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28 Download: 0

이주자 밀집지역의 도시재생과 선주민-이주민의 상호인식에 관한 연구

Title
이주자 밀집지역의 도시재생과 선주민-이주민의 상호인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Urban Regeneration in Migrant Places and the Mutual Perception of Local Native-Migrants : Focusing on Hambak Town, Incheon City
Authors
최혜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민
Abstract
본 연구는 이주자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재생이 이주자 밀집지역에 어떠한 효과를 발휘하는지, 그 장소를 구성하는 선주민과 이주민에게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려인 이주자가 밀집해 있는 인천시 연수구 함박마을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함박마을에서 도시재생 정책이 추진될 수 있었던 배경을 파악하고, 이주자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재생의 전개과정이 함박마을을 어떻게 재구성하고 변화시키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세부목적은 첫째, 함박마을에서 추진되는 도시재생사업의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함박마을을 중심으로 한 도시재생 정책의 도입 과정을 살펴본다. 둘째, 로컬은 지방정부에서 추진하는 정책에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객체가 아니라는 점에서 로컬의 맥락에 따라 전개되는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선주민과 이주민의 상호인식을 탐색한다. 셋째, 도시재생과 로컬을 매개로 발휘되는 이주민의 행위주체성을 고찰한다. 이를 토대로 장소와 이주자, 도시정책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의 과정을 분석하고, 지역주민의 참여와 물리적‧사회적 재생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도시재생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현장답사,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함박마을의 상업지구와 주거지구를 중심으로 현장답사를 진행하였으며, 2022년 8월부터 11월까지 4개월 동안 총 2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의 경우 함박마을에서 거주하고 있거나 경제활동을 하는 선주민, 이주민과 이주자 지원기관 관계자, 도시재생지원센터 관계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여 다양한 집단의 목소리를 담아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려인 이주자의 유입에 따라 함박마을은 연수구의 원도심과 고려인 밀집지역이라는 복수의 장소적 특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연수구 차원에서는 함박마을의 장소성을 활용하여 도시재생 정책을 추진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고려인 이주자는 정책사업을 위해 정치적으로 포섭되면서도 실질적인 정책시행의 과정에서는 배제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둘째, 지방정부 스케일은 도시재생과 다문화의 가치를 표방하는 도시재생 계획을 수립하였으나, 로컬 스케일은 관계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지방정부의 의도와는 다른 방식으로 도시재생 사업을 받아들이는 양상이 나타났다. 도시재생 사업의 목표인 상생, 청결, 안전의 담론을 로컬의 선주민과 이주민의 상호인식을 토대로 재구성하여, 이주민에 대한 선주민의 타자화 담론이 실질적으로는 함박마을의 장소적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이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한편으로는 동일한 집단 내에서도 계층, 젠더, 민족‧인종에 대한 경험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인식과 경험이 구성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주자는 주류사회로부터 타자화되는 존재임과 동시에 행위주체성을 발휘하는 존재로서, 고려인 이주자들 또한 주류사회로부터 정치적 배제와 타자화를 경험하면서도, 장소에 착근되어 있는 사회적 관계를 토대로 주류사회에 저항적 권력을 실천하는 행위주체성을 발휘하였다. 고려인은 이주자를 타자화하는 담론에 저항하면서도 지방정부의 필요에 따라 조직되었던 고려인 단체를 중심으로 함박마을의 실질적인 도시재생을 이끌어내는 모습을 보였다. 그동안 이주자 밀집지역은 주류사회로부터 쇠퇴 담론과 결부되어 지역사회의 발전과 통합에 저해되는 요인으로 여겨져 왔으나, 도시재생 정책의 도입으로 이주자 밀집지역에 대한 새로운 정책사업이 가능해졌다. 앞으로 구도심의 낙후된 지역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이주자 밀집지역에 대한 도시재생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본 연구는 도시재생 정책이 전개되는 장소를 둘러싼 다층적인 이해관계의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정책이 수립되고 시행되는 과정에서 로컬의 주민을 국적, 민족‧인종 등에 따라 구분하려는 시도보다는, 선주민과 이주민 모두 로컬과 장소를 토대로 일상의 경험과 실천을 뿌리내리면서 삶터를 구성해가는 상호관계적인 존재라는 점을 인식할 것을 제안한다.;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the impact of urban regeneration on migrant place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native residents and migrants who reside in these plac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Hambak Town, Yeonsu-gu, Incheon, a location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Koryein, with a focus on the ways in which the urban regeneration process, encompassing both physical and social regeneration, is reconstructuring and transforming the Hambak Tow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ontextualizes urban regeneration initiatives in Hambak Town and analyzes the process of implementing urban regeneration policies centered on town. Second, as the local community is not a passive recipient of policies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s, it examines th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native residents and migrants regard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local context. Third, it analyzes the agency of migrants in th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and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places, migrants, and urban policies, and to comprehend the significance of urban regenera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both physical and social regeneration. This study conducted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including literature review, field works, and in-depth interviews. Field works were predominantly conducted in the commercial and residential areas of Hambak Town,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20 people for four months from August to November 2022.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ative residents and migrants of Hambak Town or involved in economic activities, migrant support agencies, and the support center of the urban regeneration in order to capture the perspectives of a diverse range of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ambak Town has multiple characteristics of place, including its role as the old city center of Yeonsu-gu and its concentration of Koryein, which have made it a suitable location for promoting urban regeneration policies at the level of Yeonsu-gu. However, during the policy implementation, local government utilize not only the tactics of inclusion for Koryein for obtaining financial support of policy projects, but also the tactics of exclusion from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se policies. Second, the local government implemented the urban regeneration plan that promotes the values of urban regeneration and multiculturalism, however, in that the local scale is relatively constructed, it understood of this plan and perceived th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a way that differed from the local government's intention. The discourse of coexistence, cleanliness, and safety, which is the goal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as reconstructed based on the mutual recognition between local natives and migrants, and it was found that the otherization discourse towards migrants is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Hambak Town. It was also found that within the same group, different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ere formed based on differences in class, gender, ethnicity, and race. Third, Koryein migrants, as the process of otherness, attempted to have their own agency and subjectivity, even though they experienced political exclusion and otherization from mainstream society, they also found ways to resist mainstream society through their social relationships. While pushing back against the discourse of alienating migrants, Koryein used their subjectivity and implemented the actual urban regeneration of Hambak Town through their own organizations, which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needs of local governments. Historically, migrant places have been viewed as a hindrance to the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local communities due to negative mainstream discourse, but the implementation of urban regeneration policies has created new opportunities for these areas. It is expected that urban regeneration in migrant places, particularly those based in underdeveloped areas in the old city center, will become more active in the future.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the complex interests at play in the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policies in these areas. Rather than attempting to differentiate between native residents and migrants based on nationality, ethnicity, etc., it is suggested that both groups are interconnected beings that shape the living place based on their daily experiences and practices within the local and place-specific contex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