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2 Download: 0

김춘수 시의 몽타주 수사학 연구

Title
김춘수 시의 몽타주 수사학 연구
Other Titles
The Montage Rhetoric of Kim Chun-soo : Focusing on his Mid-term Poetry
Authors
안수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끝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시학의 기본인 비유, 이미지, 리듬에 주목하여, 김춘수의 시세계를 대표하는 무의미시의 표현 전략으로서 ‘몽타주 수사학’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김춘수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모두 겪은 세대의 시인이다. 그는 이데올로기의 대립 이후의 과제로서 우리 시가 나아가야 할 길을 스스로 개척해야 하는 입장에 있었다. 시작(詩作) 중기에 접어든 김춘수는 그 돌파구로서 ‘무의미시’라는 시적 기획을 꾀하였다. 무의미시는 ‘관념’과 결부된 시적 대상을 지워버리는 시다. 그는 보편의 관념으로부터 벗어나 주관의 논리, 타성 너머의 의미를 쌓아가는 시를 쓰고자 했다. 현실 세계로부터 자유로운 시 내부 세계의 성립을 겨냥하며 그가 활용한 것은 몽타주다. 이는 단순히 영화의 촬영 기법을 답습하는 방식이 아니라, 시의 문법으로 몽타주를 번역하고 재정의하는 방식으로 드러난다. 본고는 그 실험이 특히 활발하게 이루어진 중기시에 주목한다. Ⅰ장에서는 영화 이론의 계보와 우리 시 연구사에서 몽타주가 어떻게 이해되어왔는지를 살핀다. 그리피스에서부터 쿨레쇼프, 푸도프킨, 에이젠슈테인의 계보로 이어지는 영화 몽타주의 성과는 비유, 이미지, 리듬으로 대표되는 시의 표현 기법, 즉 수사학과 상통한다. 수사학의 개념 정의에 있어서는 국내외 문학 연구의 성과를 참조하며, 각각의 사전적 정의를 확장하여 활용한다. 기본적인 명명 방식으로서의 비유, 지속하는 세계의 단면으로서의 이미지, 병렬과 반복을 통해 순환을 이루는 리듬까지의 세 개념을 수사학의 기본 범주로 설정한다. 각각은 결합과 생성이라는 몽타주의 핵심 역량을 구현해내는 토대가 된다. Ⅱ장에서는 비유의 교차적 병치로서 ‘몽타주-비유’를 살핀다. 김춘수의 중기시에서 드러나는 비유 중 압도적인 것은 병치 은유와 초인접성의 환유다. A절에서는 은유의 몽타주에 주목한다. 김춘수의 중기시에서는 원관념과 보조관념 사이의 유사성보다 차이성이 더 두드러지는 병치 은유가 빈번하게 발견된다. 병치 은유를 여러 차례 결합함으로써 원관념의 의미를 전연 새로운 것으로 재정의하는 몽타주를 볼 수 있다. 이는 관념으로부터 대상이 멀어지게 하는 새로운 의미의 변환이다. B절에서는 환유의 몽타주에 주목한다. 공간적 인접성, 시간적 인과성 등으로 이어진 환유는 물론, 환유의 시행들이 또 한 겹의 병치를 거쳐 인접성 자체를 일탈해가는 양상을 볼 수 있다. 연상의 축이 여럿 중첩되어 그 중심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이는 자유연상의 말 놓기와 같은 초인접성의 맥락으로 나아가며 관념으로부터 멀어진다. Ⅲ장에서는 이미지의 비선형적 지속으로서 ‘몽타주-이미지’를 살핀다. 이미지는 지속하는 세계로부터 포착된 단면이다. 이미지의 유형 구분에 있어서는 들뢰즈의 논의를 참조하여, 이미지의 구현 방식에 따라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로 나눈다. A절에서는 운동-이미지의 몽타주에 주목한다. 운동-이미지의 하위 변이들인 지각-이미지, 정감-이미지, 행동-이미지가 서로 맞물려 작동함으로써 화자의 감각을 있는 그대로 전하는 양상이 돋보인다. 이때 화자는 세계에 압도되지 않는 ‘개인’으로 거듭나게 된다. B절에서는 시간-이미지의 구현에 접근하는 시간의 몽타주에 주목한다. 이때 시간이란 비선형적이고 동시다발적인 것이며, 비논리적인 인과 관계와 비현실적인 광경을 이미지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드러난다. 이는 결정체-이미지의 현시로 나아간다. 이데올로기에 의해 폭력적으로 정의된 ‘역사’가 시 안에서 새롭게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Ⅳ장에서는 순환을 지향하는 말놀이의 리듬으로서 ‘몽타주-리듬’을 살핀다. 리듬은 작게는 음소에서부터 크게는 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병렬과 반복으로 형성된다. 김춘수 시에서 드러나는 병렬과 반복은 형식과 내용 모두에 관계하고 있다. A절에서는 음소와 형태소의 결합으로 드러나는 단어의 몽타주를 살핀다. 김춘수의 중기시에서는 음소 단위로 해체된 단어와 온전한 형태로 조립된 단어를 한데 몽타주한 사례를 볼 수 있는데, 이는 관념적인 의미라는 것이 얼마나 자의적인지를 감각적으로 드러내 보인다. B절에서는 문장구조의 반복 등을 통한 문장 간의 몽타주에 주목한다. 김춘수는 산문과 운문의 역할을 뚜렷하게 분류하고 그 구분을 시에 적극적으로 실험하여 보였다. 김춘수의 시에 배치된 문장 형태의 시행은 완결된 형태지만 결코 완결되지 않은 순환적 반복의 단위로 기능한다. 공통된 조사, 어미 등을 통한 문장 간의 접속은 각 시행이 서로 간의 형식과 의미에 기대어 역동적인 산문성을 이루는 데에 기여한다. Ⅴ장에서는 비유, 이미지, 리듬의 몽타주가 한데 어우러져 시 한 편을 지탱하는 양상을 살핀다. 몽타주 수사학이 겨냥하는 것의 핵심은 연쇄와 중첩, 충돌을 통한 다층적인 표현의 생성이다. Ⅱ-Ⅳ장에서는 비유, 이미지, 리듬이라는 개별 기법의 차원에서 몽타주를 다루었다면, Ⅴ장에서는 각각의 표현 전략들이 한데 어우러져 몽타주되는 중층적 결합의 양상에 주목한다. 김춘수 중기시의 몽타주 수사학은 무의미시라는 그의 뚜렷한 시적 기획과 결부되어 있다. 의도에 부합하는 형식을 적극적으로 찾아내어 실험했음을 볼 수 있다. 난해한 세계를 있는 그대로 묘사할 뿐인 김춘수의 시는 ‘인공’의 예술로서 시를 긍정하고 언어의 불가능성에 접근하고자 한다. 스스로의 문학적 토대를 모색하는 데에 있어 1930년대 이상으로부터 발견하여 형식화한 김춘수의 ‘무의미시’는 이후 이승훈의 ‘비대상시’, 오규원의 ‘날이미지시’로 이어진다. 본고에서는 몽타주로 집약되는 그 시적 기획의 진보성과 세밀함을 설명하고, 그의 시 정신이 현재까지도 여전히 유효하게 지속되고 있음을 보인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김춘수의 시와 몽타주 기법이 갖는 시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끊임없는 쇄신을 통해 타성의 그늘을 극복해내고자 했던 그의 시세계는, 새로운 것에 대한 열망을 계속해온 한국 현대시사의 주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김춘수의 몽타주 수사학은 전통 서정시로부터 진보를 꿈꾸는 중첩과 생성의 원리다. 