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1 Download: 0

분만실 간호사의 산과적 외상사건 및 교육 경험과 회복 탄력성,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itle
분만실 간호사의 산과적 외상사건 및 교육 경험과 회복 탄력성,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traumatic perinatal event and educational experienc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e Labor and delivery Nurse
Authors
이나경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건정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frequency of traumatic perinatal event and educational experience and examine the correlations among traumatic perinatal event and educational experienc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e labor and delivery nurse.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hat used a cross-sectional desig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9 nurses working at the labor & delivery departmen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1, 2022 to November 25, 2022.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tes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perform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26.0 program. Ther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98.6% experienced one or more traumatic perinatal events. The most shocking traumatic perinatal event was deaths from mothers or newborns(40.3%). In addition, 88 participants (62.8%) experience traumatic perinatal event within a year. About 20% of those who were not educated about deformities of newborn or deaths of mother and newborns were the most. The average of education needs for traumatic perinatal events is 3.67±0.37 out of 4. The most effective education methods were simulation education. The post-traumatic stress score averaged 35.16±19.44 out of 88, and the high-risk group of post-traumatic stress was 69%. The factors that influenced post-traumatic stress included social support(β= -.212, p=.014). For the nurses over 30 years of age, post-traumatic stress is higher than nurses under 30 years of age(β= .197, p=.025). Nurses working at local hospitals have higher post-traumatic stress than nurses working at tertiary general hospital (β= .222, p=.024).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 was 16.2%. Since most of the subjects experience various traumatic perinatal event in the early stages of labor in the delivery room and have a high educational demand for traumatic perinatal event,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effective stimulation education programs in the early days of labor and delivery experience. In addition, high social support leads to low the post-traumatic stress. In order to reduce the post-traumatic stress of delivery room n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that provide social support in colleagues and personal relationships.;본 연구는 분만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산과적 외상 사건 빈도와 교육 경험, 교육요구도, 외상 후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외상 후 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분만실 간호사의 교육 방법 제시와 외상 후 스트레스를 중재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22년 10월 1일부터 11월 25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서면조사(48.1%)와 온라인 조사(51.9%)를 병행하여 시행하였다. 분만실에 근무하고 있으며, 현재 휴직 중인 자와 정신적 질환을 진단받은 자를 제외한 간호사 12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산과적 외상 사건 경험, 간호사의 외상 사건과 교육 경험, 간호사 회복탄력성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외상 후 스트레스 측정을 위해 한국판 사건 충격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129명 중 127명(98.6%)은 1가지 이상의 산과적 외상 사건을 경험하였다. 가장 충격적인 외상 사건으로는 산모나 신생아의 사망이 52(40.3%)명으로 가장 많았고 외상 사건을 경험한 시기는 1년 이내가 88명(68.2%)으로 가장 높았다. 2. 대상자의 10~25%가 각 산과적 외상 사건에 대해 교육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생아의 기형이나 산모나 신생아의 사망에 대해 교육을 받지 못한 대상자가 각 22%, 25%로 가장 많았다. 산과적 외상 사건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4점 만점에 평균 3.67±0.37점으로 높았다. 가장 효과적인 교육 방법은 시뮬레이션 교육이 62%로 가장 높았다. 4. 대상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점수는 88점 만점에 평균 35.16±19.44점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의 고위험군 69%(89명), 저위험군 31%(40명)으로 나타나 중환자실 간호사(김혜경, 최자윤, 2020) 20.7%보다 높았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산과적 외상 사건 경험, 사회적 지지와 외상 후 스트레스 간의 분석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갖춘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다중 선형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회귀모형을 분석한 결과 회귀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4.064, p=.001). 나이가 30대 이상인 경우(β=.197, p=.025), 재직 중인 근무지가 의원인 경우(β= .222, p=.024), 가장 충격적인 산과적 외상 사건으로 산모나 신생아의 사망을 선택한 경우(β= .185, p=.034)가 외상 후 스트레스를 높이는데 유의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사회적 지지는 외상 후 스트레스에 부적 영향(β= -.212, p=.014)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외상 후 스트레스의 12.6%를 설명하였다. 대부분의 대상자가 분만실 근무 초기에 다양한 산과적 외상 사건을 경험하고 있으며 산과적 외상 사건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신생아의 기형이나 산모와 신생아의 사망에 관한 교육을 제공받지 못한 비율이 높아 이와 관련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가 낮아져 분만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임상현장에서 동료들, 개인적인 인간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