축해 내는 동시에 미술사적 의미를 재고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This thesis focuses on the political nature that emerges through Yiso Bahc(朴某/朴異素, 1957-2004)'s entire work, and aims to reveal, through not only his art but non-art activities, his resistant attitude against the mainstream and the center. In the United States, he used the name “Mo Bahc,” and after returning to South Korea, “Yiso Bahc.” He was one of the pioneering artists who subjectively brought Western contemporary art and cultural theory to the 1990’s Korean art world and active in various fields such as exhibition planning, cultural research, criticism, translation, and education as well as his artwork. So far, studies on Bahc have mainly focused on his art works and although there is an independent study on Yiso Bahc as the exhibition planner who operated the alternative space “Minor Injury” and the theorist who advanced the ‘Korean postmodernist theory’, no studies have yet add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artworks and non-art activities. So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one attitude that consistently flows through Yiso Bahc’s entire work. And by placing two aspects of Yiso Bahc as an artist and an activist on a continuum and examining them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it tries to reveal that his various activities were a body of change for the goal of ‘resistance to mainstream discourse'. For this, a new perspective was established on Yiso Bahc's research, breaking away from the dichotomy of existing studies such as ‘work/non-art activities' and ‘American period/Korean period'. What is noteworthy in the development of this thesis is that it took the installation drawing, which was the basis of the installation works he produced after returning to Korea,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study. In the installation drawings, many of which remain per work, drawings of works that had gone through repetition and subtle modifications and detailed instructions have been recorded together. In the process of studying installation drawings, the instructions were dismantled and analyzed in detail, finding out that Yiso Bahc repeatedly directed them to appear as unfinished works intentionally, while implying in the fragmented words critical discussion for the minority and non-mainstream. As a result, the question that started from the incongruity between ‘seemingly roughly made works' and ‘excessively specific and delicate installation drawings' was conceptualized as the subject of the thesis: ‘informality' in the form of the work, and ‘postcolonial resistance consciousness' in the subject of the work. ‘Informality’ means the formal characteristic of Yiso Bahc's works that avoid aesthetic value through the sloppy appearance, and ‘post-colonial resistance consciousness' means the attitude of resisting Western-centered discourse while redefining an independent Third World identity in what Homi K. Bhabha(1949-) called ‘in-between’ space. And then, ‘informality' was posited as an intended strategy to validate his belief in resisting mainstream discourse, and postcolonial strategies were conceptualized as ‘mockery', ‘mimicry', ‘hybridity', and ‘countermonument'. In addition, in the course of the argumentation, the former is examined within the precedents of art history, from Dadaism to Situationist International, Arte Povera, and Conceptual Art, and the latter within the flow of post-war contemporary art from Situationist International to Institutional Critique and Alternative Space, thereby putting an art-historical significance to Bahc's work. There is no disagreement that the operation of Minor Injury and activities as an exhibition planner and theorist were alternative and resistance to the mainstream discourse based on the politics of identity. But his artworks, evaluated as ‘flat,’ ‘empty,’ ‘roughly-made,’ have been described as a diaspora artist's struggle with identities or conceptual works. This study signifies his artwork as well as his activities as meaningful in political way and pays attention to the practical actions through SEORO Korean Cultural Network, a group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sts, and art community activities in solidarity with Asian American artists. Participating in the study group together with Korean-American artists, Yiso Bahc had an early understanding of Western cultural theories such as postmodernism and postcolonialism, and was able to develop a criticism about minorities and the non-mainstream. Solidarity and exchange with the artist commun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nabling this awareness to develop into concrete resistance practice. This study was able to integrate Yiso's artwork and activities outside of it into one goal through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ective, organized and practical activities developed while sharing the belief in identity politics with other artists and the works produced at the time. In the analysis of the artwork, the main concepts of Edward W. Said (1935-2003) and Homi K. Bhabha’s postcolonial theory and ‘unmonumentality,’which the curator Massimiliano Gioni (b.1973) newely addressed in 2007, were applied with variations and expansions. Next, by examining the various aspects of postcolonial resistance expressed through informality, the postcolonial attitude, which sprouted and was established during the American period, was intented to be figured out as meaningful not only in his practical activities but also in his artworks throughout the period. With such diverse faces, Yiso Bahc's gaze was consistently directed toward the world he had lived in and he constantly sought resistance to the mainstream discourse, and never stopped his sharp criticism of the social problems faced by the minority and the non-mainstream. Lastly, this thesis prove it’s significance in art history in that by diachronic and synchronic research based on the flow of art history, Yiso’s personal history and the society of the time, it build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all of his 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