김춘수 시인의 탄생 100주년을 넘는 길목에서 이루어진 본 연구는 김춘수 시 연구사로부터, 몽타주 수사학의 계보로부터 한 발짝 나아가기 위한 작은 시도가 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ontage Rhetoric’ as an expression strategy of nonsense poetry representing Kim Chun-soo’s poetry by focusing on the metaphors, images, and rhythms, which are the basics of poetry. Kim Chun-soo is a poet of a generation who went through both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Korean War. He was in a position to pioneer the way our city should go as a task after ideological confrontation. As a breakthrough, Kim Chun-soo attempted a poetic project called ‘Nonsense Poetry’ in his mid-term poetry. A nonsense poem is a poem that erases poetic objects associated with ‘concept’. He tried to write a poem that broke away from the universal concept and accumulated the meaning beyond the logic of subjectivity and inertia. He used montage to aim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nal poetic world free from the real world. This is not simply a method of following the filming technique of the film montage, but is revealed in a way of translating and redefining montage with the grammar of the poem.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his mid-term poetry when the experiment was especially active. Chapter I examines the genealogy of film theory and how montage has been understood in our poetry research history. The achievements of the film montage, from Griffiths to the genealogy of Kuleschov, Fudovkin, and Eisenstein, are in line with the expression technique of poetry represented by metaphors, images, and rhythms, that is, rhetoric. In defining the concept of rhetoric, the results of domestic and foreign literary research are referenced, but each dictionary definition is expanded and utilized. Three concepts are set as basic categories of rhetoric: metaphor as a basic naming method, image as a continuing cross-section of the world, and rhythm that forms a cycle through parallel and repetition. Each is the foundation for realizing the core capabilities of montage of combination and creation. Chapter II examines ‘Montage-metaphor’ as a cross-batch of metaphors. Among the metaphors revealed in Kim Chun-soo’s medium-term poem, the overwhelming ones are diaphor and metonymy. Section A focuses on the montage of diaphors. In Kim Chun-soo’s mid-term poetry, juxtaposition metaphors are frequently found that the difference is more pronounced than the similarity between the original and auxiliary concepts. By combining juxtaposition metaphors several times, we can see a montage that redefines the meaning of the original idea as something entirely new. This is a transformation of a new meaning that moves the object away from the concept. Section B focuses on the montage of metonymies. It can be seen that the implementation of metonymies, which led to spatial proximity and temporal causality, as well as the implementation of metonymies, deviates from the locality itself through another layer of juxtaposition. Several axes of the association overlap and lose their center. This moves toward the context of super-adjacentity, such as free association’s talking down, and moves away from the concept. Chapter III examines ‘Montage-image’ as a nonlinear continuation of the image. An image is a cross-section captured from a persistent world. This study refer to Deleuze’s discussion on the type classification of images, which is divided into movement-image and time-imag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image. Section A focuses on the montage of movement-image. The sub-variables of movement-image: perception-image, affection-image, and action-image,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thus