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7 Download: 0

초등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 및 대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itle
초등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 및 대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Other Title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Role Conflict and Coping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Counselors
Authors
한혜원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role conflict and coping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counselors in Korea. Role conflict is the stress experienced by individual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a position.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school counseling teachers who have both expertise as counselors and teachers experience various role conflict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various roles at the same time, role expectations conflict with schools, role ambiguity conflict due to lack of specific role guidelines, and role isolation conflict. However, 15 years after the school counseling teacher was assigned to the school, there is no ethical or legal basis for clearly presenting the role of school counseling teacher, so the task to cope with the role conflict is still up to individual school counselors. Role conflict can lead to maladjustment such as stress and exhaustion of school counselors, so exploring how to cope with role conflict can be seen a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school counseling.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 conflict and coping methods of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school counselors have recently begun to be deployed, so they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various role conflicts than secondary schools, and the patterns and methods of conflict experienced by school counselors may vary depending on the client's development stage, so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m. Therefore, the research problem set up in this study is ‘What is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role conflict and coping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counselor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adopted Giorgi (2004)'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absence of a specific school counseling model, elementary school counselors can experience and cope with role conflicts in different personal and environmental contexts, so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world of participants' experiences rather than the researcher's interpretation. Therefore,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phenomenon was comprehensively understood and analyzed by separating individual situational and comm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world of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teachers. Accordingly, 9 elementary school counselors with more than 4 years of experience were selected through purposeful sampling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1:1 interviews to derive 9 essential topics, 27 exposed topics, and 108 semantic units. In the contextual structural technology, the individual semantic structure of the role conflict and coping experience of the nine research participants was described, and in the general structural technology, the common semantic structure of the role conflict and coping experience was described. The nine essential themes of the experience of coping with the role conflict of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teachers are , , , , , , , ,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nine essential themes was structured and presented as the cause and phenomenon of role conflict, the coping strategy, and the result. The cause of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 of role conflict was found to be . The combination of counselors who were not familiar with the specificity and reality of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and the school situation, which was ignorant of their roles, came to elementary school counselors as if they were left in the wilderness without any preparation, and eventually turned out to be the phenomenon of and . Participants experienced a conflict between the school that required the role of a teacher and the values they had as a counselor, and felt a gap as they experienced their insufficient competencies and insufficient school counseling system, unlike the ideal of counseling students as a counselor. In order to effectively cope with this, participants used the following coping strategies. First, they understood the development sta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and reconstructed counseling classes focusing on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that fit the students' eye level. In addition, they accepted multiple relationships without dividing their role into counselors and teachers, and worked hard to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meaning of elementary counseling and adjusting the confidentiality ethics to suit the school reality. In addition, through , they formed close relationships with school members, showed the role of the counseling room, and coordinated their work with school administrator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Finally, in order to effectively conduct school counseling, they tried not only to develop