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1 Download: 0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에게 적용한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 효과

Title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에게 적용한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 효과
Other Titles
Effects of Telephone-based Self-care Intervention for Gynecologic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uthors
이보연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효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telephone-based self-care intervention is effective for self-care knowledge, self-efficacy and self-care performance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The study design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that us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Participants were 38 gynecologic cancer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and received chemotherapy. There were 19 patients i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2022 to August 2022. To minimize the spread of experimental treatment, the control group was recruited prior to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matched inclusion criteria for age, diagnosis, and chemotherapy agent.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hemotherapy side effects management education using the booklet before chemotherapy and received a total of 4 telephone-based self-care interventions after discharge.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elephone-based self-care interventions, but only received education on the management of side effects of chemotherapy using a booklet.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before the intervention and 3 weeks after the end of the first-line chemotherapy cycle. Outcomes were measured by using self-care knowledge measurement tool,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e and self-care performance assessmen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9.0 program.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Shapiro-Wilk normality test, Paired t-test.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two groups in self-care knowledge score after telephone-based self-care interventions (t=-3.287, p=.002). Thus, telephone-based self-care interventions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care knowledge. 2.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two groups in self-efficacy after telephone- based self-care interventions (t=-2.191, p=.035). Thus, telephone-based self-care interventions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fficacy. 3.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two groups in self-care performance after telephone-based self-care interventions (t=-4.491, p<.001). Thus, telephone-based self-care interventions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care performance. As a result, telephone-based self-care intervention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self-care knowledge, self-efficacy and self-care performance.;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는 다양한 전신 부작용을 경험하므로 부작용 증상을 이해하고 관리하기 위한 자가관리 수행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 부작용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에 효율적이고 접근성이 높은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를 적용하여 자가관리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관리 수행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간호사 주도의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자가관리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관리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의 A 상급종합병원에 항암화학요법을 받기 위해 입원한 부인암 환자 38명으로 중재군과 대조군 각각 19명이었으며, 연구 기간은 2022년 5월 1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였다. 실험효과의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대조군부터 연구 대상자 선정 및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고, 이후 동일 선정기준을 적용하여 짝짓기 방법으로 연령, 부인암의 종류, 항암제의 종류가 동일하도록 중재군 선정 및 자료 수집을 시행하였다. 중재군에게는 항암화학요법 시행 전 소책자를 이용하여 부작용 관리와 관련된 교육을 시행한 뒤 퇴원 후 3일째, 1주일째, 2주일째, 3주일째 총 4회의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를 제공하였다. 대조군은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를 적용하지 않고 소책자를 이용한 항암 부작용 관리 교육만 시행하였다.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중재 전과 1차 항암화학요법의 주기가 끝나고 병원에 방문하는 시점인 3주 후에 자가관리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관리 수행을 각각 측정하였다. 자가관리 지식은 항암화학요법 부작용 증상 관리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도록 개발된 도구를 수정 및 보완한 자가간호 지식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은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e를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가관리 수행 정도는 항암화학요법을 적용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관리 수행 정도를 측정하도록 개발되고 수정 및 보완한 자가간호 행위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질병 관련 특성, 주요 변수와 관련된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중재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종속 변수의 정규성 검정은 Shapiro-Wilk normality test를 이용하였다. 중재군과 대조군의 중재 전후 그룹 내 자가관리 지식,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고, 중재군과 대조군의 중재 전후 그룹 간 자가관리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관리 수행 정도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 주도의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를 제공받은 중재군은 중재를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자가관리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의 검정 결과 중재 후 두 그룹 간 자가관리 지식 점수(t=-3.287, p=.002)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간호사 주도의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를 제공받은 중재군은 중재를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높을 것이다.’의 검정 결과 중재 후 두 그룹 간 자기효능감(t=-2.191, p=.035)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간호사 주도의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를 제공받은 중재군은 중재를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자가관리 수행 정도가 높을 것이다.’의 검정 결과 중재 후 두 그룹 간 자가관리 수행 점수(t=-4.491,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 주도의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자가관리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관리 수행 정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중재인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환자들이 올바른 자가관리 지식을 습득하도록 돕고,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며 자가관리 수행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임상에서 항암화학요법을 적용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개별 교육은 시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1회성이며 퇴원 후 주기적인 추후 관리는 많이 시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를 근거로 간호사 주도의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를 항암화학요법 후 퇴원한 환자들을 위한 추후관리로서 효과적인 간호 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