the aspect of conveying the speaker’s sense as it is stands out. At this time, the speaker is reborn as an ‘individual’ who is not overwhelmed by the world. Section B focuses on the montage of time approaching the implementation of time-image. At this time, time is nonlinear and simultaneous, and it is revealed in a way that shows illogical causal relationships and unrealistic scenes as images. This proceeds to the presentation of the crystal-image. It allows ‘history’ defined violently by ideology to be newly constructed in poetry. In Chapter Ⅳ, we examine the ‘Montage-rhythm’ as a rhythm of wordplay aimed at circulation. Rhythm is formed by parallelism and repetition in various dimensions from phonemes to poetic lines. The parallelism and repetition revealed in Kim Chun-soo’s poem are related to both form and content. Section A examines the montage of words revealed by the combination of phonemes and morphemes. In Kim Chun-soo’s mid-term poem, we can see a case of montage of words dismantled in phoneme units and words assembled in full form, which reveals how arbitrary it is to have an ideological meaning. In Section B, attention is paid to the montage between sentences through repetition of sentence structure. Kim Chun-soo clearly classified the roles of prose and verse and actively experimented with the classification in poetry. The implementation of the sentence form placed in Kim Chun-soo’s poem functions as a unit of circular repetition that is completed but never completed. The connection between sentences through a common survey, ending, etc. contributes to the achievement of dynamic prose based on the form and meaning of each implementation. In Chapter Ⅴ, we examine the patterns of supporting a poem by combining metaphors, images, and rhythm montage. The core of montage rhetoric’s aim is the creation of multilayered expressions through chains, overlapping, and collisions. Chapter Ⅱ-Ⅳ deals with montage in terms of individual techniques such as metaphor, image, and rhythm, but Chapter Ⅴ focuses on the aspect of multilayered bonding in which each expression strategy is combined montage. The montage rhetoric of Kim Chun-soo’s mid-term poetry is related to his clear poetic plan of nonsense poetry. It can be seen that the type that meets the intention was actively found and experimented. Kim Chun-soo’s poem, which only describes the esoteric world as it is, affirms poetry as the art of artificiality and attempts to approach the impossibility of language. In seeking his literary foundation, Kim Chun-soo’s ‘Nonsense Poetry’, which was discovered and formalized from the 1930s’ Lee Sang, leads to Lee Seung-hoon’s ‘Non-object poetry’ and Oh Kyu-won’s ‘Raw-image Poetry’. This paper explains the progressiveness and detail of the poetic plan, which is concentrated into montage, and shows that his spirit of poetry still continues to this day. Through this,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implications of Kim Chun-soo’s poetry and montage rhetoric. His poetry world, which sought to overcome the shadow of inertia through constant renovation, has become a major turning point in modern Korean history, which has continued its desire for new things. Kim Chun-soo’s montage rhetoric is the principle of overlap and creation that dreams of progress from traditional lyric poetry.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on the path beyond the 100th anniversary of poet Kim Chun-soo’s birth, will be a small attempt to take a step forward from the research genealogy of Kim Chun-soo’s poetry and montage rhetor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