individual competencies but also to change the school system and to realize . The changes revealed through these participants' coping experiences were and . First, participants were able to newly recognize the positive aspects of the class as they accumulated experience and know-how in the process of coping with role conflict, clarify their role as a counselor in elementary school, and experienced growth in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as the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s where homeroom teachers and classes are emphasized increased, and participants showed a cooperative attitude, school members also formed an atmosphere of acknowledging and respecting the need for counseling teachers. In the end, the experience of coping with role conflict led to a macroscopic system change in the formation of a school counseling culture as well as the identity of individual research participa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 the structural part of the role conflict and coping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counselors, which have been relatively recent compared to other school levels. In addition, it can be significant in that the vivid and specific descriptions of the participants revealed in the study increas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field and suggested elements necessary for education and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counselors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과 대처 경험을 탐색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역할갈등이란 개인이 하나의 지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의미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학교에서 상담자이자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모두 갖추며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상담교사는 동시에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역할 간 갈등을 경험하거나, 상담교사라는 역할에 대한 기대가 학교와 상충되는 역할기대 갈등, 구체적 역할지침의 부재로 인한 역할모호성 갈등, 학교 구성원들의 이해 부족으로 인한 역할고립 갈등과 같이 다양한 역할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상담교사가 학교에 배치된 지 1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을 명확하게 제시한 윤리적·법적 근거가 마련되지 않아 여전히 역할갈등에 대처하기 위한 과제는 여전히 전문상담교사 개인의 몫이 되는 실정이다. 역할갈등은 전문상담교사의 스트레스와 소진과 같은 부적응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역할갈등에 대한 대처 방법을 탐색하는 것은 학교상담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과 대처 경험에 주목하였다. 초등학교의 경우 최근 들어 상담교사의 배치가 시작되었기 때문에 중등에 비해 다양한 역할갈등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며, 초등학생 내담자의 발달단계에 따라 전문상담교사가 경험하는 갈등의 양상과 대처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초등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과 대처 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 중에서도 Giorgi(2004)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구체적인 학교상담모형이 부재한 상황에서 초등 전문상담교사는 각자 다른 개인적·환경적 맥락 속에서 역할갈등을 경험하고 대처할 수 있으므로 연구자의 해석보다는 참여자들의 경험 세계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 전문상담교사들의 경험 세계에 따른 개별적인 상황적 특성과 공통적인 특성을 분리하여 종합적으로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였다. 이에 Giorgi(2004)의 연구방법에 따라 4년 이상 경력의 초등 전문상담교사 9명을 목적적 표집을 통해 선정, 1:1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9개의 본질적 주제, 27개의 드러난 주제, 108개의 의미 단위를 도출하였다. 상황적 구조기술에서는 연구참여자 9명 개인의 역할갈등과 대처 경험의 개별적 의미구조를, 일반적 구조기술에서는 역할갈등과 대처 경험의 공통적 의미구조를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드러난 초등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 대처 경험의 본질적 주제 9개는 <상담교사에 대한 무지 속 소외>, <상담철학과 교육노선의 충돌>, <이상과 현실의 괴리>, <발달단계를 고려한 수업 재구성하기>, <학교 상황에 맞는 역할 재개념화하기>, <이해하고 보여주며 소통하기>, <상생 협력체제 형성하기>, <초등전문상담교사의 정체성 형성>과 <협력하고 존중하는 학교상담문화 형성>이다. 이러한 9개의 본질적 주제의 관계를 역할갈등이 나타난 원인과 현상, 대처 방법과 그로 인해 나타난 결과로 구조화하여 제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이 역할갈등을 경험한 원인은 <상담교사에 대한 무지 속 소외>로 나타났다. 초등 학교상담의 특수성과 현실에 대해 잘 알지 못했던 상담교사와 이들의 역할에 무지했던 학교 상황의 결합은 초등 상담교사에게 마치 아무런 준비 없이 황무지에 내버려진 것처럼 다가왔고, 결국 <상담철학과 교육노선의 충돌>과 <이상과 현실의 괴리>라는 현상으로 드러났다. 참여자들은 교사의 역할을 요구하는 학교와 상담자로서 가지고 있던 가치관 사이에서 충돌을 경험하였고, 상담교사로서 학생들을 상담한다는 이상과 다르게 자신의 부족한 역량과 미비한 학교의 상담체계를 경험하며 괴리감을 느꼈다.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참여자들은 다음과 같은 대처 방법을 활용하였다. 먼저 그들은 <발달단계를 고려한 수업 재구성하기>를 통해 초등학생의 발달단계를 이해하고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참여와 활동 중심으로 상담 수업을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역할을 상담자와 교사로 이분화하지 않고 다중관계를 수용하였고, 초등상담의 의미를 발견하고 학교 현실에 맞게 비밀보장 윤리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학교 상황에 맞는 역할 재개념화하기>에 힘썼다. 또한, <이해하고 보여주며 소통하기>를 통해 학교 구성원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상담실의 역할을 보여주며 부드러운 소통을 통해 관리자와 업무를 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상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인의 역량계발은 물론 학교의 체제를 변화하기 위해 노력하며 <상생 협력체제 형성하기>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참여자들의 대처 경험을 통해 드러난 변화는 <초등전문상담교사의 정체성 형성>과 <협력하고 존중하는 학교상담문화 형성>이었다. 먼저, 참여자들은 역할갈등 대처 과정에서 경험과 노하우가 쌓이며 수업의 긍정적인 측면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었고, 초등학교에서 상담교사로서의 자신의 역할을 명료화하며 직무만족도 역시 높아지는 성장을 경험하였다. 또한, 담임과 수업이 강조되는 초등학교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며 참여자들이 협력적인 태도를 보이자 학교구성원들 역시 상담교사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분위기를 형성하게 되었다. 결국 역할갈등에 대한 대처 경험은 연구참여자 개인의 정체성 형성뿐만 아니라 학교상담 문화의 형성이라는 거시적인 체계변화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다른 학교급에 비해 비교적 최근 생겨난 초등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과 대처 경험이라는 구조적 부분을 현상학적 접근 방법으로 분석한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에서 드러난 참여자들의 생생하고 구체적인 서술을 통해 이들의 노하우를 집적한 것을 통해 현장의 이해를 높이고 추후 초등 전문상담교사를 위한 교육과 훈련에 필요한 요소를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