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1 Download: 0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뮤지엄의 전시 방식에 관한 연구

Title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뮤지엄의 전시 방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xhibition Method of Art Museum in Post Covid-19 Era
Authors
강현서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일호
Abstract
본 논문은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물리적 한계가 발생된 비대면 상황에서 뮤지엄이 어떤 방식으로 전시를 진행했는지 연구하였다. 기존의 전시와 비교하여 변화된 전시의 방식이 그 전과 어떠한 차이를 지니는지 분석하고, 그로 인하여 관람자의 미술작품 향유 방법에 대한 변화를 탐구하고 인지하는 것 에 목적을 두었다. 디지털 전시를 살펴보기에 앞서 뮤지엄의 기원인 뮤제이온(Museion)부터 오늘날 포스트 뮤지엄(Post museum)까지 미술계 패러다임을 정리하고 살펴보는 것은 현재 뮤지엄 의의와 역할에 대한 통찰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다. 팬데믹 이전 포스트 뮤지엄의 핵심적인 기능은 공공기관으로써 미술과 관람객의 만남을 ‘소통’과 ‘상호작용(interactive)’을 통해 긍정적인 뮤지엄 문화를 만들어 내는 것이었다. 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나 ‘전면 폐쇄(Lock down)’와 같은 제도적 통제에 접어들면서 이러한 뮤지엄 목적에 한계가 발생했다. 뮤지엄은 관람객과 단절을 극복하기 위해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디지털화’된 전시 방식을 선택하였고, 팬데믹이라는 위기는 오히려 디지털로 전환된 전시를 다양화하고 활성화하는 배경이 되었다. 과거에 뮤지엄이 사용했던 인터넷은 단순히 뮤지엄의 라이브러리 역할을 위한 것이었다면, 웹과 기술이 발전하고 뮤지엄이 사회의 요구에 맞게 진화함에 따라 새로운 소통의 수단으로 발전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국 내외 디지털 전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술군과 유형을 선행연구를 기반으로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네 세대에 걸쳐 발전한 웹을 배경으로 다섯 가지 주요 기술군과 네가지 디지털 전시 유형을 나눌 수 있었다. 디지털 전시에 활용된 주요 기술군은 가상현실(Virtual museum, VR),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XR), 메타버스(Metaverse)가 있었으며, 디지털 전시 유형으로는 ‘보조적 전시’, ‘병행적 전시’, ‘독립적 전시’, ‘대안적 전시’로 나누어 사례별로 분석하였다. 이 사례들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어떤 의미와 역할을 하며 그 시사점은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메타버스와 대안적 전시는 코로나 이후 비약적으로 발전된 유형이었고, 나머지 기술과 전시 유형은 그 전에도 보조적 수단으로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디지털 전시가 일시적인 유행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여부는 온라인 전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뮤지엄은 시공간의 제약을 뛰어넘고 소통의 단절을 극복해 나가고 있으며, 또 한번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국면해있다. 본 연구를 통해 코로나 바이러스의 종식 이후에도 디지털 전시의 발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기를 바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museum conducted the exhibition in a disconnected situation where physical limitations occurred due to Covid-19. Compared to the existing exhibition, this study analyzed how the changed exhibition method differs from before. Before analyzing digital exhibitions, it is important to organize and examine the paradigm of the museum from the museum's origin to today’s post-museum. Because this could bring insight into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the current museum. The core function of post-museums before the pandemic was to create a positive museum culture through "communication" and "interactive" in the meeting of art and visitors as a public institution. However, as institutional controls such as "social distancing" and "lockdown" were announced, the purpose of these museums didn’t work well. In order to overcome the disconnection with visitors, the museum chose a 'digitalized' exhibition method that is not restricted by space. And this crisis rather became the background of diversifying and revitalizing digitally converted exhibitions. If the Internet used by museums in the past was simply for the role of the library in museums. It has evolved into a new means of communication as web technology develops and the needs of society. To examine this in detail, the technologies and types used in domestic and foreign digital exhibitions were analyz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five major technology groups and four digital exhibition types could be divided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web, which has evolved over four generations. The main technology groups used in digital museums include virtual reality(VR), augmented reality(AR), mixed reality(MR), extended reality(XR), and the metaverse. And as for the digital exhibition type, it was divided into 'auxiliary exhibition', 'parallel exhibition', 'independent exhibition', and 'alternative exhibition' by case. Through case analysis, I could find ‘metaverse’ and ‘alternative exhibitions’ were developed dramatically after Covid-19 but the others were used in an auxiliary way before. The exhibition of digital museums is expected to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online exhibition to exist sustainably rather than just a temporary trend. Currently, the museum i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ime, space, and the disconnection of communication. and is facing another new paradigm in line with the change. I hope this study can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exhibitions even after Covid-19 is ov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